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 Categories by Native Korean Speakers

Titl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 Categories by Native Korean Speakers
Other Titles
한국어 화자의 영어 모음 범주 발화와 인지 연구
Authors
손가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thesis deals with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a second language (L2) by non-native speakers. Here, L2 performances of non-native speakers are observed and analyzed based on major theoretical views such as the Speech Learning Model (Flege, 1995), the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Best, 1993, 1995; Best et al., 1988, 2001), and the Perceptual Magnet Effect (Kuhl, 1981, 1991; Iverson & Kuhl, 1996). These models propose that phonological systems of the first language (L1) and the second language (L2) are incorporated in the same phonetic space, and that the phonological system is adjusted by linguistic experience. A close relationship and mutual influence between L1 and L2 systems have been suggested. Also, the Theory of Adaptive Dispersion (Liljencrants & Lindblom, 1972; Lindblom, 1986, 1998; Lindblom & Engstrand, 1989) provided the fundamental ground for the property of adjustment of native vowel categori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upport and advance these theories. The experiments performed in this thesis consisted of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The target second language was American English. In the experiments, American English monophthongs were dealt with. The subjects were native Korean adults with different linguistic experiences. All subjects produced English and Korean phonemes. Acoustic properties of the target English phones were compared with phonetic properties of the Korean counterparts. Based on the perception test, a discriminability in English phonemes of Korean subjects was observed. The experienced subjects produced English phonemes relatively successfully, while the inexperienced subjects showed complete phonetic convergence in their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erception test, both groups showed high accuracy levels in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The overall result generally supported the theoretical models and proposed that more linguistic experience brings about attunement of vowel categorie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evidence in this thesis proved the argument of the models above and showed the nature of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phonetic convergence in production and perceptual divergence. Consequently, the nature of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is related to phonemic categories in the native phonological system.;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화자의 영어 발화와 인지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특징적 발화와 인지의 유형이 어떤 음운 체계로부터 야기되는 것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제2언어 학습자의 음운 체계에 대한 이전 연구들의 고찰이 이루어졌고 이 연구들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발화 실험과 인지 실험이 실시되었다. 먼저 발화 실험에서는 표준 미국 영어의 9개 단모음과 표준 한국어의 8개 단모음이 영어 화자와 영어 사용 경험이 다른 두 그룹의 한국어 화자에 의해 발음되었다. 이 실험을 통해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영어 발화에 한국어 음운 체계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영어의 조음과 인지 경험이 없는 하위 그룹의 경우 완벽한 언어간 동화작용(interlingual identification)에 의한 모국어로의 음성 수렴(phonetic convergence)이 관찰되었다. 이는 발화 습득 모델(Speech Learning Model, Flege 1995)이 주장하는 두 언어 음운 체계의 조정과 통합을 뒷받침하였다. 인지 실험에서는 미국 영어의 단모음을 한국어 화자에게 들려주고 영어 모음을 식별하고 영어 모음 간의 차이를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더 정확하게 영어 모음을 인지하고 있으며,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과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하위 그룹은 영어와 한국어 모음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영어 모음이 한국어 음운 체계의 범주로 인지된 것이므로 이 결과는 인지적 자석 효과(Perceptual Magnet Effect, Kuhl 1981, 1991; Iverson & Kuhl 1996)를 뒷받침 하였다. 영어 모음간 차이를 구분하는 실험에서는 두 그룹 모두 발화 실험에서와 달리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는 분화적으로 인지하려는 특성과 발화시의 경제성을 강조한 적응형 분산 이론(Theory of Adaptive Dispersion, Liljencrants & Lindblom 1972; Lindblom 1986, 1998; Lindblom & Engstrand 1989)에 부합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한 범주 안에 속하는 다른 음들간의 차이도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한 인지적 동화 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Best 1993, 1995; Best et al. 1988, 2001)의 타당성 또한 입증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 실험을 통해 모국어 음운 체계가 가지는 모음 범주가 외국어 모음 발화와 인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음 범주의 변화와 재편성은 언어적 경험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고 하나의 음운 체계로 여러 언어의 발화와 인지가 일어나기 때문에 외국어 화자의 제2언어 발화와 인지의 유형이 그 화자의 음운 체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