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미숙-
dc.contributor.author이진숙-
dc.creator이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31-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ating habit and diet intake conditions of cataract patients and normal people in Korea, and to examine the diet and eating environmental elements influencing catarac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66 cataract patients in ophthalmic hospitals in Seoul and volunteers of normal people without any ophthalmic disease who came to examine their ey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cataract group (n=101) and normal group (n=65), and a case-control aspect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were that the patient group had more diagnosed diseases than the contrast group, and of the kinds of diseases, high blood pressure most frequently appeared (54 people, 47.37%), and diabetes second most frequently appeared (26 people, 22.81%). About drinking matters, the patient group had more non-drinking people than the contrast group, but of drinking people, the patients group proved to drink wine more frequently and more heavily than the contrast group.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health-aid food intake and cataract was that the normal group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atient group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p<0.05). The eating habit analysis result of each group was that the pat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ating habit points than the contrast group. Especially, the patients group often had an unbalance diet, and was lacking in the variety of food intake. In addition, they took in less dairy products than normal people, they frequently added salt or soy source to their food, and they proved to eat instant foods very often. The analysis result between life habit and eating behavior wa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eating habit, the "practice" group showed the more-balanced eating habit than the "non-practice" group in both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ast group. In smoking, of the patient group, non-smokers proved highest and smokers proved lowest in both the eating habit and eating balance. The eating habit analysis result about the health-aid food intake was that the "intake" group showed the higher eating balance points than the "non-intake" group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intake" group showed the higher eating habit and eating balance points than the "non-intake" group in the contrast group, too. In nutrient intake, the contrast group was taking in all the nutrients more than the patient group. As for carbohydrate intake, the patient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ratio than the contrast group,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nutrients except protein and zinc. The result of proper nutrient intake proportion (NAR) was that the contra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ion in protein, vitamin B₂, niacin, vitamin B&#8326;, calcium, phosphorus, iron (p<0.01), vitamin B₁, vitamin C (p<0.1), vitamin A, and folic acid (p<0.5) excluding zinc than the patient group. The average nutrient proper intake ration (MAR) can be considered normal as it was more than standard 1 in both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ast group, but the contrast group showed higher ratio than the patient group (p<0.01). The variety result of food intake was that the contrast group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that the group was taking in 6 groups of grains, fish & meat, vegetables, fruits, dairy products, and fat over the least standard. On the other hand, the intake proportion of all the 6 food groups was low in the patient group, the intake ration of 4∼5 food groups proved high. Especially, they showed the lower intake proportion of fruits, milk, or dairy products. The analysis result of food intake was that the contrast group showed the more intake of beans, vegetables, milk, or dairy products, but the patient group showed the higher intake proportion of beverage and wine. In conclusion, each factor influencing cataract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health-aid food intake, eating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ratio. In addition, the cataract group showed the lower intake of fruits and dairy products in the food intake pattern. As a result, various nutrition-relate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so that people can be led to the desirable eating habit and can take in 6 groups of food proportionally in order to prevent cataract.;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백내장 환자군과 정상인 대조군의 일반적 특징과 식이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두 그룹 간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10년 3월에서 4월까지 서울에 있는 K병원에 입원한 백내장과 정상인 두 그룹의 자발적 동의하에 참여한 166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지와 식행동 및 식이섭취 상태조사를 알아봄으로써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은 환자군 64.87살, 대조군 60.97살로 나타났고, 성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대상자가 환자군 63.39%, 대조군 73.81%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BMI의 경우 정상 범위가 환자군 63.39%, 대조군 71.43%로 두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징에 출생지는 두 그룹 모두에서 농촌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주거지는 두 그룹 모두 도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력은 환자군에서 “초등학교졸”이 가장 많은 31.7%로 대조군 “고등학교졸” 29.2%로 나타났다. 직업은 환자군이 “없다와 주부”가 각각25.7%, 대조군은 “서비스&#8228;판매직” 21.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소득에서는 환자군이 “50만원 미만” 44.56%, 대조군이 “101∼200만원” 29.2%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질병의 유무에서는 환자군 72.3%가 질병을 가지고 있었고 대조군 67.7%가 질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질병의 종류로 고혈압 47.3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당뇨병 22.81%, 기타 15.79%, 고지혈증 10.53%, 암3.51% 순으로 나타났다. 활동정도에서는 환자군에서 “가벼운 활동”은 44.6%고, 대조군에서 “보통활동”은 52.3%로 두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지만, 운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비흡연이 환자군 63.4%, 대조군 78.5%로 두 그룹의 여성비율이 많아서 흡연보다 비흡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여부에서는 환자군이 비음주자가 58.4%로 음주자 32.7%보다 높게 나타났고, 반면 대조군에서 음주자가 55.4%고 비음주자는 43.1%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음주자 중 음주 횟수와 음주량에 있어서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한 달에 2∼4번”이상 마시고 음주량도 맥주 4컵 이상으로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 복용여부는 환자군이 “건강식품을 복용 하지 않는다”에 51.5%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건강식품을 복용 한다”에 70.8%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행동 점수는 총점수가 높을수록 식습관이 좋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식행동 문항 중 식습관 점수에서 “편식을 하지 않고 음식을 골고루 먹는 편이다”에서 환자군이 4.26점, 대조군이 5.02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사균형 점수에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기 위해 노력한다”와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을 매일 2컵 이상 마신다”에서 환자군은 각각 3.91점 ,2.86점이 대조군은 각각 4.63점, 3.92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태도에서 “음식을 먹을 때 소금이나 간장을 더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 “간식으로 단 음식을 많이 먹는 편이다(단빵, 과자, 탄산음료)”와 “인스턴트음식이나 패스트푸드를 일주일에 3회 이상 먹는다”에서 각각 환자군 4.60점, 4.67점, 5.41점이 대조군은 각각 5.28점, 5.29점, 5.86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식행동 총합점수가 환자군은 97.99점, 대조군은 103.2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여부에 따른 식행동 차이에 있어서 환자군이 운동을 한다가 운동을 안한다보다 식사 균형이 더 높고 대조군도 마찬가지로 운동을 한다가 운동을 안한다보다 식사균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에 따른 식행동 차이에 있어서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환자군에서는 흡연여부에 따른 식습관, 식사균형이 모두 금연자가 가장 높고 흡연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을 복용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는 식습관 요인에서 대조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식사균형 요인에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이섭취 조사 결과 대조군은 열량 1860.8kcal, 당질 248.2g, 지질 56.3g, 칼슘 763.0mg, 인 1361.9mg, 철분 17.1mg, 나트륨 6309.8mg, 칼륨 3646.0mg, 비타민A 1024.4ug, 비타민B1 1.2mg, 비타민B2 1.4mg, 비타민B6 2.6mg, 나이아신 20.7mg, 비타민C 143.0mg, 엽산 354.8ug, 비타민E 17.7mg, 콜레스테롤 378.2mg으로 유의적으로 모든 영양소에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분석시 대조군의 모든 영양소의 NAR이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비타민B1, 비타민B2 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0.8이상의 수치를 보인데 비해 백내장의 경우 비타민B1, 비타민B2, 엽산, 칼슘 등 4개의 영양소에서 0.8미만의 NAR수준을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의 전반적인 질을 의미하는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의 경우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1.10 과 1.45로 두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두 그룹이 MAR > 1.0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식이의 적절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지만 대조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식품군 점수는 대조군이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1), 대조군의 경우 6점 비율이 38.5%로 환자군의 7.9%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품군 섭취패턴(CMVFDO)에서도 대조군이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환자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패턴은 CMVFDO=111001로 33.7%가 식사 내에 과일과 유유를 포함한 유제품을 최소기준 이상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패턴은 CMVFDO=111101로 23.8%가 식사 내에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을 최소기준 이상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에서 첫 번째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패턴은 CMVFDO=111111로 38.5%가 식사 내 모든 6가지 식품군을 최소기준 이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패턴은 CMVFDO=111101로 27.7%가 식사 내에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을 최소기준 이상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 섭취량은 대조군이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환자군은 곡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을 보였지만 두류, 야채류, 과일류, 육류, 어패류, 우유군, 유지류, 양념류와 같은 식품군에서는 대조군이 환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이 나타났다. 태어나 곳, 주거지, 실외에서 보내는 시간, 흡연 및 BMI는 대조군과 환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질병의 유무,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실태에서는 대조군이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식품군 섭취패턴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백내장의 원인으로서 식습관과 식이섭취가 주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올바른 식생활 및 균형 잡힌 식이섭취로 백내장 예방과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연구 대상 및 방법 4 A.연구 대상 선정 4 B.조사 내용 및 연구 방법 4 1.설문 조사 4 2.일반적 사항 조사 5 3.식행동 조사 5 4.식이섭취 조사 6 5.식사의 질 평가 6 C.자료처리 및 통계분석 8 Ⅲ.연구결과 및 고찰 10 A.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 1.인구통계학적 특징 10 2.일반적 특징 12 가.출생지 및 주거지별 분포 12 나.학력 및 직업별 분포 13 다.소득 및 하루 실외노출시간 13 라.가족구성형태 14 3.가족력 및 질병 유무 조사 17 가.가족 중에 백내장을 앓았던 사람 유무 17 나.과거 진단 받은 질병 유무 19 B.생활습관 조사 21 1.하루 활동 정도 21 2.운동 22 3.흡연 23 4.음주 24 가.환자군과 대조군의 음주 상태 24 나.환자군과 대조군의 음주 횟수 26 다.환자군과 대조군의 음주량 27 5.건강식품복용 상태 28 가.환자군과 대조군의 건강식품 복용 상태 28 나.환자군과 대조군의 건강식품 종류 29 C.식행동 조사 30 1.식행동 신뢰도 검증 30 2.식행동 문항별 점수 31 D.생활습관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 34 1.운동여부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 34 2.흡연여부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 36 3.음주여부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 38 4.건강식품 복용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 40 E.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실태 42 1.조사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실태 42 2.영양소 적정 섭취 비율(NAR),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 비율(MAR) 44 3.식품군 점수(KDDS) 46 4.식품군 섭취 패턴(CMVFDO) 47 5.식품군 섭취량 49 Ⅳ.고찰 51 Ⅴ.요약 및 결론 54 참고문헌 59 부록 1.설문지 65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71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위험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isk Factors of Dietary Intake Affecting Cataract-
dc.creator.othernameLee, Jin Sook-
dc.format.pagex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