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순-
dc.contributor.author박만숙-
dc.creator박만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양자의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양육수준을 개선하며 나아가 저소득층 가구의 아동빈곤 감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영국과 미국의 자녀지원 세액공제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과 적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직접적으로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자녀세액공제(Child Tax Credit, Child and Dependent Care Tax Credit)와 자녀가 있는 근로자의 소득을 보전하는 근로세액공제(Working Tax Credit, Earned Tax Credit) 제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세액공제의 도입과 발전 등의 제도 이해를 높이고, 공공부조 제도 및 근로세액공제와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세액공제 제도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녀지원 세액공제의 적용대상과 급여체계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아동빈곤 감소 및 예방이라는 제도의 합목적성을 살펴보았으며, 결론으로 한국에 대한 적용과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제도의 유형으로 영국의 자녀세액공제제도(CTC)는 근로세액공제(WTC) 및 공적부조제도와 통합된 형태로 운영되어 급여구조가 단일화되어 대상의 표적화가 분명하며, 특히 빈곤층 및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높게 설계되어 있다. 반면 미국은 공적부조제도 및 근로소득세액공제(EITC)와 분리 시행되어 자녀세액공제(CTC)와 자녀 및 피부양가족 세액공제(CDCTC)는 중상층을 목표로 하는 급여구조이다. 또한 제도의 특성으로 영국의 CTC는 근로연계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환급가능하여 자녀를 가진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소득지원이 되고 있으나, 미국은 기본적으로 환급가능하지 않은 제도로써 소득세 납부가능자를 적용대상으로 하여 일정 근로소득이 예상되어야 하기 때문에 저소득층에게는 혜택이 거의 없거나 적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자격요건과 급여체계의 구성에서는 두 국가의 자녀지원 세액공제제도 모두 근로세액공제에 비해 자녀수에 비례하고, 자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액공제가 증액하여 가구 규모 및 특성에 따른 지원을 심화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의 CDCTC는 승인된 보육형태에만 세액공제가 적용되므로 보육의 사회화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녀지원 세액공제는 영국의 경우 2003-04년에 빈곤아동이 10만 명 이상 감소하고 이후 감소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미국 역시 근로유인과 소득보전을 통해 1990년대 이후 OECD 국가들 중 아동빈곤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본 제도의 아동빈곤 감소 및 예방 효과가 고무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 대한 적용 및 시사점으로는 먼저, 세액공제 형식 소득세와 함께 국세청을 통해 전달되므로 행정비용이 절감되고 운영의 투명성이 제고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공적부조제도와의 대상구별을 통해 목표대상에 대한 역할을 조절하고, 아울러 소득공제를 통한 지원방식과 통합 및 분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근로연계성 여부에 따라 여성의 고용을 촉진하거나 혹은 보편적인 아동지원 방안으로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되었다. 한편, 환급 가능할 경우 빈곤아동과 저소득층에게 높은 혜택이 주어지지만 높은 재정부담의 우려에 따라, 제도의 목표대상을 구체화하여 부분적으로 환급 가능한 소득한계선을 마련하거나 환급 가능액 수준을 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구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세액공제액을 증액할 때 저출산에 대한 대안책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보육의 사회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결론적으로, 양국의 자녀세액공제의 특징들을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게 적용하면, 자녀 양육에 대한 실질적인 소득지원을 통하여 자녀가 있는 가구의 빈곤을 낮추고 더불어 아동빈곤을 예방하는 보편적 아동지원 제도로서 기능하리라고 판단된다.;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how effective the child tax credit programs in the U.K. and the U.S. is in reducing and in preventing the child poverty via helping low-income families pay for child care, and with an explicit aim of drawing some inspiration and useful guide in designing Korea's income tax system. This study is undertook an in-depth review not only on the child support programs such as the CTC(Child Tax Credit) in both countries but also the adult workers support programs like the WTC(Working Tax Credit) or the EITC(Earned Income Tax Credit) providing a certain proportion of the income as a benefit. First, the study looked at the historical aspect of tax credits as an alternative income transfer policy to do fully understanding them.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type and the objectives of tax credits a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tax credit programs and the public assistance and the adult workers support program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target beneficiaries, eligibility requirements and structure design of tax credits against the child poverty reduction effect. In summary, the child tax credits in the U.K., the CTC(Child Tax Credit) is intergrated with the adult support credit, the WTC(Wotking Tax Credit) and the public assistance, and thus it can clear target beneficiary together. Furthermore, it is designed to benefit the poor and low income worker having children. In the U.S., however, the child tax credits, the CTC(Child Tax Credit) and the CDCTC(Child and Dependent Care Tax Credit) are separated from the public assistance, and designed to benefit most probably the modest income group. In addition, the CTC in the U.K. is refundable and doesn't have work-related eligibility requirement so that it makes possible a substantial benefit for the low-income families pay for child care. In the U.S., however, the CTC and the CDCTC are not refundable and also of little or no value to low-income households because few had any income tax liability. As a result, the CTC in the U.S. is effectively a middle-class entitlement program. An aspection of the coverage and credit, the child tax credits in both countries are classified by and increased with the age(especially baby), disability, the number of children, accordingly it could coincide with family size or household's character unlike adult support tax credits. On the other, because the eligibility of the CDCTC in the U.S. requires qualifying child care expenses, it estimates to encourages transfer the payment for child care into the social cost. By 2003-04, the number of children in poverty fell by 100,000 and obviously be on the decrease in 2003-04 in the U.K. Likewise, in the U.S. there's been reduction of child poverty rate since 1990's, which had somewhat higher rate among OECD countries. This shows that the effects of child poverty reduction or prevention appear to be encouraging. As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Korea, first of all, it could cut administrative expenses and become transparent in the form of tax credits. Second,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to take into account of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income tax system including the exemption or deduction and determine the objective and target groups in designing the tax credits. Third, as the study also found out, effects of the child tax credits can be differently attributable to the universal child subsidies or work inducement in accordance with work-related eligibility. Forth, while refundable tax credit is much more intended on low-income families and children in poverty, it could be heavy burden to the State budget, so that it would be better to set upper limit of refundable income or the amount of refundable tax credit. Finally, child tax credits would be appropriate policy against low fertility by increasing credits with family size or household's character, also they would be estimated to encourages transfer the payment for child care into the social co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아동빈곤과 소득지원 = 6 B. 세액공제제도 = 10 1. 세액공제의 개념과 목적 = 10 2. 자녀지원 세액공제의 유형과 특성 = 11 C. 선행연구 검토 = 16 Ⅲ. 영국의 자녀지원 세액공제 제도 = 21 A. 영국의 세액공제 제도 = 21 1. 공공부조와 세액공제제도 발전과정 = 21 2. 2003년 세액공제제도 개편 = 24 B. 자녀세액공제(CTC) = 27 1. 적용대상과 자격요건 = 27 2. 세액공제 체계 및 산정방식 = 28 C. 근로세액공제(WTC) = 31 1. 적용대상과 자격요건 = 31 2. 세액공제 체계 및 산정방식 = 32 D. 분석 및 소결 = 35 Ⅳ. 미국의 자녀지원 세액공제제도 = 42 A. 미국의 세액공제 제도 = 42 1. 공적부조와 세액공제제도 발전과정 = 42 2. 2001년 EGTRRA 조세개편 = 45 B. 자녀세액공제제도(CTC) = 47 1. 적용대상및 자격요건 = 47 2. 세액공제 체계 및 산정방식 = 48 C. 자녀 및 피부양가족 세액공제(CDCTC) = 52 1. 적용대상및 자격요건 = 52 2. 세액공제 체계 및 산정방식 = 52 D. 근로세액공제제도(EITC) = 55 1. 적용대상과 자격조건 = 55 2. 세액공제 체계 및 산정방식 = 55 E. 분석 및 소결 = 58 Ⅴ. 결론: 한국에 대한 시사점 = 63 참고문헌 = 68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23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국과 미국의 자녀지원 세액공제제도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Child Tax Credit Programs in the U.K. and the U.S.-
dc.creator.othernamePark, Man-Sook-
dc.format.pageviii, 7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