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009-
dc.description.abstract근래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장애인부모 가정과 그 자녀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청각장애부모 가정처럼 자녀의 양육 및 언어 교육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가정일 때는 우리사회가 신속히 지원해야 할 부분이 많다. 하지만 아직은 청각장애부모 가정에 어떠한 사회적지원이 더 우선적으로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구체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언어병리학계의 주 관심은 청각장애부모 가정처럼 언어자극 입력이 결핍된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에게 어떠한 측면의 언어발달 지원이 요구되는지를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들 대부분은 자녀에게 자연스러운 언어습득 환경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언어지도의 부담을 가지고 있다(오영희, 1993). 그리고 제 3자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 부모와 일반자녀 사이에는 의사소통 단절문제가 발생하기 쉽지만 이러한 의사소통에 대한 주변 환경 지원은 열악한 상황이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이 의사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화언어는 시각-운동체계(Davis and Silverman, 1978)로 청각적으로 이해되고 음성으로 표현되는 음성언어의 청각-음성 체계와 대비된다(석동일, 1989). 그리고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들은 건청인에 비해 사용어휘가 빈약할 뿐 아니라, 명사나 동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자어휘를 사용하는 빈도도 제한적이다(강주수ㆍ조영림, 2009; 엄미숙, 1999; 김응범, 2008). 국내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는 아직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의 언어특성을 살펴본 기초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그러므로 청각장애부모 가정 아동집단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집단간의 실질적인 언어발달 특성을 밝히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어휘발달 목록은 언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구체적 참조대상물이 있는 명사보다는 의사소통 상호작용 문장 내에 적용된 어휘 의미를 통해서만 습득이 원활한 심성상태(mental state)관련 동사 어휘는 언어 환경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etheton, & Beeghly, 1982; Dunn, Brown, Slomkowski, Tesla, & Youngblade, 1991; Gleitman, 1990; Ruffman, Slade, & Crowe, 2002). 즉, 심성동사를 습득하는 것은 어휘에 대한 정보도 중요하지만 심성동사를 사용하는 발화 상황과 사건을 어휘와 함께 연합하여 습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언어 결핍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심성동사 어휘 발달을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보는 것은 언어 환경 결핍이 심성동사와 같은 특정 어휘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청각장애부모 가정에서 성장하는 건청자녀들의 심성동사 어휘 의미 구조화 분석은 언어문화 환경 차이에 의해 내적 사고 개념 의미가 다르게 구조화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의의에 의해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 1에서는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과 건청부모 가정 자녀들의 심성동사 어휘 발달 특성을 심성동사 3가지 유형별(인지동사, 심리동사, 지각동사)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 2에서는 인지 심성동사 어휘에 대한 구조화 차원을 언어 환경(청각장애부모 가정/건청부모 가정) 및 연령 그룹별로 비교하여 차원 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이 인지 심성동사를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과는 다르게 의미 구조화하고 있는지, 또는 어떻게 다르게 구조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언어자극 입력환경이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청각장애부모 가정 및 건청부모 가정 자녀(4-9세) 각각 28명을 대상으로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과제를 이용하여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정확도와 심성동사 사용율, 문장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을 구분하여 측정하고 아동배경정보와 부모-아동 보내는 시간과 관련된 내용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그림 표현 어휘 과제에 있어서는 심성동사 중 심리동사 표현 어휘 정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이야기 과제에 있어서는 심리와 지각동사 사용율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있어 언어 환경 요인이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장의 복잡성 정도에 따른 심성동사 사용율에 있어서도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경우 심성동사를 사용한 복문 표현빈도가 적었고, 특히 지각동사를 사용하여서는 단문으로 표현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는 심성동사 유형별로 구문 사용의 특성이 언어 환경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으로 사려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또한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는 다양한 언어영역 중 특히 구문(syntax) 능력이 건청부모 가정 자녀와는 차이를 보였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에 있어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인과 심성동사 사용율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건청부모 가정 자녀 집단의 경우는 두 변인 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하지만 심성동사 사용율과 이야기 이해와의 상관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청각장애부모 가정과 건청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초등학교 저학년: 1-3학년) 각각 18명, 일반 성인(19-20세 대학 학부 1학년생) 18명을 대상으로,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인지동사 어휘 총 22개에 대한 “쌍별 유사성 판단”을 7점 척도로 평정한 자료를 다차원분석을 하여 인지동사 어휘에 대한 차원이 각 그룹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을 청각장애부모 가정 아동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은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과 일반 성인 집단과는 인지적 사고 내적 차원에 있어 약간 차이를 보였다. 즉,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와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은 인지동사 내적차원 중 제 1차원은 비구체적-구체적 정보처리, 3차원은 구조적 계획-실행 차원으로 유사하였다. 하지만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22개 인지 심성동사에 대한 유사성 평정자료 제 2차원 자료결과는 내적-외적 정보처리에 대한 차원이었으며,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는 제 2차원이 지각적 입력-개념적 산출정보에 대한 것으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두 언어 환경 집단 간 군집분석 결과는 다차원분석의 결과와 유사한 어휘 범주 차이를 보였다. 즉,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경우는 내적-외적 정보처리에 의해 어휘를 구분하였고 건청부모 가정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는 지각적-개념적 정보처리에 의해 어휘 목록을 구분하였다. 둘째, 연령별(건청부모 가정아동/장애가 없는 일반 대학 학부 1학년생) 인지 심성동사 어휘 내적상태 차원에 대한 다차원분석 및 군집분석 결과 두 연령 집단 간 범주화 대분류는 유사하였지만 소분류에 있어서는 일반 성인의 범주화가 더 구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그룹 언어 환경 및 연령 집단별(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아동,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일반 성인)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에 대한 지각적 지도(perceptual mapping)에서 차원별로 개인별 가중치를 구해본 결과, 일반 성인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건청부모 가정 일반아동,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언어 환경이 다른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은 심성활동 내적 구조화가 완성되는 시기가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는 다를 가능성이 있다. 이는 언어 환경이 심성동사 어휘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연구 1과 연구 2의 결과는 언어 환경이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외부적으로는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정확도와 이야기 과제에서의 심성동사 사용율과 문장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로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 차원을 통해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학령전기 및 초등학교 저학년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을 위한 언어발달 및 학습지원을 위한 지침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open to the disabled cultures around us, families with disabl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are getting more attention from outside sources, especially if the parents have a limited ability to respond to their children’s needs regarding communication. As for deaf parents, our society needs to provide adequate help in those cases. Unfortunately, there is not enough available data on deaf parents with hearing children families. Therefore, speech pathology focuses only on how we can support the hearing children with deaf parents on their linguistic development compared with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Basically, substantial studies on overall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deaf parented families have not been performed in the field of speech pathology in Korea. Even though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hows the survey from deaf parents on their burden of raising children, they are also confronted by limited communication, (Kim,1997; Park, 2001; Park, 2000; Yeum, Huh, Lee; 2004) and on the needs from welfare services (Kim, 2002; Park, 2001). Most studies only focus on deaf parents with their malfunctioning family structure. Moreover, there are no practical studies comparing hearing children with deaf parents an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in Korea. There are additional studies overseas in several areas (speech pathology, psychology, linguistics, special education, mental health etc.) (Johns, & Quigley, 1979; Schiff-Myers, & Klein, 1985; Schiff, & Ventry, 1976; Seal, & Hammett, 1995; Singleton, & Tittle, 2000; Todd, & Aitchison, 1980; Van den Bogaerade, & Baker, 2005). But those studies only provide for five case studies overall or just surveys from the parents of those families. Therefore we need experimental research comparing the two different groups to know their practical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Environmental experience has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Hong, 2009). Parents language input has a different output based on different cultures (Bernstein & Tiegemam-Farber, 2009; Owen, 2005). In other words, children’s vocabularies can be limited in their individual environmental situation. Mental verbs, which can be learned only from communication, have more affect on hearing children who have deaf parents (Bretheton, & Beeghly, 1982; Dunn, Brown, Slomkowski, Tesla, & Youngblade, 1991; Gleitman, 1990; Ruffman, Slade, & Crowe, 2002). Therefore,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from deaf parents and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comparing their communications skills especially in mental verbs will give us some ideas about how deaf parents affect their hearing children on language development. Moreover, through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mental verbs, we can see different daily activity patterns and standardized social patterns. (Clark, 1987; keesing, 1987; Murphy, & Medin, 1985; Schwanflugel, Fabricius, Noyes, Bigler, & Alexander, 1994). If we see some differences with using mental verbs between children with deaf parents an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we can organize those differences and find out the causing factors. Through this study, we also can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mental verbs from different language use. In this study, there are two sections. <Study 1> shows the characteristic in speech with mental verbs comparing two groups separated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ing phases. <Study 2> compares those two groups from Study 1 on how to structure the expressions in mental verbs, and discussion on those two different issues. From this study, we can discover if hearing children with deaf parents accept the mental verbs in different ways from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or how they understand those mental verbs. In study 1, we measured the accuracy, ratio of frequency (mental verb/clause) and linguistic structure complexity levels of using mental verbs through the “mental verbs picture expressing words” and “story retelling: frog whare are you?” tasks. We received basic information how much time is consumed comparing parents-children time from hearing children with deaf parents an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age 4∼9) each with 28 subjec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parents of child subjects. The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hildren from deaf parents (CODA) on the accuracy of the psych mental verbs picture expressing words and the ratio of frequency of perceptive and psych mental verbs through the story retelling. The difference in the linguistic structure complexity levels of using mental verbs between children with deaf parents an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was significant. The linguistic structure complexity levels of using mental verb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than with CODA. Our results indicate that, from 4 to 9 years of age, children's ability to make statements of using mental verbs in the children's narratives changes qualitatively with linguistic home environment, especially syntax.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S (social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ratio of frequency of using mental verbs through story retelling in CODA.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Study 2 used eighteen 7∼9 year ol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and deaf parents, and 18 adult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 and adults organize 22 cognitive verbs. They rated on a 1 to 7 scale the similarity of pairs of cognitive verbs in terms of whether "the words are alike or different based on how you would use your mind when you do that mental activity."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procedures were used to uncover the relations participants perceived among the verbs. In MDS procedures, similarity among items is indicated by their spatial proximity in a multidimensional space.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organization of items and weighting of dimensions in the MDS space can be indicative of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that children view the domain. In result of study 2,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and deaf parents differed slight of dimensions in the MDS space. The first and third dimension to emerge from this analysis was related to the uncertainty/certainty and constructive aspects of mental activities in both children. However, the second dimension in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was related to the internal/external information-processing aspects of mental activities in children with deaf parents was related to the perceptual input/conceptual output information processing aspects. And cluster analysis and MDS between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and adults was comparable. In these experiments, examining the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in this way has enabled us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verbs in ways not evident in other methods. In summary, The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hildren from deaf parents (CODA) on the accuracy of the psych mental verbs picture expressing words and the ratio of frequency of perceptive and psych mental verbs through the story retelling. The linguistic structure complexity levels of using mental verb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hildren from normal parents than with CODA. And children with normal parents and deaf parents appear to be different in their organization of linguistic concepts related to cognition. We conclude that linguistic home environment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verb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and 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특성 9 1.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정의 및 인구현황 9 2. 수화사용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언어 환경 특성 11 3. 수화의 정의 및 음성언어와의 비교 14 B.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언어발달 17 1.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언어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17 C. 심성동사 어휘 발달과 언어환경 20 1. 심성동사 어휘의 정의 및 유형 20 2.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24 3. 심성동사 어휘 발달과 언어환경과의 관계 28 Ⅲ. 연구 Ⅰ: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심성동사 표현 어휘 발달 31 A. 연구의 필요성 31 B. 연구문제 32 C. 연구방법 33 1. 연구 참여자 33 2. 검사 기간 39 3. 검사환경 및 검사자 39 4. 연구 과제 40 5. 연구 절차 45 6. 자료 분석 48 7. 평가자간 신뢰도 50 8. 자료의 통계처리 51 D. 연구 결과 51 E. 결론 및 논의 69 Ⅳ. 연구 II: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 73 A. 연구의 필요성 73 B. 연구문제 76 C. 연구방법 76 1. 연구 참여자 76 2. 연구 과제 79 3. 연구 절차 81 4.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81 D. 연구 결과 82 E. 결론 및 논의 97 Ⅴ. 종합 논의 102 A. 연구 I과 II의 종합 분석 102 B.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09 부록차례 138 Abstract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27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심성동사 발달 및 의미 구조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수화사용부모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Developing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in Children of Deaf Parents (CODA)-
dc.creator.othernameLee, Eun Ju-
dc.format.pagexv, 18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