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동주-
dc.contributor.author박영선-
dc.creator박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67-
dc.description.abstractJapan began their full-fledged colonial invasion taking opportunity of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During the 1 year and 8 month duration, the war was supported by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 one million and eighty-thousand soldiers, consuming a total cost of around two billion yen. To the soldiers, the Russo-Japanese war was the first opportunity to encounter the culture of another country. Thus soldiers began to record their new experiences which they were not able to see or experience in Japan, in written form in the form of letters and journals. From these records, wartime journals included records about the situation of the war, everyday life on the battlefield as well as personal feelings about the war. Together with the combatting soldiers' perception of the war, it is possible to see the reality(detailed illustration) of the war and therefore it is natural to pay attention to soldiers' journals for this purpose. Although various studies on the Russo-Japanese War, dealing with its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aspects have been accrued, since Ooe Shinobu's research on social history in the 1980s,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expanding to cover studies on slavery to military support. There are particularly many studies being conducted on the wartime journals of individual soldiers. Although there are many such studies regarding soldiers' perception of a disparate culture during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Russo-Japanese war, recently, as new materials are discovered one after another, studies stray from the common perception, and approach war from a new perspective, as a break away journey from everyday life, or focus on written records such as journals. In such manners, new and diverse approaches are being experimented. However, until the present, studies focusing mainly on the perceptions of common peasants and soldier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ose regarding other strata have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research, unlike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soldiers, will focus on the class of medical officers in examining the Russo-Japanese War. In comparison to common soldiers who were enlisted by order for conscription, medical officers joined the military voluntarily to take part in the war, and because their rank was of officer level, they were given more varied roles than common soldiers, and therefore believed to be able have broader experience of the war. The ranks of the three medical soldiers to be examined in this research are second and third medical officers. These officers did not take part in the war directly, but were able to observe the war closely by treating injured soldiers, taking charge of sanitation and education of hygiene workers. Thus they were of distinctive a rank which could carry out the role of doctors during the war.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journals of three medical officers, and examined the detailed illustrations of what roles medical officers took charge of during the war. For a year and eight months, in the Russo-Japanese war, medical officers not only recorded the status of treatment for injured soldiers, but also left detailed records of the structure of medical institutions,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s medical system at the time of the war. In addition, in the war journals of medical officers information on army life which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war, can also be found. In particular, from clothing, food and housing to military events, general life in the barracks is viewed from the unique perspective from the rank of medical officers,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reality of everyday lives of soldiers during the war and proceeds to ai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military officers during the Russo-Japanese War.;1904년 발발한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제국주의 침략을 본격화하였다. 1년 8개월에 걸친 전쟁 기간 동안 108만 명의 병력과 사용한 전비도 약 20억 엔으로 대규모의 인적, 물적 동원이 동반했던 전쟁이었다. 러일전쟁은 참전병사들에게 다른 나라와 문화를 처음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래서 병사들은 지금까지 일본에서 보고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경험을 편지, 일기와 같은 글의 형식으로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록 중에서도 종군 일기 속에는 전투 상황에 대한 기록, 전장에서의 일상 및 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소감 등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참전했던 병사들의 전쟁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전쟁의 실상이 어떠하였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병사들의 일기에 주목하는 것은 당연하다. 러일전쟁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치 ․ 외교 ․ 군사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축적되어왔지만, 1980년대에 들어서 오오에 시노부(大江志乃夫)의 사회사 연구를 계기로, 포로와 총후 사회, 그리고 군사원호에 관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그 대상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특히 개개의 병사가 기록했던 종군 일기에 대해서는 근래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러일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병사들의 異文化 인식과 관련한 것이 많으나, 최근 새로운 자료가 속속 발굴됨에 따라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전쟁을 비일상적인 여행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거나, 일기라는 기록 매체에 집중 하는 등, 새롭고 다양한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주로 일반 농민 병사들의 의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다른 계급에 대한 것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사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군의라는 계급에 중심을 두어 러일전쟁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징병령으로 징집된 일반 병사들과 비교하여 군의들은 자발적으로 입대하여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장교에 상당하는 계급이었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일반 병사들보다 다양한 역할이 주어졌으며, 따라서 경험할 수 있는 전쟁의 폭이 넓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 살펴볼 3명은 각각 2등 ․ 3등 군의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이들은 전투에 직접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전장에서 부상병을 치료 ․ 진단하여 전투의 모습을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었고, 위생 관리를 담당하고 위생대원들의 교육을 담당하여 전쟁 중에도 의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던 계급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군의 3인의 일기를 분석하여, 먼저 전쟁 중 군의들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는가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았다. 크고 작은 전투가 계속되었던 러일전쟁에서 군의들은 부상병 치료의 상황뿐만 아니라 위생대의 업무, 의료 기관의 구성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록을 남기고 있어, 전쟁 당시 일본군의 의료체계가 어떠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군의들의 종군 일기에는, 전쟁 기간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병영 생활이 어떠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도 찾을 수 있다. 특히 의식주에서 행사까지, 병영 생활 전반을 관리했던 군의라는 특수한 계급의 관점에서 전쟁의 모습을 재조명함으로써, 전쟁 중 일상생활의 실체가 어떠하였는가를 밝히고 나아가 러일전쟁기 일본 군대의 모습과 군의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전장에서의 군의의 역할 7 1.군의의 참전과정과 의료체계 7 2.군의의 의료활동 11 1)징병과정에서의 역할 11 2)부상병 치료 13 3)위생관리 17 4)위생대 교육 21 Ⅲ.병영생활에서의 군의의 역할 24 1.의식주관리 24 2.여가생활 29 3.행사 관리 32 Ⅳ.결론 35 참고문헌 38 ABSTRACT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1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군의의 종군일기를 통해 본 러일전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usso-Japanese War Viewed through the War Journals of Medical Officers-
dc.creator.othernamePark, Young Sun-
dc.format.pagev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