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0 Download: 0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평가지표 개발

Title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평가지표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Authors
배성숙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국내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는 고위험 감염노출에도 불구하고 대응책은 매우 초보적인 수준이며 모니터링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발생되는 감염에 대한 문제는 건강권과 안전권에 대한 보건학적 문제 뿐 만 아니라 법적, 윤리적,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병원 감염관리가 치과의료기관 전체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 프로그램에 통합된다고 전제하여 개발된, 치과병원 감염관리 평가지표로 구조, 과정, 결과에 따라 필요한 모든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평가지표의 개발과정은 먼저 평가지표 구성단계에서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문헌고찰과 치과병원 감염관리 이론적용을 위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평가지표 개발단계에서는 국내 치과병원 감염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양적 · 질적 방법의 예비조사가 이루어졌고, 치과병원 감염관리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이루어졌으며, 이 단계에서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평가지표 검증 단계에서는 설문에 응답한 전국의 치과병원 감염관리 담당자 121명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현장 적용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 단계에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처리는 PASW statistic 18 프로그램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이상의 과정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치과병원 감염관리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적용한 이론적 모형은 우리나라 의료기관 평가 및 주요 외국사례에서 의료의 질 평가에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다수의 연구를 통해 실효성이 검증된 Donabedian(1980)의 구조(structure), 과정(process), 결과(outcome)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이론(Donabedian 1980; Donabedian 1985)과 미국 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중심의 대규모 프로젝트인 “병원감염관리의 효과성 연구(The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SENIC)” 결과에 따른 주요 개념과 변수를 근거로 새로운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개발된 국내 치과병원 감염관리 평가지표는 먼저 구조, 과정, 결과 영역이 수립되었으며 구조영역에서 21개의 평가지표에 대해 5개 평가요인이 도출되었고, 과정영역에서 32개의 평가지표에 대해 8개 평가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결과영역에서 5개의 평가지표에 대해 1개 평가요인이 도출되어 총 58개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에서 개발된 평가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영역에서는 보건의료 서비스에 사용되는 환경의 물리적, 조직적 특성과 사용되는 각종 자원들에 대한 내용으로 ‘감염관리 위원회’, ‘감염관리 연간계획’, ‘감염관리 지침’, 시간, 시설, 공간 측면에 대한 ‘감염관리 지원체계’, 환자 및 직원 요구도에 대한 ‘내외부적 특성’ 등 총 21개의 세부지표에서 5개의 평가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과정영역은 환자관리 활동으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관련된 감염관리의 예방적 활동 측면에서 ‘노출예방 및 사후 행동지침’과 ‘감염발생감시’ 그리고 ‘교육 및 평가’와 감염관리 과정의 실천적 행동수행 측면에서 ‘영역별 표준감염관리’, ‘기구·장비, 손씻기 관리’, ‘환경 감염관리’, ‘개인보호장구’, ‘폐기물·세탁물관리’ 등 총 32개 평가지표에서 8개의 평가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결과영역에서는 제공된 의료 서비스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결과물에 대한 ‘감염률 조사 및 만족도 측정’에 대하여 5개 평가지표에서 1개의 평가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감염관리 행동을 이끄는 구조영역의 조직과 활동 그리고 행동의 기준이 되는 표준화 된 지침의 내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위 기준에 따르는 감염관리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다시 결과영역의 감염률 또는 환자만족도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감염관리 현황 조사 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표준화 된 감염관리 평가지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개발된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평가지표를 통해 국내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체계 활성화 및 감염관리 우선순위 결정에 기여 하고자 한다. 향후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감염관리 평가제도가 활성화 되어야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Even though Korea's dental hospitals are highly exposed to infection, infection control is at the entry level and is not monitored sufficiently. At the same time, infection creates legal, ethical and economic problems as well as medical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In this study, presuming infection control for dental hospitals is integrated as part of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dental hospitals and patient safety programs, all necessary criteria on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are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To develop evaluation indexes, first reviewed were literature on infection control of medical institutes and theory on how to apply infection control to medical hospitals. While developing evaluation indexes, conducted w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people in charge of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in Korea. At this stag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verify face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To verify evaluation indexes, surveyed were 121 people in charge of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in Korea wh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n, issues in field application were identified. At this stage,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All statistics was processed with PASW statistic 18 and AMOS 5.0. With above processes, I developed evaluation indexes suitable for Korea's condition. Theoretical models used in this model were Donabedian (1980)'s total evaluation model on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which is used commonly in evaluating medical quality in and out of Korea and of which effectiveness was proven in many studies (Donabedian 1980; Donabedian 1985); and a large-scale project conducted by CDC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SENIC." With key concepts and variables from these models, I intended to develop new evaluation indexes for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As a result, evaluation indexes for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are developed in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sectors. The structure sector has 21 evaluation indexes and 5 evaluation factors; the process sector 32 evaluation indexes and 8 evaluation factors; and the outcome sector 5 evaluation indexes and 1 evaluation factor, which results in a total of 58 evaluation indexes. Evaluation factors developed in each sector are: First, the structure sector has 21 evaluation indexes and 5 evaluation factors which represent the physical and structural features of environments used for medical service and various resources such as "infection control committee", "annual infection control plan," "infection control guideline; time, facilities and space such as "infection control support system"; and demand of patients and staff members such as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process sector has 32 evaluation indexes and 8 evaluation factors which represent the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ative activities to diagnose and treat patients such as "exposure prevention and post-activity guideline", "infection occurrence monitoring", and "training and evaluation"; and practices such as "standard infection control by sector", "equipment cleansing and hand washing", "environment infection control," "personal protection gear," and "waste and laundry control". Third, the outcome sector has 5 evaluation indexes and 1 evaluation factor which represent outcomes developed by medical service such as "infection rate investigation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As Korea's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was analyz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y which lead infection control and the standardized guideline which becomes the base for activity are needed first. And then, these enable infection control based on the standard, which in turn leads to the infection rate and patient satisfaction rate in the outcome sector. To investigate infection control conditions, what counts most is the standardized infection control index.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evaluation indexes for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which are suitable for Korea's conditions; and contribute to facilitating the infection control system and deciding infection priorities with developed evaluation indexe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the infection control evaluation system should be facilitated. To make the best of the system, the government's active support as well as continuous research and attention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