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손현수-
dc.creator손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85-
dc.description.abstract기업교육 환경에서는 최근 교육훈련 전이(transfer of training)라는 개념을 통해 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 있으나 사이버대학의 경우, 전이를 통해 교육성과를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정의 어려움 때문에 최근 전이를 대신하여 학습자가 교육훈련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무에서 사용하려는 특정한 욕구인 전이동기(motivation to transfer)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이 또는 전이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학습자 특성, 훈련설계, 외부환경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훈련 참가자의 자기효능감이나 동기부여와 같은 변수들에 대해서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업무관련 유용성도 중요한 반응 측정치로써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전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교수자, 동료 학습자의 지원, 학습 분위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변수이자 동기적 변수인 내재적 가치와 학습내용 변수인 학습 유용성, 외부 환경 변수인 학습환경이 만족도와 성취도,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하나의 통합된 모형으로 상정하여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직장유무에 따라 내재적 가치, 학습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 성취도, 전이동기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는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 성취도는 전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라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5.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라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6.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라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 성취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S사이버대학을 선정하고 2010년 2학기에 진행된 '갈등관리와 협상'과 '커뮤니케이션 스킬' 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받은 도구들을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학기종료 2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에 응답한 599명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584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이 중 직장이 있는 학습자는 283명, 직장이 없는 학습자는 301명이었다. 수집된 데이터가 구조방정식의 가정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성과 변수와 학습성과 영향변수들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및 학습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세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학습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와 학습 유용성,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학습환경과 성취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학습유용성, 내재적 가치, 학습환경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이동기에는 내재적 가치와 학습 유용성보다 만족도가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이 있는 학습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유용성과 학습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이 없는 학습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해당 경로계수들은 두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유무에 따른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며, 직장이 없는 학습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당 경로계수는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이 없는 집단에서만 유의하며, 영향력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학습 유용성, 만족도는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장이 있는 집단에서 모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해당 경로계수들은 모두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집단분석을 위한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2과목에서 표본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학습성과 영향변수인 학습 유용성과 학습환경, 학습성과 변수인 만족도, 성취도, 전이동기는 교과목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가설을 재검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수강생들이 다양한 전공을 가지고 있는 만큼, 소속된 업종이나 수행하는 업무 또한 다양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들 변수의 측정에 업무나 업무환경의 차이가 반영되지 않도록 변수에 대한 통제가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직장이 있는 학습자를 정규직과 비정규직 전일제 계약직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비정규직 계약직의 경우, 고용상태나 고용기간에 있어서 정규직에 비해 변동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을 보다 정확히 검증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전일제 계약직의 고용과 고용기간에 대한 통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은 응답자의 주관성으로 인해 실제를 반영하는데 있어 제한점이 따른다. 따라서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재검증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직장유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성과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의 사회적 소속감이나 심리적 행복과 같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관계를 검증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 성취도 전이동기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상정하고 직장유무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직장유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학습성과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In a corporate training environment, transfer (transfer of training) is being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but transfer is considered as a difficult variable to evaluate the learning outcomes in a cyber university. Therefor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measuring transfer, motivation to transfer which means special intention to us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from education and training has been used to measure performance.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ransfer and motivation to transfer can be divided into student students’ characteristics, training design, external environment. However, we need far more comprehensive study about participants' self-efficacy or training motivation and measurement of work-related usability as an important reaction variable. Also,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or and peer support, learning atmosphere) is needed to study as an important factor for motivation to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chievement, motivation to transfer) focus on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in a cyber university. Also,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tudents’ employment on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and learning environment have effect on satisfaction? 2. Do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have effect on achievement? 3. Do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ve effect on motivation to transfer? 4. Is there an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employment in terms of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5. Is there an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employment in terms of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6. Is there an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employment in terms of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To mee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S cyber university was chosen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enrolled at 'conflict management and negotiations'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he fall semester of 2010. Instruments for measuring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were adop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last two weeks of semester to ask learners’ demographic information,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A total of 599 learners responded the survey, however only 584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mong the 584 respondents, 283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mployment and the remaining 301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ithout employment.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administrated. Th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performed in a row using SPSS and AMOS. Lastly,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the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employ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and learning environment had effects 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Second, students’ intrinsic value had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However, students’ learning usefulness and learning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Third, students’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and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motivation to transfer. However,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and achiev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otivation to transfer. Fourth, students’ learning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higher effect size on satisfaction compared to intrinsic value and learning environment. Also, student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higher effect size on motivation to transfer compared to intrinsic value and learning usefulness. Fifth, students’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had effect 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 two groups. However, the effect size betwee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as high in students with employment. Conversely, the effect size between learning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as high in students without employment.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structural path coefficients of two groups in structural model. Sixth, students’ intrinsic value had effect on achievement significantly in two groups. However, the effect size between intrinsic value and achievement was high in students with employment.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structural path coefficients of two groups in structural model. Seventh, students’ intrinsic value had effect on motivation to transfer significantly only in students without employment. However, learning usefulness and satisfaction had effect on motivation to transfer significantly in two groups, and all the effect size was high in students with employment.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structural path coefficients of two groups in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sample was collected from two subjects for multi-group analysis. However, learning usefulness and learning environment as learning impact variables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as learning outcome variables could be affected by contents of subject and managemen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hypothesis with the sample in the same subject. Second, students do business or work in various fields as they have a variety of majors.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trol the differences of work or work environment factors when the variables are measured. Third, in this study, students with employment were defined as full-time contract. However, the case of non-regular contract, changes may occur in their state or period of employment. Therefor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verify the hypothesis, control is required in these factors. Fourth,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 However, due to the subjectivity of respondents, there are limitations. Thu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 could be useful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students’ environment and accuracy of the survey results. Fifth,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students’ employment in a more precise way, it is worth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happiness or social belongings that could affect learning outcome. As mentioned above, present study set a structural model composed of a cyber university students’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model, and confirmed the influences of students’ employment that explained learning outcomes in a cyber universit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explain the effect of students’ employment on learning and devise the method how to increase learning outcomes in a cyber univers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9 A. 사이버대학 9 1. 사이버대학 현황 9 2. 사이버대학의 학습자 현황 10 B. 사이버대학에서의 학습성과 11 1. 만족도 11 2. 성취도 12 3. 전이동기 12 C. 학습성과 영향변수 13 1. 내재적 가치 13 2. 학습 유용성 14 3. 학습환경 14 D. 관련 선행연구 16 1.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및 학습환경과 만족도 16 2.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및 만족도와 성취도 17 3.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만족도 및 성취도와 전이동기 20 4. 직장유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23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절차 29 1. 선행연구 분석 29 2. 설문조사 실시 29 3. 결과분석 29 C. 측정도구 31 D. 자료의 분석방법 34 Ⅳ. 연구결과 36 A. 기초통계분석 36 1. 기술통계분석 결과 36 2. 상관분석 결과 38 B. 연구모형에 따른 분석 41 1.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41 2. 직장유무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50 Ⅴ. 결론 및 논의 63 참고문헌 73 부록. 설문지 84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2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내재적 가치, 학습 유용성, 학습환경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Value, Learning Usefulness,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Outcome based on Students' Employment in a Cyber University-
dc.creator.othernameSon, Hyun Soo-
dc.format.pagexi, 9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