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병권-
dc.contributor.author최선아-
dc.creator최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82-
dc.description.abstract교과서는 한 나라의 국가적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학생들이 보는 가장 기본적인 학습지도서이다. 따라서 교과서는 교육의 현장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지식으로서의 내용전달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유발 할 수 있게 하는 교과서의 외적인 체제와 편집디자인의 요소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 초등 사회교과서를 중심으로 편집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교과서의 대상은 3, 4학년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초등 사회교과서의 경우 1, 2학년에는 슬기로운 생활을 통해 사회에 관한 통합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3학년부터 사회교과서라는 정식명칭을 가지고 교과목 수업이 이루어지기에 연구대상은 사회교과서를 처음 접하는 3, 4학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교과서는 타교과서에 비해 시각이미지의 활용과 시각자료를 통한 학습의 기능이 강하므로 편집디자인이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 편집디자인의 기능성과 필요성이 중시되는 초등 사회교과서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를 통한 사례조사와 현황분석, 또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 초등 사회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편집디자인 구성요소에 따라 문제점을 분석해보았다. 첫 번째로 타이포그래피문제점은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서체의 선택이 부족했고, 또 서체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디자인의 구성이 통일되지 않는 점이 있었다. 또한 정렬에 있어서 양끝맞춤 정렬로만 되어 있어 자간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못해 학습자가 글을 읽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가 있었다. 글줄의 길이의 경우 140mm을 기준으로 두지만 행폭, 자간, 행간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고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내용을 한 번에 인식하기 힘든 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1단 중심으로 된 그리드의 효용성이 부족했고 단과 여백에 대한 효율적 활용이 없었다. 또 레이아웃이 일정하지 않고 산만해 학습자의 시선을 분산 시켜 이러할 경우 학습자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가 사료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각이미지에 있어서는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과서의 활용이 다양함과 재미는 있으나 체계적이지 않고 각각의 페이지가 흐름의 연결이 없이 끊기는 현상이 있었고, 일러스트레이션 외에 사진이미지나 기타 그래픽 요소들의 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는 1. 서체의 개수를 줄이고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서체를 사용한다. 2. 양끝맞춤 정렬과 왼쪽정렬을 함께 사용한다. 3. 글줄의 길이에 유동성을 준다. 두 번째,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1. 2~3단 구성을 적절히 활용한다. 2. 여백의 활용을 최대화 한다. 3. 레이아웃에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한다. 세 번째로 , 시각이미지에 있어서는 1. 일러스트레이션의 스타일을 제한한다. 2. 사진의 활용을 높인다. 3. 아이콘과 같은 기타 그래픽요소를 잘 활용한다. 4. 기타 선과 면, 색등의 시각이미지의 요소에 통일성을 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 기존의 연구 사례들과 이론에 근거하여 편집디자인에 대한 일관성과 흐름의 통일감등의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체계적이고 교육 습득에 향상을 가져올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A textbook is the most fundamental instructional books compiled by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students to read. Therefore, the textbooks play a very crucial role in the educational sites. It is safe to say that textbooks’ external systems and the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to arose interest and intrigue of the students would be also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content delivery of knowledge. This researcher has analysed the status of editorial design focusing on the social science textbook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s. The textbooks for the study are selected centered on the textbooks used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n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cience textbook in Korea,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the integrated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on the social science with ‘Wife life.‘ Starting with the third grades, the textbooks are given the official title as the social science textbook for the course lessons and thus, the study analysed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who first get to use the social science textbook. social science textbook, especially, use the use of the visual images and visual materials for the learning and therefore, the role of the editorial design is quite crucial. Thus this study is to be conducted, centered o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cience textbook where the functionality and importance of the editorial design is crucial.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problems and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 social science textbook from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editorial design and the surveys. First and foremost, the researcher has analysed the problems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editorial design. First, the problems in the typography include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typeface for each element was lacking. Also due to the indiscreet use of the typeface, overall design structure lacked the sense of unity. In terms of alignment, it only consisted of the both ends alignment which made the space between the letter space inconsistent, presenting the element which interfered with the reading by the learner. The length of the lines was standardized at 140mm but they change flexibly according to the line width, letter space and line space and the readability drop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contents at once. Second, as for the layout, the efficiency of the 1 paragraph centered grids was lacking and the efficient use of the paragraphs and blanks was in need as well. Furthermore, layout was not consistent and discursive, decentralizing the attention of the learners and this was considered to be an issue which could interfere with the learning. Lastly, as for the visual image, the use of the textbooks centered on the illustrations provided diversity and fun for the learners. However, it was not systemized and there was no continuation in the flow of each page and sometimes got discontinued. Moreover, the photo images or other graphic elements besides the illustration were not being used well. Therefor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 researcher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for the typography 1. Reduce the number of typeface and use the appropriate typeface for each element. 2. Use both ends alignment and left alignment together. 3. Give the fluidity in the lengths of the lines. Second, as for the layout 1. Use the 2~3 paragraph structure appropriately. 2. Maximize the use of blanks. 3. Maintain consistency and unity in the layout. Third, as for the visual image 1. Limit the styles of the illustrations.. 2. Raise the use of the photos. 3. Use other graphic elements like icons well. 4. Give the sense of unity to the elements of visual images such as lines, side and colou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rom the study, the editorial design of the current textbook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overall structure, the study hope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editorial design which will bring the improvements in systemized learning through the study on the consistency and a unity in the flows in editorial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II. 이론적 배경 4 A. 교과서의 이론적 고찰 4 1. 사회교과서의 특징 및 기능 4 2. 교육부제시 교과서의 외형 체제 5 B.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 7 1. 타이포그래피 8 2. 레이아웃 9 3. 시각이미지 10 III. 국외 사회교과서의 현황 및 사례분석 12 A. 국외 초등 사회교과서의 선정배경 12 B. 국외 초등 사회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분석 13 1. 미국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 현황 14 2. 프랑스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 현황 26 3. 독일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 현황 33 4. 국외 초등 사회교과서 비교분석 결과 40 IV. 국외 사회교과서의 현황과 분석 43 A. 초등 사회교과서의 편집디자인 현황 43 1. 초등 3, 4학년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외적체제 45 2. 초등 3, 4학년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내적체제 47 B. 현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문제점 분석 76 1. 현 초등학교 교과서 편집디자인 설문조사 76 2. 현 초등학교 교과서 편집디자인 문제점 분석 82 V. 디자인의 방향 및 제안 84 A. 초등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의 개선방안 가이드라인 84 B. 초등 사회교과서 편집디자인 시안 86 VI.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1 부록. 설문지 104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00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교과서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편집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교과서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Editorial Desig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of the Textbooks : Focusing on the Social Textbook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Choi, Sun Ah-
dc.format.pagex,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