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이해력 특성

Title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이해력 특성
Other Titles
Comprehension of Emotional Words in School - 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uthors
남궁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맥락을 고려하여 상대방의 정서를 추론할 수 있는 정서이해력은 사회적 능력 및 언어력과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타인의 정서를 이해함으로써 맥락에 적절한 의사소통을 산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상대방의 정서를 올바르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정서표정, 상황맥락, 정서어휘 등과 같은 정서 단서에 대한 적절한 관심과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들은 생애초기 단순히 상황과 정서를 연결 지음으로써 정서를 이해하기 시작하여 점차 바람을 통해서도 정서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서의 차원은 기본정서와 복합정서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정서는 생애초기부터나타나는 정서이고, 복합정서는 기본정서보다 늦게 나타나며 자기인식, 사회적 규준, 타인의 평가 등의 인지적 능력을 발판으로 발달하게 되는 정서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사회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주제유지, 차례 지키기 등의 다양한 화용론적 기술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서이해력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이해력의 한 측면인 정서어휘이해력을 정서차원(기본과 복합) 및 맥락(상황 및 바람)을 고려하여 살펴보고, 정상발달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7 - 8세의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12명,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정서어휘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정서어휘이해 과제는 상황 및 바람맥락 이야기에서 기본정서어휘(기쁨, 화남)와 복합정서어휘(자긍심, 수치심)를 추론하여 정서어휘 그림카드 중에서 고르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복합 및 바람복합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이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상황기본 및 바람기본 과제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서어휘이해 과제 수행 시 나타난 아동의 오류반응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오류유형은 기본-복합 오류(예: ‘자랑스러웠다’를 ‘기뻤다’로 답함)였고, 긍정-부정 오류(예: ‘자랑스러웠다’를 ‘창피했다’로 답함), 이중오류(예: ‘자랑스러웠다’를 ‘화났다’로 답함), 그리고 ‘모른다’ 반응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특히, 긍정-부정 오류와 이중오류는 언어연령일치 집단보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정서를 유발하는 맥락이 상황이든 바람이든 상관없이 기본정서어휘일 경우에는 생활연령일치 집단만큼 높은 이해력을 보이나 복합정서어휘일 경우에는 이해에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맥락을 통해 복합정서어휘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진단 및 치료 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motional word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The emotional word comprehension performances toward dimensions of emotion(basic vs. complex) and contexts(situation vs. desire)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re were three groups of subjects, 12 children with SLI aged 7- to 8 years, 12 normal children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 age(CA-matched group), and 12 normal children matched by their language age(LA-matched group). The emotional word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either basic emotional words(happy and angry) or complex emotional words(proud and shameful) induced in either situation or desire contexts. Therefore, the four task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situation-basic, desire-basic, situation-complex, and desire-complex.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oint to one of the five facial expressions: happy face, angry face, proud face, shameful face, curious face(i.e. neutral examp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 group differences in situation-basic and desire-basic tasks were found. In situation-complex and desire-complex tasks, however, the SLI group and the LA-matche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CA-matched group performance. Second, the error type analysis of the task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was ‘basic-complex’ error(e.g. happy↔proud) in all groups. On the other hand, ‘positive-negative’ error(e.g. proud↔shameful), ‘double’ error(e.g. proud↔anger) and ‘don't know’ response appeared in the SLI group and the LA-matched group, but not in the CA-matched group. Especially the SLI group made more ‘positive-negative’ error and ‘double’ error than the LA-match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LI group shows high comprehension as much as the CA-matched group in basic emotional words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ext. However, the SLI group seems to have greater difficulty in comprehension of complex emotional wo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