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박민아-
dc.creator박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96-
dc.description.abstract세계 전반에서 환경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환경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 지구적으로 계속되는 빈곤과 불평등, 기후변화, 사회-경제적 위기 등에 근거해서 볼 때 세계는 전환점에 있다. 따라서 '미래 세대가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이라는 개념의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2005년 3월부터 유엔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10년」을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도 세계의 이런 추세에 동참하여 국가적인 전략을 개발하고 시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인권, 평화, 통일, 환경과 관련된 내용은 범 교과학습 영역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통합적이지 않고,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이 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의 인식, 가치, 태도를 알고 이것들의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환경영역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교육과정 개발과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환경영역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중학생 68명과 고등학생 69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검사도구는 Tuncer(2009)와 Aini 등(2007)이 사용한 설문지들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을 비교하고, 학교 급별, 성별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사용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 고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하위영역별로는 기후변화영역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해예방 및 완화영역, 자연자원영역이 순으로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교통영역은 학생들이 가장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물 종 다양성 영역, 지속가능한 도시화영역, 주거환경영역, 농촌개혁영역 순으로 학생들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 살펴보면,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더 높은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자연자원영역과 기후변화영역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생의 경우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고등학생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하위영역에서의 성차는 거의 없었으나 교통영역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자연자원이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경제적인 (절약적인)사용이 중요함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환경보호 노력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농촌과 농업이 지속가능성과 관련되어 있고,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학생들은 제한적인 개발과 시민들의 건강증진도모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환경문제를 해결해야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통 영역에서의 긍정적인 인식이나 생물다양성의 이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므로 학생들의 인식의 개선을 위한 교육 및 관련 활동에의 참여가 필요하다. 둘째, 중, 고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긍정적이었다(p< .01).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성별에 따른 태도의 차이는 없었다. 물건의 사용과 관련된 태도문항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01). 따라서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물건의 사용과 관련된 태도가 높았다. 셋째, 태도와 인식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인식의 하위영역은 주거환경영역이고, 그 다음으로는 재해예방 및 완화영역, 기후변화영역, 자연자원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해예방 및 완화 영역은 교통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생물종 다양성은 다른 영역들과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였으며, 교통영역은 기후변화를 제외한 다른 영역들과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교통영역을 가장 모르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생물 종 다양성 영역, 지속가능한 도시화영역, 주거환경영역, 농촌개혁영역 순으로 학생들이 인식이 낮아 이 영역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환경보호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려는 적극적인 태도가 나타났으므로, 단순히 내용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수준을 넘어서 학생들이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제로 참여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지속,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의 적용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Environmental problems are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But that has not resolved. we lack awareness about our impact on environment. World poverty, inequality, since and climate change continu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emphasized. Since 2005, U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0 years" began and Korea was a part of it. First, to achieve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our perception instantly, values and attitudes should know. So, in this study,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region'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were investigat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8 middle school and 69 high school students. In processing test results, ANOVA and correlation assay was conducted with SPSS 18.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know more about Natural source and Climate chang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all areas of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cores were high school girls in the traffic field. Result of questionnaire analysis, the students wer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natural resources. Second, the score of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on the field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 Thus,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are more positiv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ender. Attitud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objects in question, depending on grad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high school students trying to deal with things more carefully. Third,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sustainble development. The result wa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In conclusion, by this research I found out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result will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rstigating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2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지속가능발전 4 1. 지속가능발전의 의미 4 2.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정의와 중요성 6 3.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동향 7 4.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 8 5.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 9 B. 환경교육 10 1. 환경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10 2.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11 C. 선행연구 12 Ⅳ. 연구방법 14 A. 연구대상 14 B. 연구절차 14 C. 검사도구 15 Ⅴ. 연구결과 및 해석 18 A.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18 1. 중고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18 2.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검사의 문항분석 20 B.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29 1. 중고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 29 2.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검사의 문항분석 31 C.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검사의 하위영역별 및 태도간의 상관 관계 33 Ⅵ. 결론 및 제언 35 참고문헌 37 부록 1 41 부록 2 45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1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속가능발전의 환경영역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field-
dc.creator.othernamePark, Min A-
dc.format.pageix,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