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희-
dc.contributor.author심차나-
dc.creator심차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32-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adopts as texts two authorized middle school history books revised by two publishers Mirae N Culture and Visang Education; the adoption ration of the former is highest, followed by the latter, among authorized middle school history books. The chose as a scope 'Sarim of the early Joeson ear.' The early Joseon era is a period when Joseon sought a new principle of statecraft and set up it. The grasp of the early Joseon era is prerequisite for grasping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Joseon era from a viewpoint of political sociology causes it to be an important task to understand as one consistent system the followings: the bas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rim (i.e. the opponent power against the governing power hungu) and its settlement as a political force after King Seonjo. So, the grasp of Sarim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political administration of the early Joseon era and subsequent social changes. Sarim grew steadily after it launched into central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ng, and finally, it became the mainstream of politics after King Seonjo. Sarim exerted influences on many different fields of the Joseon dynasty (e.g. politics, society, culture, etc.). In particular, sarim made a large contribution toward propagating Neo-Confucianism to play a key role in understanding 'Confucianism', the core of Joseon. This aspect is well reflected in the purpose of the 2007's revised curriculum. The curriculum aims on understanding political change in the early Joseon by distinguishing the time before and after sarim seized power. It can be drawn from this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that sarim played the pivot role in the political change of the Joseon era and that the late Joseon era should be studi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arim.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of sarim did not conduct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on sarim. Rather, these studies focused on their academic works. So, they had the limitation that they lack an analysis of sarim from an angle of history education and that they do not suggest the improvement of problems of contents on sarim.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contents of middle school history books published newly, based on the results of our research; we analyz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looked into problems to be complemented, and sought the improvement of those problems. This research suggested two improvements from two view points of textbook and guidebook for the teacher. The analysis of textbook showed that there are many parts to be supplemented because the descriptions of 'the occurrence of the 4 massacres of scholars' is rough. First, we attempted to supplement the textbook by putting an additional item related to the massacres in this textbook. Then, we devised improvements of the guidebook following the items of textbook analysis; we helped teachers understand sarim through materials for research program given by this research when they took a class. The suggested improvement was not the correction of the existing textbook but the complementation of it. The research aims to enable students to grasp the early Joseon era contextually by analyzing 'sarim of the early Joseon era'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book published newly and understand the late Joseon era more easily based on the contextual grasp.;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편찬이 국가주도의 국정 교과서 발행체제에서 검정 교과서 발행체제로 변경된 시점에서 새롭게 편찬된 중학교 『역사』의 ‘조선전기 사림’에 주목하였다. 조선전기는 새로운 왕조개창이라는 상황아래 이전의 고려사회의 정치질서를 재편성하고 새로운 국가운영 원리를 모색한 시기이다. 따라서 조선시기를 보다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선전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조선전기를 이해하고자 할 경우 중요과제는 집권세력인 훈구와 그에 대응하는 세력인 사림의 기반, 이후 사림의 성립 및 발전과정, 그리고 선조 이후 주도 세력으로서의 정착과정을 일관된 체계로 파악하는 일 등이 있다. 요컨대 조선전기의 주도세력이었던 훈구 세력에 대응하는 사림 세력의 파악이 핵심인 것이다. 결국 사림은 조선전기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이후 사회변화 파악까지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목표에도 잘 나타나 있다. 즉 성취목표에서는 “조선전기의 정치적 변화를 사림 집권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사림 세력의 성장과 양란의 극복과정이 조선후기 국가 재건의 역사적 기반임을 인식한다.”라고 함으로써 조선사회 변화의 구심점에 사림이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새롭게 편찬된 중학교 『역사』의 ‘조선전기 사림’에 대해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3가지 단계로 진행이 되었다. 우선 ‘조선전기 사림’에 대한 연구동향을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는 교과서 분석을 위한 토대가 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동향은 사림의 출신성분과 기반, 4대사화의 발생과 전개, 사림의 성리학 질서의 확립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동향과 더불어 현재 출판된 중학교 『역사』의 편찬기준인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둘째, 앞서 살펴본 연구동향과 2007 개정 교육과정 분석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중학교 『역사』의 ‘조선전기 사림’에 대해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교과서의 소주제 항목에 맞추어 사림의 등장, 4대사화의 발생, 사림과 성리학 질서의 확산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서술내용뿐만 아니라 읽기자료, 탐구활동 등의 학습 자료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교과서 분석에서 지적한 보완점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보완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4대사화의 발생’ 서술은 매우 소략하여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지적되었으므로 사화관련 항목은 별도의 항목을 두어 교과서를 보완하고자 했으며, 교사용 지도서의 보완은 교과서 분석의 항목에 따라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필자 나름대로 교과서를 분석하여 보완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교육목표의 성취기준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학생들이 관련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큰 문제가 있지 않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개선방안은 기존의 교과서 내용 즉, 서술내용, 학습자료, 활동 등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수정을 하기보다 내용을 보충하는 식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사화의 경우 ‘조선전기 사림’의 정치동향을 파악하고 당시 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소략하여 이 점을 중점적으로 보완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새로 편찬된 중학교 『역사』의 ‘조선전기 사림’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조선전기를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이후의 조선후기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의 검토 2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분석 및 개선방안을 위한 기본적 검토 7 A. 조선시대 사림에 대한 학계의 연구 동향 7 1. 사림의 출신성분과 기반 7 2. 4대사화의 발생과 전개 9 3. 사림의 성리학 질서의 확립 17 B. 2007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 25 Ⅲ. 중학교『역사』의 ‘조선전기 사림’ 내용 분석 29 A. 사림의 등장 31 B. 4대사화의 발생 35 C. 사림과 성리학 질서의 확산 40 Ⅳ. 중학교 ‘조선전기 사림’ 내용의 개선 방안 49 A. 교과서의 ‘4대사화의 발생’ 내용 보완 49 B. 교사용 지도서의 보완 51 1. 사림의 등장 51 2. 4대사화의 발생 52 3. 사림과 성리학 질서의 확산 53 V. 결론 55 참고문헌 57 부록 61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85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2007(09) 개정 중학교『역사』의 ‘조선전기 사림’ 내용 개선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ents of 'Sarim of the Early Joseon Era' of Middle School History Books Revised in 2007(09)-
dc.creator.othernameSim, Cha Na-
dc.format.pagev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