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바의 높이와 너비에 따른 통과 가능 어포던스 지각의 발달 단계적 차이

Title
바의 높이와 너비에 따른 통과 가능 어포던스 지각의 발달 단계적 차이
Other Titl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ffordance perception of passing possibility for changes in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bar
Authors
인설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chool children, school children and adults’ extent of error in sensing heights and time of reaction to sense the height depending on changes in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bar. To find this out, 36 participants of three groups(each with 12 people) are randomly given with assembled bars that have heights of each one’s height plus -10cm, -5cm, 0cm, +5cm and +10cm and widths of 50cm and 100cm. Then the participants are tested whether they can walk upright through the bar while the researchers record the participants’verbal reaction and the time it took.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SPSS 18.0 an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school children and adults showed similar results. Their extents of errors in sensing of different heights in widths were about the same; however the preschool children shows clear difference in the results. The number of school children and adults who said they are capable of walking through the bar increased as the height of the bar went up. While, the graphs of the rest of their data also show high similarity, preschool children had a different appearance. Second, school children and adults also show similar appearance in the time they take to verbally react whether or not they can walk through the bar; and preschool children again showed a different tren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r and one’s height increased, school children and adults’ verbal reaction time decreased; however, pre school students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conclusion, the sense of height develops greatly before and after the school entering period, and school children have almost reached the adults’ development. Also, preschool children sens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heights and the height of the bar less than it actually is. This pattern shows that the senses of height for preschool children are not as well developed as the ones of school children and adults are. Especially because preschoolchildren perceive the bars below their height less lower than they are, this inaccurate perception also suggests high chance of accidents when passing through those objects below preschool children’s height.;본 연구의 목적은 바의 높이와 너비가 달라짐에 따라서 취학 전 아동과 취학 후 아동, 그리고 성인은 높이를 지각하는 데에 어느 정도의 지각오차가 발생하는지, 또한 그 높이를 지각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취학 전 아동과 취학 후 아동, 그리고 성인 각 12명씩 총 36명을 대상으로 각 피험자 키의 -10cm, -5cm, 0cm, +5cm, +10cm에 해당하는 높이와 50cm, 100cm 너비의 바를 결합하여 무선적으로 3회씩 제공하여, 그 밑을 직립보행해서 통과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예” 반응 비율과 그 언어적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통해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후 아동과 성인은 두 단계의 너비에 따라 각기 다른 다섯 단계의 높이를 지각하는 데에 발생하는 지각오차에서 상당히 비슷한 양상을 보인 반면 취학 전 아동은 다른 두 집단과 뚜렷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취학 후 아동과 성인은 바의 높이가 점점 높아질수록 통과를 할 수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현저히 증가했고 그래프의 증가 형태가 비슷한 반면 취학 전 아동은 다른 두 집단과는 다른 증가 양상을 보였다. 둘째, 취학 후 아동과 성인은 두 단계의 너비에 따라 각기 다른 다섯 단계의 높이를 지각하여 그 밑을 직립 보행해서 통과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언어적인 반응을 하기까지의 반응시간에서도 상당히 비슷한 양상을 보인 반면 취학 전 아동은 다른 두 집단과 뚜렷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취학 후 아동과 성인은 피험자의 키와 주어진 높이의 차가 클수록 그 밑을 직립보행해서 통과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언어적인 반응이 빨라졌고 그 패턴이 비슷한 양상을 보인 반면 취학 전 아동은 다른 두 집단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높이에 대한 지각은 취학 전, 후를 기점으로 하여 상당히 발달하며 취학 후 아동의 높이에 대한 지각은 거의 성인 수준에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취학 전 아동은 자신들의 키보다 낮은 높이를 제공하였을 때는 덜 낮게 지각을 하고, 자신들의 키보다 높은 높이를 제공하였을 때는 덜 높게 지각을 함으로써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이에 대한 지각이 현저히 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이러한 결과는 취학 전 아동이 자신들의 키보다 낮은 높이를 덜 낮게 지각함으로써 어떤 사물의 밑을 통과하는데 부정확한 지각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비율이 다른 집단보다 더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