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간호사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와의 관계

Title
간호사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among Nurses’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uthors
편미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Korean nurses’ average turnover rate is 16.6%, which is higher than Korean company workers’ average turnover rate 13.4% and the number of nurses considering turnover is increasing. In particular, conflicts arising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even more burdensome and cause heavy stress, maladjustment, and consequent turnover to nurses who are in a special situation. One of major factors disrupting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soci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interpersonal association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self-esteem.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relationships among nurses’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As descriptive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survey nurses’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nd through this,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the productivity of nurse organizations, the efficiency of nursing work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making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plans. Data were collected from 288 nurses at 4 tertiary medical hospitals in Seoul from October 1, 2009 to April 8, 201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15 items on in social anxiety, 10 on self-esteem, and 11 on turnover intention.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electronically with SAS 8.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ith regard to the subjects’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an score of social anxiety was 27.7 out of 75, self-esteem was 28.3 out of 40, turnover intention was 36.9 out of 55. 2. Amo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g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nd un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F=4.95, p=.00). Academic qualifi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lf-esteem (F=9.91, p=<.0001), position in turnover intention (F=4.60, p=<.0001), and clinical experience in social anxiety (F=2.45, p=.04) and turnover intention (F=10.2, p= <.0001). 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reported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r= .50, p=<.0001). According to make plans to their lower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for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moreover, we should establish a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That is, those with high social anxiety had low self-esteem, and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had high self-esteem. Due to we need to educational system for improve the self-esteem to nurses's and lower social anxiety, for instence self-development activities or self assertiveness training.;국내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은 16.6%로 우리나라 기업 직원의 평균 이직률인 13.4%와 비교해 볼 때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간호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대인관계로 인한 갈등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부적응을 야기하여 이직을 초래하고, 이 중 대인불안은 자아존중감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이에 간호사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09년 10월 1일부터 2010년 4월 8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 4개 병원에 소속해 있는 간호사 28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15문항의 대인불안 도구, 10문항의 자아존중감 도구, 11문항의 이직의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고,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를 사용하였으며, 세 변수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의 정도에서 대인불안은 75점 만점에 평균평점 27.7점이고, 자아존중감은 40점 만점에 평균평점 28.3점이고, 이직의도는 55점 만점에 평균평점 36.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에서 대인불안은 근무병동(F=4.95, p=.00)과 임상경력(F=2.45, p=.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학력(F=9.91, p=<.0001)에, 이직의도는 직위 (F=4.60, p=<.0001)와 임상경력(F=10.2, 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ɼ=-.50, p<.0001)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의 임상경력이 5년 초과 8년 이하인 그룹이 대인불안과 이직의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이 조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인불안과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어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대인불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간호사들의 대인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기계발프로그램이나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 같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