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초등학생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인식 차이 및 담임교사 평가 결과 분석

Title
초등학생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인식 차이 및 담임교사 평가 결과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n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and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Authors
김본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which starts from 2010 and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Also this study is to attempt to se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and the results of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areas to investigat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and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One is made up of three catagories. They are the necessity of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he participation attitude of students and the effect of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he other is made up of two catagories. They are learning guidance and life guidance. The former consists of preparing for class, performance for class, evaluation and practical use for class. And the latter is composed of personal life guidance and social life guidance. Students' individual factors of this study are students' gender, grade, school record, private education, working parents, homeroom teachers' gender, students-teachers' gender and director teacher.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of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hird, are there differences of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ccording to levels of perceptions? For the survey, 1,0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in 6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in Seoul. 2 classes were selected each grade. One class has a male homeroom teacher and the other class has a female homeroom teacher. As a result, 36 classes including 18 male homeroom teachers and 18 female homeroom teachers are chosen. Answers of 976 respondents returned from overall 1,024 students were analyzed and T-test and F-test on statistics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with SPSS 12 program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re properly, fairly and honestly than male stud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forth grade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fifth grade students. Also fifth grade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sixth grade students. Besides, the group which had high school record was higher in the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the group which had low school record. Second, students who took part in private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about the necessity of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han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one person of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re properly, fairly and honestly than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parents. Also female students-female teachers groups had the highest the levels of perceptions about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hird,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male students in evaluation and practical use for class and social life guidance of the homeroom teacher. And 6th grade students had the lowest satisfaction in all areas of the survey. By and large, forth grad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sixth grade students and fifth grad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sixth grade students in homeroom teacher evaluation. Fourth, the group which had high school record was higher in the levels of satisfaction about homeroom teachers than the group which had low school record. And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one person of parents were more satisfied about homeroom teachers' life guidance than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parents. Fifth, the students who had the female homeroom teacher reveal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about their homeroom teacher than the students who had the male homeroom. Also female students-female teachers groups had the highest levels of satisfaction about their homeroom teacher, and the next was male students-female teachers groups. Therefore, bot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about female homeroom teachers. Sixth,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the results of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e more satisfied about their homeroom teachers.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First, for objective and fair assessment, continui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participation attitude of 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low school record is needed. Second, All students should be aware that Teacher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i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refore, teachers should educate their students repeatedly for proper assessment. Then students will take part in this evaluation system with higher levels of percep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more in the follow-up research because of not being proven objectively in this study about why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one person of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re properly, fairly and honestly and ha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homeroom teachers' life guidance than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parents. Fourth, female students tend to give higher scores about their homeroom teacher than male students. So when teachers analyze the results of evaluation, they should consider the gender ratio of the class. Lastly, this survey is limited to specific area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if nationwide sampling, middle school students or high school students sampling and 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or non-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sampling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different. Therefore, the follow-up researches on these are needed.;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전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해 초등학생의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실제 평가 결과 및 그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는 데에 도움을 주는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초등학생 배경변인별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해 어떠한 인식 차이를 나타내는가, 둘째 담임교사 평가 결과(만족도)가 실제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인식과 평가 결과(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등에 대해 유의미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학생의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교육 여부, 부모의 맞벌이 여부, 담임교사의 성별, 담임교사의 보직 여부에 따라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배경변인의 일부만을 설정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학생의 인식 차이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식 차이를 나타내는 배경변인들을 모두 설정하여 그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학생의 성별과 담임교사의 성별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담임교사의 평가 결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인식 수준에 따라 담임교사의 평가 결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내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년에 담임교사가 남자인 학급과 여자인 학급을 각각 한 학급씩 선정하여 총 36학급, 1,0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선정에 있어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4, 5, 6학년 학생들을 동일하게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한 학년 당 적어도 300명 이상을 조사해야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것이라 판단하여, 4, 5, 6학년을 합하여 1,024명을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또한 학생의 배경변인 중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교육 여부, 부모의 맞벌이 여부 외에도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인식 및 담임교사 평가 결과(만족도)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4, 5, 6학년 담임으로 남교사와 여교사가 모두 있는 학교를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사전연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학생 총 1,024명 중 회수된 976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에 따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바른 태도로 공정하고 솔직하게 참여하였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가 '상'인 집단은 '하'인 집단에 비해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교육 참여 학생이 비참여 학생보다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지 않는 학생이 맞벌이 가정의 학생보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더 바른 태도로 공정하고 솔직하게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학생-여교사 집단이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인식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학생 성별에 따른 담임교사 평가 결과(만족도) 분석 결과, 담임교사의 평가 활용과 사회생활지도 면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만족하였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모든 영역에서 6학년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4학년이 6학년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담임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에 따른 담임교사 평가 결과(만족도)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가 '상'인 집단은 '하'인 집단에 비해 담임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지 않는 학생이 맞벌이 가정의 학생보다 담임교사의 생활지도에 더 높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다섯째, 여교사 담임 학급의 학생이 남교사 담임 학급의 학생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영역에서 여학생-여교사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여학생과 남학생 모두 여자 담임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인식 수준과 평가 결과(만족도)는 강한 정적 상관 관계로 드러났다. 즉,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담임교사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학생 성별 및 학업성취도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즉, 남학생 및 성적이 낮은 학생들의 참여 태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교육 참여 학생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을 더 높이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사교육 경감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학생들에게 꾸준히 공유해야 함을 시사한다. 즉, 공교육에서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함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주어서 취지에 알맞은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다. 셋째,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는 학생보다 더 바른 태도로 공정하고 솔직하게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맞벌이를 하지 않는 부모님이 시간적으로 여유가 많아 학교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을 교육시킨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객관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과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인식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여학생-여교사 집단이 다른 집단들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하였다. 이는 여학생들의 특성이 반영된 것일 수도 있고,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학생들에게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교육을 좀 더 강조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교사가 학생들로 하여금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지도한다면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태도로 평가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섯째,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업 만족도가 낮은데, 이는 비슷한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한 익숙함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어, 해를 거듭할수록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성적이 좋은 학생이 학교 교육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학교 교육과정이 학업 성적이 좋은 학생들을 위주로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를 되짚어볼 필요도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는 학생보다 생활지도 면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이는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라 가정교육에서 다른 성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본 조사에 반영된 결과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살펴본다면 흥미 있는 결과가 예상된다. 일곱째, 담임교사 성별에 따른 만족도 결과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평가 결과(만족도)를 받았으며,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여학생-여교사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여교사의 지도 능력이 더 우수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초등학생이 남교사보다 여교사를 더 좋아하는 성향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같은 여교사 또는 같은 남교사일지라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드러내고 있었다. 따라서 같은 현상에 대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으므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결과를 분석할 때 단순히 점수만을 가지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반 학생들의 성비 비율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도 있다. 여덟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인식 수준과 평가 결과(만족도)는 강한 정적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은 담임교사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더 나은 교육을 위해 헌신하는 교사의 자세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에게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지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표집 대상을 서울 지역의 일부 초등학생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이 결과를 전국의 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전국 단위의 학생 표집,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표집, 남녀공학 및 공학이 아닌 학교의 학생 표집 등에 따라 연구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