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김은주-
dc.creator김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28-
dc.description.abstract사람들은 어떠한 브랜드를 선택하고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강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자아 표현 과정의 일부로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이미지를 가진 브랜드를 선택하게 되고 따라서 소비자가 가지고 싶은 개성을 창출하는 브랜드라면 소비자의 강력한 충성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브랜드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로서 미디어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미디어의 변화는 인터넷이라는 전혀 새로운 기반의 매체로 인해 그 범위를 더욱더 확장시키게 되었고 이전의 매체가 지닌 근본적인 단점을 수정, 보완하여 점차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즉 이전의 미디어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개인미디어의 등장이 가능하게 되었고, 1인 미디어의 활성화를 통해 미디어의 다각화된 변화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의 대중화 바람이 거세게 불면서 스마트폰 하나로 정보습득, 업무수행, 사회적 관계형성, 여가활동 등의 개인적 욕구를 해결하는 대중들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광고문자나 전자쿠폰 제공 등으로 국한되던 기업들의 모바일 마케팅 역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때문에 이를 활용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마케팅 도구로서의 브랜드 앱 개발은 기업의 또 다른 순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의 많은 기업들이 자신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브랜드 앱 운영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 중 나이키, 피자헛, 테스코, BMW 등의 앱은 성공적으로 자사의 브랜드를 알린 사례로 꼽힌다. 이들의 특징은 첫째, 각자의 브랜드 개성에 맞는 고객니즈의 명확한 파악이 선행되었으며 둘째,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목적성과 방향성이 분명하였다. 셋째,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가 아닌 사용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넷째, 명쾌한 UI와 단순한 구조로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앱에 대한 이해도를 높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미디어나 웹과는 다른 스마트폰의 환경을 이해하고 충분히 활용하였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브랜드 앱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국내 대형유통업계의 백화점들도 하나둘씩 앱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소위 Big3라고 불리우는 이들 백화점의 앱 현황을 살펴보면 단순히 전단제공, 지점안내 등의 일방적인 소통에 그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웹과 모바일의 환경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레이아웃과 너무 많은 컨텐츠의 노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백화점인 AK플라자의 효과적인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도구로서 브랜드 앱을 분석,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K플라자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브랜드 앱의 니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백화점 쇼핑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조금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브랜드 앱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AK플라자 내에서의 고객들의 원활한 쇼핑을 돕는 ‘AK플라자 쇼핑’과 백화점 브랜드가 단순히 쇼핑만을 하는 장소의 제공자가 아닌 고객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이미지로서의 브랜드를 제고하기 위한 기능의 ‘AK플라자 라이프’의 두 가지 카테고리를 포함한 앱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앱의 자세한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K플라자 쇼핑’에서는 AK플라자 내 주차장의 주차현황, 입차 안내를 돕고, 원하는 매장이나 상품의 위치를 쉽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밖에 전단보기, 지점안내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K플라자 라이프’에서는 AK플라자 내 놀이방에 맡긴 아이를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Baby care기능과 푸드코트 내 모든 상품의 상세정보를 바코드 인식 한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스스로 운동량 체크, 칼로리 소요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그 밖에 문화센터 동영상 강의를 손쉽게 받아 활용할 수 있다. 이 AK플라자 앱 디자인은 AK플라자가 가지고 있는 ‘세련된 도시감각의 고품격 백화점’이라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였고 모바일이라는 한정된 작업환경 내에서 사용자가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명시성과 가독성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K플라자 브랜드 앱은 변화하는 환경의 강력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소비자들에게 제품구매를 하는 장소로서의 속성인 백화점에 그치는 것이 아닌 조금 더 다각화된 측면의 AK플라자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People have a strong tendency of expressing their own identity by selecting and using certain brands. As part of such self-expression, consumers select brand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ir own selves, and therefore a brand that can present the personality consumers wants to express can possess consumers’ solid loyalty. Media as marketing tools to effectively express brand images have been rapidly advancing. The change of media has extended its scope due to emergence of the Internet, a new medium with a completely different paradigm, and the medium has advanced through revising and remedying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media. As a result, personal media that were unimaginable before has come into being, and through invigoration of the one-person media, media changed from diverse angles. Along with this chang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is swiftly spreading, enabling more and more individuals to resolve personal need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work performance, social relationship, leisure activities, etc. only with a handset of a smart phone. As a result, corporate mobile marketing, which was limited to text message advertisement sand electronic coupons, is also facing a new turning point. Therefore, brand app development as a systematic marketing tool can provide companies with a paradigm that can form another circulating structure. At present, many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are paying attention to brand app operation as a proactive method to promote their brands. Among them, Nike, Pizza Hut, Tesco, and BMW represent successful cases of brand apps.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s’ needs matching the brand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identified in advance. Second, the objective and direction of brand values that can be offered to users through the app were clearly defined. Third, the app was designed in a way to not just provide information but provide two-way communication with users. Fourth, easy and simple UI and structure enabled users to visually understand the app easily. Lastly, they fully utilized the smart phone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at of conventional media and the web. As importance of brand apps is emphasized, shopping malls of large domestic distribution companies one after another are rushing to release their own apps. However, apps of the so-called Big 3 of Hyundai Department Store,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d Lotte Department Store are mostly limited to one-way communication such as providing leaflets, providing branch store information, etc. Additional problems are that their layouts did not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b and mobile environments, and that their contents exposed are excess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rand app of a domestic Department Store, AK Plaza, as a tool to convey an effective brand image, and then make a proposal. For this, customers’ life patterns were virtually analyzed, and their needs were drawn, and customers of AK Plaza were surveyed. As a result, a conclusion implying that a brand app more convenient and useful not only for shopping but also for daily life is needed was drawn. On the basis of this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of an app involving two categories: the first is ‘AK Plaza Shopping’ to help customers enjoy pleasant shopping experiences, and the second is ‘AK Plaza Life’ to impress customers with a brand image of wholesome and energetic life, not just for shopping. The details of app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K Plaza Shopping’ category offers services to inform customers of parking lot situation and parking process, and of locations of shops and products they want.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viewing leaflets, and branch store information. Next, ‘AK Plaza Life’ category offers services such as a baby care service enabling customers to check in real time their babies kept in a baby care facility through a mobile handset, and a barcode scan service to provide detail information of every product in the food court by only barcode scanning. Besides, users can check their exercise degree and burned calories, and enjoy viewing video lectures offered by a cultural center. This AK Plaza app was designed to maintain the AK Plaza’s own brand identity of ‘an elegant urban style high class shopping mall,’ and to enable user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services in a short time in the limited mobile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clarity and readability. The AK Plaza brand app propos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is a powerful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inthe chang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app will enable the shopping mall not just to stay as a place of shopping for consumers, but to upgrade the image of AK Plaza positively from diverse ang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4 A.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4 1.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4 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6 B. 미디어 환경변화의 이해 7 1.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7 2. 모바일 미디어 환경 8 C. 모바일 기반의 브랜드 앱(Brand App)의 이해 11 1.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브랜드앱의 등장 11 2. 앱 마케팅의 형태 14 3. 브랜드 앱의 구성과 가능성 18 D. 브랜드 앱(Brand App) 마케팅의 필요성과 구성요소 21 1. 브랜드 앱 마케팅의 필요성 21 2. 성공적인 브랜드 앱 마케팅의 구성요소 29 Ⅲ. 국내 백화점 브랜드 앱 마케팅 현황 31 A. 롯데백화점 31 B. 현대백화점 33 C. 신세계백화점 36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39 A. 연구 대상의 선정 및 분석 39 B. 사용자 설정 및 분석 47 C. 설문지의 구성 48 D. 설문지 수집 및 분석 49 Ⅴ. 연구 결과 및 가능성 59 A. AK플라자 브랜드 앱 니즈 분석 59 B. AK플라자 브랜드 앱 마케팅의 가능성 61 Ⅵ. AK플라자 브랜드 앱(App) 개발 제안 62 A. 적용 및 응용 범위 62 B. 브랜드 앱 구조도 63 C. 디자인 방향 67 D. AK플라자 브랜드 앱 디자인 68 1. 시안 A 69 2. 시안 B 80 Ⅶ. 결론 및 제언 88 A. 연구의 결론 88 B. 연구의 한계 및 향후방향 90 참고문헌 91 부록.설문지 94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3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브랜드앱(Brand App)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내백화점 AK PLAZA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velopment of a Brand App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 Focusing on a Domestic Department Store, AK Plaza-
dc.creator.othernameKim, Eun Ju-
dc.format.pageⅹ,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