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Korean EFL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Titl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Korean EFL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Other Titles
구문 점화 처리 활동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여격 산출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The priming effect is a phenomenon by which a preceding stimulus influences the treatment of its ensuing stimulus. Following this phenomenon, the deployment of the first presented word or text influences the learner's memory. Based on this, syntactic priming began with studies that focused on how a person learns his or her mother tongue and how the learners produce language. In recent years, this has been used to study foreign language learning. It was reported that presentation of the visual and perceptional stimulus of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influences how a learner produces language, thereby continuously producing suggestive learning effect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yntactic priming effect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as well as its utility as a suggestive grammar learning tool for a second language. It also examined how the syntactic-priming treatment influenc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duction of particular grammatical forms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as well as the continuity thereof.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first, the syntactic priming effect as Korean English-language learners produce dative constructions; second, the syntactic priming treatment effect by analyzing each production group and their outputs; and third, the continuity of syntactic priming in terms of grammar learning. Forty-eight second-grade students of a private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y were group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randomly, and were made to take a mid-term internal achievement-test in their school, in which they scored 60 to 80 point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ategorized as the spoken-production group, written-production group and spoken- and written-production group according to the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Picture description based on the Bock and Griffin research (2000) was applied. The current study performed different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After two weeks, the activities except the post-test were conducted 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performed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improved their learning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do such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ular grammar syntactic production. Second, the production group's improvement in syntactic priming activities and their outputs were analyzed. The groups with the greatest improvements were the spoken- and written- production group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alysis of the outputs revealed that the spoken-production group achieved the greatest performance. Lastly, the effect of syntactic-priming treatment activities on the persistency of grammar learning was examined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speaking and writing production groups performed much better than the other groups. This suggests that as the spoken- and written-production groups underwent the duplicate production complicity of speaking and writing, they experienced a sort of repetition effect, showing such improvement regardless of the interference effect accompanied by the complicated elements of their own practice. Although the pres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suggests an implication in the teaching methods of foreign language grammar observed in schools. First, the study suggests that syntactic treatment activities could be used in enabling effective classroom learning in learning different grammar structures. Second, it suggests to teachers that grammar structure learning activities using diverse methods can be devis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entence completion, scripted-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learners, and structural treatment may be combined to provide more potential benefits to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at diverse structure treatment activities can improve learners' linguistic abilities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점화 효과(priming effect)는 선행 자극이 후행 자극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처음 제시되는 단어나 텍스트의 배치 순서가 학습자의 기억에 미치는 현상이다. 이러한 점화 효과를 바탕으로 하는 구문 점화(syntactic priming)는 학습자의 언어 산출 활동과 관련한 모국어 학습 연구에서 시작되어 최근에는 외국어 학습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구문 점화처리 활동의 시각적 자극과 인지적 자극의 선행 제시가 학습자의 언어 산출능력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지속적인 학습에 암시적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2언어 산출 활동에서의 구문 점화 효과 및 제 2언어 학습자들의 암시적 문법 학습 도구로서의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구문 점화 처리가 한국 중학생의 특정한 문법 구문형태(여격 구문,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산출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구문 점화의 효과를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여격 구문 산출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구문 점화 처리 후 효과를 각 산출 집단 과 산출물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문법 학습 측면에 있어서의 구문 점화 처리의 지속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사립 중학교 2학년 학습자 48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2010년의 교내 중간 평가 시험결과 평균 60점에서 80점 사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의로 3개의 실험 집단과 1개의 통제 집단을 나누었다. 실험 집단의 경우에는 구문 점화 처리의 산출 활동에 따라 말하기 산출 집단, 쓰기 산출 집단, 말하기와 쓰기 산출 집단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으며, 통제 집단은 구문 점화 산출 활동 없이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이 진행되었다. Bock과 Griffin(2000)의 연구에 기반을 둔 그림 묘사 기법(picture description)이 적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활동은 사전 시험, 산출을 포함한 구문 처리 활동, 사후 시험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시험과 구문 처리 활동은 실험 첫날에 이루어졌으며 사후 시험은 2주 후에 실시되었다. 연구 자료로는 동일한 시험이 사전과 사후에 시행된 결과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를 통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문 점화 처리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의 학습자들의 향상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특정한 문법 구문 산출에 있어서의 구문 점화 처리가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문 점화 처리 활동의 산출 집단 별 향상도 및 산출물의 분석을 조사한 결과, 가장 큰 향상을 보인 집단은 말하기와 쓰기 산출 집단으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산출물의 분석 결과에서는 말하기 집단이 가장 높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는 구문 점화 처리 활동이 문법 학습의 지속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사전과 사후 시험의 결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말하기와 쓰기 산출 집단이 다른 실험 집단에 비하여 높은 향상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말하기와 쓰기의 중복된 산출 과정을 거치면서 일종의 반복 효과로 인하여 자체 실행의 복합적 요소에 수반되는 방해효과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결과라는 점을 감안할 때 매우 의미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하여 학교에서의 외국어 문법 교수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구문 처리 활동의 문법 구조 학습에서 보여준 효과를 활용하여 다른 문법 구조의 학습 활동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교실 학습 활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교사에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문법 구조 학습 활동을 고안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묘사 기법을 제외한 문장 완성(sentence completion), 개인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 활동(scripted interaction) 과 구문 처리를 결합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잠재적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