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장희선의 “Piano 散調”(2007)의 분석

Title
장희선의 “Piano 散調”(2007)의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Heesun Chang's "Piano San-Jo" (2007)
Authors
장희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 음악 연구의 일환으로 장희선의 “Piano 散調” (2007)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서양 음악사를 보면,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를 시작으로 중세 음악을 거치면서 다성음악이 생겨났다. 바로크 시대, 고전시대, 낭만 시대를 지나 근대, 현대 음악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의 조성 음악이 19세기 말 바그너 (Wihelm Richard Wagner, 1813 - 1887) 의 반음계주의(Chromaticism)으로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여서 말러(Gustav Mahler, 1860 - 1911), 스크리아빈 (Alexander Scriabin, 1872 - 1915), 바르톡 (Bela Bartok, 1881 - 1945),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895 - 1963), 스트라빈스키 (Igor Stravinsky, 1882 - 1971), 쇤베르크 (Arnold Schonberg, 1874 - 1951), 베베른(Anton Webern, 1883 - 1945) 과 같은 작곡가들에 의해서 새로운 작품들이 많이 쓰여 지게 되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서 무조성을 사용하여 작품을 작곡하게 되어 12음 기법이 출현하였고, 그로 인해 점묘주의, 우연성 음악 , 컴퓨터 음악, 전자 음악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음악을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한국 음악의 현대화 방법으로 우리나라 장단과 음계 등 새로운 소리와 리듬을 가지고 서양악기 중 대표적인 피아노를 도구로 표현하여 작곡된 “Piano 散調” 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본인의 “Piano 散調” 는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6개, 2악장은 7개, 3악장은 4개의 Section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은 서로 통일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긴밀한 연관성을 맺으며 작곡되었다. 이 곡은 12음 기법을 통하여 동기가 제시,모방, 발전해 나가며 이 과정에서 가야금 선율을 피아노로 옮긴 듯한 표현을 위하여 리듬, 장단 등을 통한 넓은 음역에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한국적인 선율의 음정 구조 등을 통하여 음악적 내용과 구성에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 현대적인 기악곡이다.;"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omposers of classical music were experimenting with an increasingly dissonant pitch language, which sometimes yielded atonal pieces. Following World War I, as a backlash against what they saw as the excesses of Romanticism, composers adopted a neoclassic style, which sought to recapture the elegance and emotional distance of the classical era; see also New Objectivity and Social Realism. After World War II, modernist composers sought to achieve greater levels of control in their composition process. At the same time, conversely, composers also experimented with means of abdicating control, exploring indeterminacy or aleatoric processes in smaller or larger degrees. Technological advances led to the birth of electronic music. Experimentation with tape loops and repetitive textures contributed to the advent of minimalism Still other composers started exploring the theatrical potential of the musical performance." This thesis analyzes the piece "Piano San-Jo"(2007) in which a typical western instrument, the piano, was adopted to represent a new sound and rhythm originat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alled "San-Jo". The "Piano San-Jo"(2007) consisted of three chapters - Jinyang-Jo, Jungmori and Jungjungmori - and each chapter has five, three and four sections, respectively. The melodic interval of "Piano San-Jo"(2007) is based on Twelve Tone Music and the note-row used in its original form, or inverted, or retrograde, or retrograde inverted with 48 possible forms. Each chapter was composed to fit in with the other chapters, but maintains it's own unity and diversity. "In this modern instrumental piece, for extension and development after presenting a motive, the pointillism is used to express the beautiful sound of piano through melody, rhythm and scale, and various expressions of musical contents and plots for a broad range are tried through natural movement and Korean structure of tempo and rhythm." In conclusion, “Piano San-Jo”(2007) was written to help with the globalization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and present a whole new method of music through its own structure and rhythmic patter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