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중학교 웹 기반 과학 수업 실태 파악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Title
중학교 웹 기반 과학 수업 실태 파악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rvey for the class statu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Authors
권민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웹 기반 교육이 도입 된 후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흥미 향상, 동기 향상, 자기 주도 학습력 향상, 창의력 향상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각 급 학교에서 웹 기반 수업이 활성화 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반 과학 수업의 운영 실태 조사를 통해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하는 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웹 기반 과학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과와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했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6개 중학교 과학 교사 26명과 남, 여학생 8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교사의 웹 기반 수업 운영과 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학생용 설문지는 웹 기반 과학 수업 실태, 선호도, 만족도, 효과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빈도 분석, χ²(Chi-square)검증, 상관분석,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과학 수업의 실태 조사 결과에 의하면 26명의 교사가 모두 웹 기반 과학 수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과학 수업 형태는 일반 교실(96.2%)에서 학급별(따로 집단 구성하지 않음)로 구성(80.8%)되어 일반적인 강의 수업(84.6%)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 결과, 학생 간 상호 작용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73.1%)으로 나타났고 교사와 상호 작용은 약간(51.0%)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기반 과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는 웹 기반 과학 수업이 학생과의 상호 작용(53.8%) 측면과 창의력·문제 해결력을 향상(73.1%) 시키는 측면에서 기존 수업보다 효과적(73.0%)이라고 인식하였다. 학생의 경우 웹 기반 과학 수업이 기존 수업 보다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인식(77.1%)하였다. 셋째, 학생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학생은 웹 기반 과학 수업의 수업 태도가 기존 수업보다 좋다(68.7%)고 인식하였고 수업에 대한 이해도(80.8%), 집중도(66.1%), 수업 참여도(73.9%) 부분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수업 활동 영역에서 학생은 전반적으로 웹 기반 과학 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76.4%)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하였다. 웹 기반 과학 수업의 전반적인 실태는 교사의 높은 활용도(100%)와 학생과 교사의 상호 작용(51.0%) 측면에서 발전적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형태는 기존 수업과 큰 차이가 없어 웹의 장점을 실현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교사는 상호 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웹 기반 과학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현 웹 기반 과학 수업은 상호 작용 없이 무료 웹 사이트 자료에 의존하는 멀티미디어 수업에 가까웠다. 특히 학생 주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웹 기반 과학 수업이 교사 주도적으로 진행 되는 수업(96.2%) 실태는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사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실태에서도 웹 기반 과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일부분 긍정적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면서 웹 기반 과학 수업이 앞으로 보다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된다. 앞으로 웹 기반 과학 수업이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수업 장소가 교실이 되고 모든 학생이 한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통념을 깨고 상호 작용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웹 기반 과학 수업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주도적인 수업 보다 학생 주도적인 수업을 지향하여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갖춘 인재를 배양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현재의 웹 기반 수업의 정의는 포괄적인 면이 있으므로 웹 기반 수업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여 교사에게 인식 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가 웹 기반 수업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더라도 설문 조사 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이 설문지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 주도적인 웹 기반 과학 수업이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수업 적용을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중학교 웹 기반 과학 수업 실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경기도 및 서울을 포함한 각 지역을 대상으로 실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웹 기반 과학 수업이 교사 주도적인 수업 형태에서 학생 주도적인 수업 형태로 변화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rvey for the operating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The subjects were 26 science teachers and 867 students who converted member of 6 public middle schools at Gyeonggi-do. After returning the questionnaire, the study finally were analyzed 26 teacher's copies and 825 student's copies that used SPSS win 12.0 program. The study made use of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χ²(Chi-square), Correlation Analysis. The class status results of the teacher's was using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all teacher. In addition, teacher of 80.8%(21 people) was using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over 50% of semester. This result showed positive result about Utilization. But, Form of practical lessons was General teacher-led lessons(84.6%) to Class unit(80.8%) in the general classroom(96.2%). So, this result showed Limitations about Students participate in the self-leading. The status results of the student was appeared to prefer Because of Easy understanding(35.4%) and interesting induction(39.5%).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as not actively in Web-based science instruction(73.1%). but the interactioi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as actively a little for that(51.0%). When the intercation, students was used E-mail and Internet board. And then, the Interaction level is influenced that Internet access capability(upper>middle, upper>lower, p<.01) and gender(p<.01). In general, The survey results of the teacher's recognition was positive. Specially, the interactioi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53.8%), and Enhanc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73.1%). The other side, about the lesson for Students participate in the self-leading was negative(73.1%). students were aware that understanding of course content was effective in web-based science instruction(77.1%). And students were recognized as effective about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75.6%) and Enhanc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55.7%). The other side, about potential expression was negative(56.1%). The satisfaction results of the student were aware that the classroom climate of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is good more than traditional teaching instruction(68.7%). As well as, generally, student's satisfaction about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was Satisfactory. Bu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gender. Specially, motivation(p<.01) and interesting induction(p<.05) was influenced. About these results shows that integration, In conclusion, status about the Utiliz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as developmental results. In addition,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positive.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But to be more active for the next class should be oriented Students participate in the self-leading. And If we develop more data and program for Web-based science instruction for the middle school will be able to better implement constructiv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