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최지희-
dc.creator최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6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in secondary school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know the interaction status among them and the organization of their informal network.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how does the pattern of the network diagram develop as teachers gets closer each other in the informal network environment? Second, what characteristics do the teachers of high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have? Third, what characteristics do the teachers of isolated point of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have? The study chose the samples from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of public high schools of humanities division in Incho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elephone, and face-to-face interview. The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ones of SNA literatur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06 and 2011. Ucient was chosen for SNA. To supplement the interpretative limitation of study results, numbers of the teachers were phone-interviewed and 5 teachers were personally interviewed. The study suggested the flowing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The closer the teachers were each other, the fewer number of the teachers were interactiv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 index of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in the samples of 2006. Only those who had teaching experience of less than 10 years and graduated from certain universities led allied activities, shared information, and participated in meetings outside the schools. Compared in 2006, the samples of 2011 showed the numbers of male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10 years were greater and the graduation of certain universities had less influence. It signifies that the younger teachers didn’t do much interactive activities and even th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same universities didn’t have allied activities or meetings. It turned out in the analysis with both 2006 and 2011 samples that more female teachers lied in isolated point than male teachers and no influence of the graduation from the same university.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 experience in 2006 and those with less than 10 year experience had greater portion in each of the total samples. The informal network of the teachers was looser and less interactive in 2011 than 2006. The very reason was found in the interviews that the social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hifted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l network of the teacher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lationship building activities to a web-base.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in the sampling coverage. It didn’t cover the entire city but only chose the samples from the public high schools. Therefore, the study results can’t be generalized. Also, there are many other measuring tools (NetMiner and Krackpolt ) for SNA but only Ucinet was used. Therefore, there was some limitation to the significance of the conclusion. In addition, this study didn’t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from SNA of 2006 and 2011and didn’t suggest a future plan. I believe that the difference and the future plan should be studied more deepl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ed SNA for the teachers of a single subject in secondary high school. Also, it deserves some importance in that it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nder, receiver and mediator among teachers as well as of those teachers in isolated point, so that it provided a base data for the research of cooperative measures of teachers and supportive methods for its (social network) development. ;이 연구는 중등사회과(지리) 교사들 간의 관계적 속성을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으로 알아보고, 교사들 간의 상호교류 실태를 파악하여 이들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적 관계에서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연결망 다이어그램의 패턴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발신 · 수신 · 매개중심성 지수가 높은 교사들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셋째, 발신·수신·매개중심성이 고립점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논문의 분석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있는 인문계 공립 고등학교의 사회과(지리)교사들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학교의 지리교사들을 상대로 설문지 조사와 전화통화 및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연결망 분석연구 논문에 사용 되었던 질문지를 토대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2006년과 2011년에 실시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은 Ucinet을 사용하였다. 전화통화 및 면대면 인터뷰는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대상 교사들과 전화통화 및 5명의 지리교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교사 간 사회연결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소수의 교사들 간에만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6년 발신 · 수신 · 매개중심성 지수가 높은 교사의 특징 중에서 성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교사의 교육경력이 10년 미만, 특정대학 출신으로 연대 활동을 주도하거나 학교 외부에서 다른 형태의 모임을 가지며 정보를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은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남자교사 비중이 높았고, 출신대학의 영향은 적었다. 즉, 젊은 교사들의 활동은 거의 많지 않았고, 같은 대학 출신의 교사들끼리도 거의 연대활동이나 모임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립점에 해당하는 교사의 특징은 2006년과 2011년 모두 성별은 여자교사의 비중이 높았고, 출신대학의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교육경력면에서는 2006년에는 10년 이상, 2011년에는 10년 미만 교사들의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비공식적 형태의 교사들 간 연결망은 2006년에 비해 많이 느슨해지고 교류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지식정보화 사회발전의 영향을 통해 비공식적 연결망의 정보교류와 유대활동에 대한 구성 형태가 웹기반으로 옮겨진 것이 큰 원인 중의 하나인 것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결망 분석에 적절함을 위해 수도권 전체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인천시 인문계 공립 고등학교 지리 교사만을 연구범위로 한 대표성의 결여와 사회연결망의 측정도구로 유시넷(Ucinet) 외에 넷마이너(NetMiner), 크랙플롯(Krackpolt) 등을 같이 사용하여 좀 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점이다. 또한 2006년과 2011년 연결망 분석에서 도출되는 차이점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과 향후 대책에 대해 다루지 못했다. 차이점에 대한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단일 교과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결망 분석이 처음으로 시도되어졌다는 점과 교사들의 발신자 · 수신자 · 매개자의 특징 및 고립점 교사의 특징을 찾아내 교사 간 협력방안 연구와 효과적인 질적 향상 지원방안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사회연결망 분석의 의의와 분석이론 6 1. 사회연결망 분석의 의의 6 2. 사회연결망 분석이론 8 B. 선행연구 검토 16 Ⅲ. 연구설계 19 A. 연구대상 및 문제 19 1. 연구대상 19 2. 연구문제 23 B. 분석방법 28 1. 설문의 질문에 대한 구성 28 2. 인터뷰 29 3. 자료의 처리 31 Ⅳ. 중등사회과 지리교사의 연결망 분석 결과 32 A. 2006년 연결망 분석 32 1. 지리교사들의 연결망 다이어그램 분석 32 2. 발신 중심성 분석 38 3. 수신 중심성 분석 46 4. 매개 중심성 분석 55 B. 2011년 연결망 분석 63 1. 지리교사들의 연결망 다이어그램 분석 63 2. 발신 중심성 분석 69 3. 수신 중심성 분석 77 4. 매개 중심성 분석 85 Ⅴ. 연결망 다이어그램과 중심성에 관한 논의 94 A. 연결망 다이어그램 패턴에 관한 논의 94 B. 중심성이 높은 교사와 고립점 교사에 관한 논의 98 1. 출신학교별 98 2. 성별·교육경력별 99 Ⅵ. 결론 102 참고문헌 106 부록 Ⅰ. 중등사회과 교사 간의 상호교류 실태에 대한 설문지 111 부록 Ⅱ. Ucinet Manual 115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51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중등사회과 교사 간의 상호교류 실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teraction Status of Teachers of Social Studies of Upper Secondary School by Social Network Analysis(SNA)-
dc.creator.othernameChoi, Ji Hee-
dc.format.pagex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