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강미옥-
dc.creator강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24-
dc.description.abstract정신질환자에게 삶의 질이란 질병 치료 및 치료의 부작용과 관련된 주관적인 안녕감이라 할 수 있다. 정신질환 치료에 있어서도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치료의 일차적 목표는 증상의 경감에 있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한 정신질환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들은 다양한 약물 부작용을 호소하는데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고 이는 약물 이행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약물 부작용과 약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정신질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약물 부작용, 약물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약물부작용 대처 방법과 약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심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약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0년 4월 한 달 동안 경기도내 정신병원 3곳, 정신보건센터 4곳와 서울 소재 사회복귀 시설 한곳을 이용하면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중인 정신분열병, 조울병 환자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한국판 리버풀 약물 부작용도구(LUNSERS), 한국판 약물 태도 도구(DAI-10)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여 t- 검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하였고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계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들의 약물 부작용 평균 점수는 34.30점으로 대상자들의 약물 부작용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약물에 대한 태도가 평균 3.00점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점수는 평균 2.94점이며 삶의 질을 보통 정도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약물을 투여 받은 환경에 따라 약물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291, p=.000). 즉, 병원에서 거주하는 환자집단이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환자집단보다 약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약물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약물에 대한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038, p=.043). 즉, 약물교육을 받은 환자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약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3. 약물 부작용을 경험하는 정도에 따라서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000, p=.000). 즉, 부작용을 심하게 경험한 집단이 적게 경험한 집단보다 신체적 영역(t=-3.863, p=.000), 심리적 영역(t=-3.680, p=.000), 사회적 영역(t=-4.473, p=.000), 환경적 영역(t=-2.489, p=.007), 전반적인 건강역역(t=-2.293, p=.001)의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4. 약물 부작용 중 추체외로계 부작용(t=-3.824, p=.000), 정신성 부작용(t=-5.262, p=.000), 알레르기 부작용(t=-2.561, p=.012), 자율신경계 부작용(t=-2.519, p=.015), 항콜린성 부작용(t=-3.220, p=.002), 기타 부작용(t=-4.533, p=.024)을 심하게 경험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5. 약물에 대한 태도에 따라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5.074, p=.000). 즉, 약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체적 영역(t=5.848, p=.000), 심리적 영역(t=3.068, p=.001), 사회적 영역(t=3.584, p=.000), 환경적 영역(t=5.249, p=.000), 전반적인 건강영역(t=3.435, p=.000)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6. 약물 부작용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고(r=-.321, p=.000), 약물에 대한 태도는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r=.400, p=.000). 그리고 약물 부작용은 약물에 대한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219, p=.006).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약물 부작용 경험이 많을수록, 약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므로 약물 부작용에 대한 이해와 부작용에 대처 하는 방법을 교육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약물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거주 하는 환자집단보다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진의 관리 하에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약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지역사회나 병원 거주 환자 중 약물 교육을 받은 환자집단이 교육을 받지 않은 환자집단보다 약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다. 그러므로 병원이나 지역사회에 거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에 대한 이해 및 약물복용의 필요성을 교육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입증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Quality of life for mentally disordered can be described as a state of subjective stability pertaining to disease treatments and the side-effects from the treatments. A Primary goal of treatments, as well as of other diseases, is to alleviate corresponding symptoms. but the ultimate goal is to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evaluating patients' quality of life in the treatments of mental illness with the administration of antipsychotic drugs bears great significance. Mentally disordered taking antipsychotic drugs appeal for diverse side-effects, and this brings out the inconveniency of his/her life and disturbs the medication treatment. Likewise, such side-effect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antipsychotic drugs would possibly lower patients' overall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systematic drug education program which can inculcate effective response procedures of side effect and positive drug attitude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amongst side effects of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 drugs, the attitude towards drugs and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54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schizophrenia who are taking antipsychotics, and treated from three neuropsychiatric hospitals, four mental health center in Gyunggi-do, and in one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during the month of April, 2010. The measuring tools employed for this study consist of a Korean version of the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Korean version of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s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 Korean version of Drug Attitude Inventor y-10(DAI-1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12.0 program to analyze t-test, Pearson correlation.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and the verification of confidence level of study tools was measured by Chronbach's alpha factor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average points of drug side effects scored 34.30, and it signifies that the level of side effects from the drug treatment is fairly low, and the attitude towards drug treatments scored average of 3.00 points, signifying positive aspects. Quality of life scored average of 2.94 points and it shows that patients regard their quality of life as ordinary as others. 2. In each different medication environment, the attitude towards drugs showed a substantial change statistically(t=-4.291, p=.000), that is, a group of patients' kept in hospital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drugs than those living in local community. Depending on whether one has taken drug education or not, the attitude towards the drug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t=2.038, p=.043). In other words, a group of patients who has taken the drug education course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drug. 3. The extent of experiencing drug side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quality of life(t=-5.000, p=.000). Namely, a group of patients with severe side effects showed lower quality of life in physical domain(t=-3.863, p=.000), psychological domain(t=-3.680, p=.000), social domain(t=-4.473, p=.000), environmental domain(t=-2.489, p=.007), and overall health domain(t=-3.459, p=.001). 4. A group severely experiencing certain level of extra-pyramidal side effect(t=-3.824, p=.000), psychic side effects(t=-5.262, p=.000), allergic side effects(t=-2.561, p=.012), autonomic side effects(t=-2.519, p=.015), anticholinergic side effects(t=-3.220, p=.002), and miscellaneous(t=-4.533, p=.024) showed a lower level of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ose who haven't got through mentioned side-effects. 5. Attitude towards the drug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quality of life(t=5.074, p=.000). A group of patients with positive attitude showed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in physical domain(t=5.848, p=.000), psychological domain((t=3.068 p=.001), social domain(t=3.584, p=.000), environmental domain(t=5.249, p=.000), and overall health domain(t=3.435, p=.000). 6. Side effects of the drug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r=-.321, p=.000), and attitude towards the drug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r=.400, p=.000). Also, side effects of the drugs demonstrate statistically meaningful,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 towards the drugs(r=-.219, p=.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systematic drug education is required for providing countermeasure methods against the side effects of the drugs and the understanding of side effect itself, as the quality of life decreased as patients hold negative attitude towards drugs and as they experienced more side effects from the drug treatments. Patients treated under the systematic procedure by doctors in the hospital hel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ose living in local community, and from the patients mentioned above, those who took drug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drugs than patients who did not take it.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meaningful in a way that the results can verify the necessity of nursing mediation program, which can improve life of patients treated in hospitals or local community by a provision of education that helps patients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drugs and why it is necessary for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정신질환자의 항정신병약물 부작용과 삶의 질 6 B.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 13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 분석 18 E. 윤리적 고려 19 F. 연구의 제한점 19 Ⅳ. 연구결과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력 관련 특성 21 B. 항정신병약물 부작용, 약물태도, 삶의 질 수준 23 C. 대상자의 약물 투여 환경, 병력에 따른 약물 태도와 삶의 질23 D. 항정신병약물 부작용과 삶의 질 24 E.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 29 F. 항정신병약물 부작용, 약물 태도와 삶의 질 관계 30 Ⅴ. 논의 31 간호학적 의의 35 Ⅵ. 결론 37 참고문헌 41 부록 1. 연구 동의서 및 설문지 51 부록 2. 약물 부작용 도구의 신뢰도 계수 61 부록 3. 약물에 대한 태도 도구의 신뢰도 계수 62 부록 4. 삶의 질 도구의 신뢰도 계수 63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질환자의 항정신병약물 부작용과 약물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Quality of life, side effect of antipsychotics and attitude toward drug of mentally disordered-
dc.creator.othernameKang, Mi Ok-
dc.format.pagev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