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중학생을 위한 역사 인물학습 수업방안

Title
중학생을 위한 역사 인물학습 수업방안
Other Titles
The teaching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a history figure
Authors
서영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희
Abstract
역사는 인간에 의해 구성되며, 역사를 학습하는 주체 역시 인간이다. 따라서 역사를 배우는 데 있어 이러한 인물을 통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인물학습이 인물의 사고와 행동이 이루어진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물행위의 의도, 전개과정 , 결과를 분석하는 탐구능력을 배양하며, 인물을 통해 살아있는 생생한 역사를 이해하여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역사 속에서 시대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시기인 ‘형식적 조작기’이자 ‘시대의식단계’에 들어서 인물학습을 행하기에 적합한 능력을 갖춘 중학생을 선정하였다. 또한 인물학습 대상으로서 ‘을지문덕’을 선정하여 서울의 H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을 구성하여 설문지, 활동지, 총괄평가를 통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업 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수업방안이 실제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을지문덕과 시대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구성한 수업은 총괄평가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식 이해 측면에서 시대상황과 인물, 인물이 행한 행위의 과정과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능 영역 면에서 학생들이 인과관계를 교과서와 활동지, 교사의 설명을 통해 이해하고 스스로 정리할 수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설문지와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가치 · 태도 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찾는다면 그동안 연구되었던 인물학습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론적 제시에 그친 점을 극복하고 실제로 수업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특히, 한 시간이라는 짧은 수업시간을 소요하면서도 교사의 입장에서 교과서가 아닌 활동을 개발하여 수업의 질과 효과를 높였다는 데 있다. 이는 단지 교과서라는 텍스트를 절대시하여 수업하는 것이 아닌, 수업을 꾸려갈 주체인 교사 스스로 수업을 면밀하게 구성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인물선정기준과 을지문덕, 교과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수업방안은 연구자와 같은 교사의 입장에서 실제 현장에서 수업을 구성할 때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The History is composed by human, the subject who studies history is also human. Therefore in leaning history, this kind of study is a deserved thing. This paper is following this context which helps to understand about teaching historical figures and historical background. Also, it purposes on analyzing intendment of figure’s act, developing process and studying ability, leading interest by understanding living history through a figureFor this study, I elec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proper ability to perform learning a figure when we get the period of timely context, formal operational period and time consciousness stage. Also for the subject of leaning figure, I elected general Uljimundeok and had taught som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ophomores of H middle school in Seoul. I organized tested class with compared class, so I could check the effect through questionnaire, activity paper, a summative evaluation. I could confirm through the result of the test that composed plan causes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and they could get their understanding of Uljimendeok and time’s situation. If this research will find the meaning of the research that I did, this is able to overcome the theoretical suggestion of studying about leaning figure which has been studying until now. This has the meaning of that teacher not only organizing program of a class in detail by oneself who are the subject of the class but also not absolute text of textbook. In this research, the composed figure selection standard, general Uljimendeok and the detailed analyzing base of class plan are expected to be good materials to real situation when teachers like researchers will prepare materials to a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