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입춤의 유파별 변천과정과 내재된 즉흥성에 관한 연구

Title
입춤의 유파별 변천과정과 내재된 즉흥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Intrinsic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of Ip Dance of Each Sect
Authors
문소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As Korean Dance is a dance which expresses inner emotions to the outside, there exist freedoms within such format. Ip Dance is also a form of dance which allows dancers to express their emotions naturally without any specifically defined steps and movements. Ip Dance was originated from the Dance of Sadangpae and Kwangdae and absorbed by Gisaengs of Kwon Beon, then Ip Dance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most fundamental and essential dance in introductory dance. Soon after, in the 1940s, following the merger and abolition and subsequent dismantling of Kwon Beon, performers of Gisaeng either abandoned all things or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developing our traditions so far. Based on such efforts, Ip Dance begun transforming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Lee Mae Bang, the deceased Kim Sook Ja, Kwon Myung Hwa, and Choi Hee Seon are individuals who expressed their distinct personality and unique formats to recreate their own styles of Ip Dance. In addition, such individuals solidified their own artistic dances specifically which were filled with their emotions by taking in the change and growth of the performance environment occurred after the 1940s. Based on such truths, Ip Dance escaped from archetypal movements or fixed forms and possessed intrinsic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expressed differently by an era, performer or situation of the dance. As such, in order to investigate inherent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of Ip Dance possessing intermittence and being removed from the framework of basic dance, the origin and genealogy of Ip Dance for each sect of Lee Mae Bang, the deceased Kim Sook Ja, Kwon Myung Hwa, and Choi Hee Seon are investigated. Aft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sation', which was shown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up to the present, was classified and studied in expressional, visual, and auditory aspects. Through this process of symbolizing their emotions into physical movements derived from their less-defined inner feelings, or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ose emotions into visual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sation' implied in Ip dance could be foun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of all, Ip Dance of Lee Mae Bang uses Gudgguri as the basic rhythm and three counts, which is the Korean rhythm style, to stimulate performers' excitement, which in turn, brings forth improvisational dance characteristics by excitement. Secondly, Ip Dance of Kim Sook Ja represents Han(恨); the traditional sentiment, from breathing while dancing, and it brings forth a strong dynamism by improvisational and repetitive breathing. Lastly, Ip Dance of Choi Hee Seon which is from the Park Ji Hong faction can be characterized as improvisational creativity and autonomy allowing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based on free formats through transforming process. In such ways, Ip Dance, one kind of traditional Korean dance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during long period, allows endless change through its inherent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forms of dance, newly created. Through suc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demonstrating the coexistence of freedoms and changes, such as inherent improvisational characteristics as found in Ip Dance, against our rational leading us to believe that traditional dance is something in which is preserved as an original stylized-standardized for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y that Ip Dance could create new forms of dance by being integrated with Korean Creative Dance.;한국춤은 내면적인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춤으로, 그 형식 속에 자유가 있다. 입춤 또한 춤사위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용가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표출되는 춤이다. 입춤은 사당패와 광대의 춤을 기원으로 하여 권번의 기생에게 흡수된 후, 춤 입문과정에서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춤으로 자리를 잡는다. 이후 1940년대에 접어들면서 권번의 통폐합과 해체로 인해 기생출신의 예인들은 모든 것을 작파하거나, 현재까지 우리 전통을 가꾸어 나가는 구심체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들을 정점으로 한 유파들의 전승에 따라 입춤의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데, 이매방, 故김숙자, 권명화, 최희선 등도 이와 같은 행보에 따라 고유한 개성과 독특한 형식을 표현하며 자기류의 입춤으로 재창조한 인물들이다. 또한 1940년대 이후 공연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정서를 담은 독자적인 예술춤으로 정착하게 만든다. 이와 같은 사실로, 입춤은 나름대로의 원형적 동작이나 형식적 틀을 벗어나 시대에 따라, 또는 춤추는 사람 · 상황에 따라 꾸며지는 자기표현의 즉흥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기본춤 틀을 벗어나는 파행성을 지닌 입춤에 내재된 즉흥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앞서 말한 이매방, 故김숙자, 권명화, 최희선의 유파별 입춤의 유래와 전승계보를 알아본 후, 현재까지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나는 즉흥성을 움직임 표현적 측면, 시각· 청각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면에 담긴 정서에 따라 감정을 일으켜 동작으로 상징화하거나, 그 감정을 시각적 볼거리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입춤에 내재한 즉흥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세 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이매방류 입춤은 굿거리를 기본 장단으로 한국적 리듬박자인 3분박이 춤추는 사람의 흥을 일깨워, 흥에 의한 즉흥적 춤사위가 나오게 하는 특성이 있었으며, 이어서 두 번째의 김숙자류 입춤은 춤을 출 때 호흡에서 민족정서인 한(恨)이 표출되어 즉흥적이고 반복적인 호흡에 의해 강한 역동성이 생겨나는 것을 특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박지홍계열의 최희선 입춤은 전승과정에서 자유로운 형식에 입각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즉흥적인 창작성과 자율성이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이처럼 오랜 시간을 통해 전승되어온 한국 전통춤 가운데 하나인 입춤은, 그 안에서 새롭게 창조된 독자적인 춤의 형태와 내재된 즉흥성이 어우러져 무한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원형 그대로 보존되는 양식화 · 정형화 된 춤이 전통춤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이면에, 입춤에 내재된 즉흥성과 같은 자유로움과 변화가 공존하고 있었음을 알리는데 의의를 두며, 동시에 한국 창작춤과 접목시켜 새로운 춤사위를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