View : 1140 Download: 0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특성에 따른 단어재인 훈련 효과

Title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특성에 따른 단어재인 훈련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Word Recognition Training on Phonologic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for Cerebral Palsy who School-Aged Children
Authors
하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의 습득과 발달은 학령 전부터 싹트기 시작하며, 읽기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들은 유치원과 학령기 초에 이루어진다. 읽기는 단어재인(word recognition)과 읽기이해(reading comprehension)로 나눠 볼 수 있는데(Swank and Catts, 1994; Gilbertson and Bramlett, 1998), 단어재인은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소리로 전환하여 해독(decoding)하고 음운재부호화(phonological recoding)한 후에 소리에 해당하는 어휘를 자신의 심성어휘집에서 탐색하여 의미와 연결 짓는 과정(Stanovich, 1990)을 의미한다. 한편, 읽기이해는 어휘지식과 어휘관계에 대한 의미적 지식을 알게 되는 것으로 구문지식과 세상사 지식을 통해 구어에 내재된 텍스트의 내용을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읽기교육은 글에 대한 내용이해를 목표로 하지만, 단어재인 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하므로 초기 읽기 단계에서 단어재인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홍성인, 2001). 읽기발달의 예측변인으로 간주되는 음운처리과정은 초기 읽기 단계에서는 반드시 교육을 통해 획득해야 하는 읽기기술로 초기 읽기가 확립되는 학령 전부터 초등 1학년 시기에 이루어진다. 음운처리과정은 음운인식, 음운작업기억, 및 장기기억으로부터의 음운정보회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Wagner and Torgesen, 1987). 최근 10년간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문해력 연구에서는 음운처리과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김정연 외, 2008) 단어읽기와 관련된 음운처리과정과 중재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왔고(Fallon et al., 2004; Millar, Light and McNaughton, 2004; Dahlgren sandberg and Larsson, 2009; Peeters et al., 2009), 뇌성마비 아동들에 대한 음운처리과정과 읽기 평가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왔다(Foley and Pollatsek, 1999; Vandervelden and Siegel, 1999, 2001). Vandervelden과 Siegel(1999, 2001)은 뇌성마비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낮은 음소인식을 수행하였으나, 음소인식 과제들의 난이도에 따른 수행패턴은 일반 아동들과 유사하며, 음소인식(음소변별, 생략, 및 대치) 과제들은 읽기와 모두 상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읽기능력이 정상 수준인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들의 경우, 음운인식 과제에서는 일반 아동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음운재부호화 과제에서 음소의 암송과 철자쓰기 수행이 떨어져 그들의 읽기수준과 동등한 음운작업기억을 성취하지 못했다고 하였다(Foley and Pollatsek, 1999). 이상과 같은 결과들로부터 연구자들은 뇌성마비 아동들이 비록 구어장애로 인해 조음능력에서 제한을 받지만, 소리 구조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일반 아동들보다 지체되었으나, 언어성 단기기억에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음운작업기억의 음운재부호화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Bedrosian, 1997; Blischak, 1994; Foley and Pollatsek, 1999; Dahlgren sandberg, 2001; Dahlgren sandberg and Hjelmquist, 1996a, 1996b, ; Truxlern and O'keefe, 2007). 구어장애로 인해 음운처리과정에서 제한을 지니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은 읽기장애의 고위험군에 포함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읽기발달과 관련된 음운처리과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며,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읽기발달과 관련된 음운처리 과제(음운인식 과제 혹은 음운작업기억 과제)를 적절하게 수정하여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읽기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은 크게 둘로 나누어 실험 Ⅰ에서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들 간의 음운처리 과제의 반응 정확율을 비교함으로써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단어재인에 나타난 음운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실험 Ⅱ에서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음운처리 과제 유형에 따른 읽기 훈련을 실시하여 단어재인에 미치는 훈련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읽기 능력 발달에 좀 더 효과적인 음운처리 훈련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험Ⅰ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만 6세-16세) 2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만 6세) 20명, 총 40명의 아동들(남: 21, 여: 19)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운처리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음운인식과 음운작업기억 과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음운처리 과제(음운인식, 음운작업기억)가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비교분석하였다. 음운인식 과제와 음운작업기억 과제에서의 반응 정확율은 이원 혼합분산분석으로, 단어재인 정확율에 대한 음운처리 과제 반응율의 예측력은 단순선형 단계선택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두 가지 음운처리 과제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고, 피험자 내에서 나타난 과제와 집단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 집단은 음운인식 과제보다 음운작업기억 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응 정확율을 보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단어재인 정확율에 대한 두 가지 음운처리 과제의 반응 정확율을 분석한 결과,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 집단은 단어재인과 음운작업기억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이며, 음운작업기억 정확율이 단어재인 정확율에 대해 25%의 예측력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하면,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단어재인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특성은 읽기의 주요 예측변인으로 여겨지는 두 가지 음운처리 과제(음운인식, 음운작업기억)의 반응 정확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으며, 두 음운처리 과제 중 음운작업기억의 정확율은 단어재인 정확율을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Ⅱ는 실험Ⅰ에서 살펴본 두 음운처리과정(음운인식, 음운작업기억) 중 어떠한 과정을 중점적으로 훈련할 때 좀 더 효과적인 단어재인 중재를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Ⅰ에 참여한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 20명을 음운인식-중심 훈련과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에 10명씩 배정하여, 음운처리 과제 유형에 따른 읽기훈련이 단어재인 능력에 미치는 습득 및 일반화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12회기의 중재 훈련을 실시하였고, 중재 종료 3주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단어재인에 대한 습득 효과는 이원 혼합 공분산분석으로, 과제 간 일반화는 삼원 혼합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음운처리 과제 유형에 따른 읽기훈련으로 두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단어재인 과제의 반응 정확율이 향상 되는 습득 효과를 보였으나, 과제와 집단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으로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 집단이 좀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또한 과제 간 일반화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 집단에서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집단×과제×사전·사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사후검증한 결과, 집단 별 과제×사전·사후 상호작용이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음운인식-훈련 집단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 집단은 과제와 상관없이 사후 정확율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음운인식 과제-중심 집단은 훈련받은 과제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뇌성마비 아동들은 음운인식보다 음운작업기억에서 더 떨어졌으나, 어려운 음운작업기억을 촉진시켜 주었을 때 일반화가 더 잘 되는 결과를 통하여 음운작업기억이 읽기발달에 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 수가 충분하지 못하며, 연령대의 차이가 많은 관계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나, 초기 읽기 수준의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음운작업기억을 통한 읽기훈련이 좀 더 안정된 음소인식을 제공한다는 것과 숙달된 읽기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 음운인식보다 좀 더 효과적인 중재라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Cerebral palsy of the school-aged children who have dysarthria, are included in the high risk of reading disability because of restriction in an phonological processing. In Korea, however, still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related developmental reading have a lot of research on phonological processing. And they need to relate to their reading development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phonological awareness or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ask) appropriately. Reading interventions can be applied to modify the program, and actually it is needed. Reflecting such need,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Experiment Ⅰ, comparing in between the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normal children for the phonological processing task of correct rate. Based on this experiment, experiment Ⅱ try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at based on the type of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skills compared to the effect of impact by training them in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reading skills, phonological processing training was to find ways. In the Experiment Ⅰ, 20 the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r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 6 to 16 years old) and 20 language-matched typical children (age 6), a total of 40 children (male 21, female: 19) were targeted. They were measured with phonological processing(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o explore the challenges. After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In addition,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asks) about the impact on word recognition were analyzed. Multiple mixed analyse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between-group differences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he word recognition rate of correct response rates for the phonological processing task selection phase of the predictive power of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According to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roup is lower in two tasks of phonological processing significantly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subject appears in the task an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verified the results.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roup'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is significantly lower. In addition, with word recogni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roup's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nd also showing phonological working memory of word recognition correct rate was about 25% of the prediction. The truth of these summary,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recognizing the word for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ttribute is a read of the major predictive variables regarded as the two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of the reaction correct rate the normal child group. It can be compared to low, and two of th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in the correct rate of word recognition can be seen that the predictions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 Ⅱ, trials of the experiment discussed in the two phonological process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when any of the courses focus on the training more effective and if the words that can be re-intervent 20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I. Each group of 10 people were assigned in to program of phonological awareness-centered training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centered training. They participated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based on the type of word recognition skills to read the training effect to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effects were compared. Training was conducted 12 sessions, and the post-tests were conducted after three weeks of termination. Word recognition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 on a mixed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two levels, the challenge of the three levels a mixed cross-generalization was examined by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research, phonological processing in reading tasks based on the type of the two group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word recognition task that increases the rate of correct responses showed learning effects. In other words, phonological working memory-centered training group, regardless of the challenges and all the correct rate has been improved,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centered groups trained tasks can see an improvement.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w low phonological working memory, but its no less difficult, i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facilitating a better generalization when given through the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this read could see that more effective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does not have enough, and a lot of difference in ag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s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generalize. But the reading level of early school-ag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read through phonological working memory of phonemic awareness training to provide more stable to switch to one skilled in reading more effective than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s suggest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terms arbi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