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노경희-
dc.creator노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guring out an impact of art village on the rise of place value and the development of brand asset.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drew out related implications from home and abroad cases, and then presented a strategy to revitalize art village from now on. The distinct features appeared from the abroad case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art area are formed through the creative activity of the people of various social stratum into the area. Second, the supply and demand in service related to art creation is come into being causing the birth of capital inflow and distribution turning the area into an art market. An example for that is the 798 Dashanzi Art Village in 1990s where a great many of art studios got into to form an art village. Another case is the Soho New York area where a great deal of people rushed to with the curiosity about the lives and artistic creation of avant-gardists, resulting in the inflow of all sorts of galleries, and art related businesses forming an artistic atmosphere for the area. Soho and Dashanz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regional development, that is, they emerged under different economic systems, but became to have one thing in common which was the cheap rent for wide storehouse or attics with lofty ceilings suitable space to create works which were put to remodelling to adjust to a new era after many more artists started to reside there. This researcher picked out Paju Book City and Gwangju Biennale to analyze as the home cases. Gwangju Biennale continually open international exhibition to provide chances for the related regional industries, though a short term, causing inductive effects to rise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mage improvement. Furthermore, it carries on economic roles, various social. cultural roles establishing regional identification and enhancing its awareness and dignity, by extension' it even functions as a means to develop new things and supply them. As for Paju Book City, the publishing industry consists of small scale of individual business whose expertise are though very high, and so provided that the spatial tie formed by various businesses in the complex should be turned into functional tie, it would produce a linkage effect of securing an economy of scale through integration and contact. Such art village formed under such condition influences greatly on the area where it belongs in the way of rising the value and brand asset formation for the area, an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its economic, sociocultural views. First, the expected economic effect of the area thanks to its designation as cultural art area is an increase in the regional income, strengthening of the regional financial pow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within the area which will be followed by regional increase in employment. Second, the formation of art village would bring about expected effect for the society and culture as a ripple effect. Like this,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used marketing help the people in the fields with their artistic activities bringing about many expected effects resulting in the rise of the regional value, the result of which is good for the local companies and government But, the change of the art village into a commercial natured form turns into a cause to weaken a true value of the art value. Accordingly, we need the strategy in developing art village suitable for the reality in our country. Hereupon,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lans to develop art village adjusting to our country which are the formation of cultural facilities, use of events, formation of cultural industries. First, regarding the strategy for art village through the making of cultural facilities, this type, in fact, is mostly adopted to cultural policy-centered urban regeneration, which directly aims regional development . Second, it's the events- used art village strategy through which tourism business and employment could be grown on the back of the improvement of the pertinent urban appearance and environment through the opening of grand cultural events. Third, it's the cultural industries formation -used art village strategy which forms a general consensus in the view that culture creation industry can bring about many ripple effects, and promote urban economic activities.;본 연구에서는 예술특구가 지역가치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외사례와 국내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예술특구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국외 사례에서 나타난 특징은 첫째는 문화예술지역의 형성은 창작행위를 통한 다양한 사회 계층의 유입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며, 둘째는 예술 창작과 관련된 행위들과 그에 부속된 서비스의 수요공급이 발생하면서 자본의 유입과 유통이 발생됨으로서 예술시장으로 변해간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것은 1990년대 따산즈 798 지역에는 많은 스튜디오들이 이주함으로서 예술인촌이 형성되었다. 또한, 뉴욕소호 지구에도 이렇게 사람들이 전위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창작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모여들자 다양한 갤러리와 예술단체, 예술관계업체들이 유입되면서 예술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소호와 따산즈는 지역적 형성동기에 있어 경제체제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태어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모두 예술가 들이 싼 임대료, 넓기도 하면서 천장 고가 높은 창고나 다락방은 그들의 창작공간으로 적절했다는 점과 예술가들이 모여들면서 기존 건물을 새로운 시대에 맞는 용도로 변경하여 리모델링했다는 점이다. 국내의 사례로 파주출판단지와 광주비엔날레를 분석하였는데, 광주비엔날레는 국제 규모의 전시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함으로써 단기적이나마 지역에서 개최되는 과련 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의 이미지 개선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고양시키는 유발효과 또한 발생시키고 있다. 그 외에도 경제적 기능과 다양한 사회ㆍ문화적 기능을 수행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명도와 품격을 고양시키며, 새로운 것을 발굴하고 보급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파주출판단지의 경우는 출판 산업이 구성하는 개별업체는 소규모이면서 고도로 전문화된 업체형식이 대부분이므로 단지 전체에 다양한 업종이 모인 공간적 유대를 기능적 유대로 전환하여, 집적과 접촉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연관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예술특구지역은 그 지역의 가치상승과 브랜드 자산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화예술특구 지정에 따른 경제적 기대 효과는 지역소득의 증대와 지역 재정력이 강화되고, 지역내 연관 산업이 발전되고 고용이 증대된다는 점이다. 둘째, 예술특구 형성으로 인한 파급효과로 사회·문화적 기대 효과를 들 수 있다. 이처럼 문화와 예술분야를 이용한 마케팅은 문화·예술계의 창작활동을 도와주고 기업과 지자체 입장에서도 지역가치 상승에 유리한 여러 가지 기대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러한 상업적 변모는 예술특구가 지니는 진정한 가치를 쇠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예술특구 개발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예술특구 형성을 위한 개발전략으로 문화시설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 이벤트 활용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 문화산업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문화시설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이다. 이는 문화정책 중심의 도시 재생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이러한 전략은 지역발전을 직접적으로 도모하는 개발 방식으로 작동한다. 둘째, 문화 이벤트 활용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으로, 대형문화 이벤트의 주최는 해당 도시의 도시 면모와 환경의 개선을 통한 관광업과 복무업의 발전계기를 마련해준다. 셋째, 문화산업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으로, 문화창의산업이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고, 도시의 경제활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II.이론적 배경 5 A.문화예술과 지역경제 5 1.문화예술에 대한 인식변화 5 2.문화예술과 문화소비 7 3.문화소비의 특성 9 B.예술측구와 지역가치 상승 12 1.예술특구의 정의 12 2.예술특구의 브랜드 자산화 13 3.문화소비와 지역가치 상승 16 4.선행연구 17 III.사례연구 20 A.국외 사례 20 1.중국 북경 798 예술특구 20 2.스페인 빌바오(Bilbao) 예술특구 29 3.뉴욕의 소호 예술특구 35 B.국내 사례 41 1.파주 출판도시 41 2.광주 비엔날레 47 IV.예술특구의 효과분석 52 A.예술특구와 지역가치 상승 52 1.예술특구 형성이 지역가치 상승에 미친 효과 분석 53 2.사회ㆍ문화적 기대와 도시재생에 미친 효과 분석 56 B.지역가치 상승을 위한 예술특구 정책 및 전략 58 1.문화시설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 62 2.문화 이벤트 활용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 62 3.문화산업 조성을 통한 예술특구 전략 64 V.결론 66 A.결론 66 B.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79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예술특구가 지역가치 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fluence of Art Village having on to the Rise of Place Value and Regional Economy Activation-
dc.creator.othernameRoh, Kyung Hee-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