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

Title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
Other Titles
A Study on Concer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Career Education : Based on CBAM
Authors
최민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정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ges of concer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career education, using the CBAM(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And its finding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survey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except Jeju Island. After a survey was gathered by mail and e-mail, the responses form 118 teacher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in terms of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 t-test were obtain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personal concern(stage 2: 86.56), but little gap between this stage and the informational concern(stage 1: 85.42) to which the second largest group belong. The third largest group considered the awareness concern(stage 0: 79.79). The fourth largest group had the reinforcement concern(stage 6: 77.02), and fifth largest group had the management concern(stage 3: 75.39). The sixth largest group considered consequence concern(stage 4: 65.81). Finally the smallest group had the collaboration concern(stage 5: 63.47). Second, level of use of the career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was showed in the order of refinement(level 5: 33.1%), mechanical(level 3: 18.6%), renewal(level 7: 16.1%), orientation(level 1: 11.9%), preparation(level 2: 8.5%), routine(level 4: 6.8%), integration level (level 6: 3.4%), and non-use(level 0: 1,7%). Third, as per the result of research for teachers’ perception against career development goal for home economics sector, it was shown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considered by teachers is the understanding of diverse industry practices and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and values against work’. The teachers have responded that they are generally conducting career education as shown in the ‘provision of career and career information’ o「Understanding Teenagers」chapter of a first-year middle school. They have also responded that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for career’ is the most challenging point, and have suggested ‘sharing and developing home economics career education material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faced. As shown above, the home economics teachers’ level of interest on career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only at a private and informative step but the level of conduct has been shown a bit high;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teachers are less interested in career education but are evaluating their own level of conduct somewhat high. It is evident that the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overall challenges such as lack of data, time, and expertise in conducting career path education during home economics class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upport such as development and supply as well as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beneficial. Especially, such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with minimal, simple teaching activities provided even th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is considered more extensive than any other subjects.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abovementioned support and opportunities that will enable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s using those knowledge acquired in the classroom.;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 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은 개인적 관심(단계 2: 86.56)과 정보적 관심(단계 1: 85.42)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각적 관심(단계 0: 79.79), 강화적 관심(단계 6: 77.02), 운영적 관심(단계 3: 75.39), 결과적 관심(단계 4: 65.81), 마지막으로 협동적 관심(단계 5: 63.4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은 정교화 수준(수준 5: 33.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계적 수준(수준 3: 18.6%), 갱신 수준(수준 7: 16.1%), 탐색 수준(수준 1: 11.9%), 준비 수준(수준 2: 8.5%), 일상화 수준(수준 4: 6.8%), 통합 수준(수준 6: 3.4%), 마지막으로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진로개발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양한 직업의 세계 이해 및 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와 태도 형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들은 대체로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이해」단원에서 ‘진로 및 직업 정보 제공’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로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들은 진로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진로관련 수업 자료의 부족’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정과 진로교육 관련 자료의 공유 및 개발’을 들었다. 이상과 같이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과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적으면서 자신의 실행 수준을 다소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가정 교과가 다른 어떤 교과보다 내용체계가 넓고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일과 직업의 이해 같은 단편적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가정교과 시간을 통해 습득한 진로 관련 지식과 직업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을 장려하는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제기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