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20-
dc.description.abstractHumor has a number of positive functions. It creates a bright atmosphere, helps effectively deliver one's intention, relieves conflict and tension between interlocutors, and also heightens a learners' level of attention in a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humor research, which is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in learning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order. The current study defines humor as realizing the incongruity between two different schemata and selected humor texts according to its generated mechanism. The selected humor texts were first modified into 3 steps, 'introduction-incongruity-solution' and in addition, 11 contrast texts were developed without the 'solution' step of humor text. These texts were presented to 15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order and 15 children non-language learning disorder. The text aims to find out the following 3 things; (1) the difference in humor appreciation and humor re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ext type, (2) the correlation between humor text‘s understanding of incongruity, humor appreciation, and humor reaction in each group, (3)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incongruity, humor appreciation, and humor reaction under each of the two categories; semantics and pragmatics, (4) the difference in which part each group found humor appreciat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1) in two text types, children with NLLD showed higher scores in humor appreciation and humor reaction than children with LLD. The scores showed highe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humor texts than contrast text. (2) As for children with LLD, the score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humor appreciation and humor reaction. However, no cl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umor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congruity, or between humor reaction and understanding of incongruity. Scores of children with NLLD also did not reveal any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e humor texts. (3) Both groups showed higher scores in humor reaction and understanding of incongruity in the pragmatics category than that of semantics. (4) Within the humor text, children with NLLD found 'solution‘ step the most humorous and children with LDD found all three steps equally humorous. Similarly with the contrast text, children with NLLD found the last 'without-solution’ step the most interesting while children with LLD found all three steps equally interesting. The current study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of humor texts between the two groups.;유머는 대화에 유쾌한 분위기를 만들어주고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며 대인관계에서 갈등과 긴장을 해소시켜 주고 학업상황에서 주의집중을 증진시키는 등의 정서, 인지, 언어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고 긍정적인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아동들의 유머 이해 및 사용의 어려움을 보고한 연구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국내의 연구에서 학령기 학습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유머이해 및 사용에 관한 비교연구가 없으며 기존의 유머연구들이 구조화된 텍스트 양식으로 제시하지 않았던 것에 착안하여 언어학습장애아동의 학업 및 대인관계에서의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머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머를 두 가지의 상충되는 인지도식 간의 불합치를 인식하는 데서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유머의 생성기제에 따라 대화의 전제 부정과 대화의 원리위배로 분류한 연구를 토대로 유머텍스트를 선정하였다. 11개의 선정된 유머텍스트는 유머의 3단계인 ‘도입-불합치-해소’의 단계로 수정되었고, ‘도입-불합치-해소제거’의 11개 대조텍스트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 15명, 학년일치일반아동 15명에게 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1) 유머텍스트와 대조텍스트에서 두 집단의 유머지각 및 유머반응도 차이를 비교하고, (2) 유머텍스트의 불일치이해와 유머지각 및 유머반응도가 집단 내에서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으며, (3) 어휘 및 화용의 불일치에 따른 분류에서 유머지각, 유머반응도, 불일치이해에 두 집단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4) 유머텍스트와 대조텍스트 내에서 재미를 느낀 부분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 학년일치일반아동군이 언어학습장애아동군보다 두 개의 텍스트 종류에서 더 높은 유머지각 및 유머반응도를 보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대조텍스트보다 유머텍스트에서 더 많았다; (2) 언어학습장애아동들은 유머지각과 유머반응도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유머지각과 불일치이해, 유머반응도와 불일치이해 간은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학년일치일반아동들은 유머텍스트의 각 과제 간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3) 두 집단 모두 어휘분류보다 화용분류에서 더 높은 유머반응도와 불일치이해점수를 보였다; (4) 유머텍스트에서 학년일치일반아동군은 ‘해소’부분에서 가장 많이 재미를 느꼈고, 언어학습장애아동군은 ‘도입’, ‘불합치’, ‘해소’부분 모두에서 골고루 재미를 느꼈다. 대조텍스트에서 학년일치일반아동군은 ‘해소제거’부분에서 가장 많이 재미를 느꼈고, 언어학습장애아동군은 ‘도입’, ‘불합치’, ‘해소제거’ 부분 모두에서 골고루 재미를 느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학습장애의 유무에 따라 두 개의 인지도식이 불합치 되는 유머텍스트의 독특한 화용구조를 접하였을 때 유머지각과 유머반응도, 불일치이해, 재미를 느낀 부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3 C.용어 정리 4 Ⅱ.이론적 배경 7 A.언어학습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7 B.유머 8 1.유머의 정의 8 2.유머의 이론 8 3.유머와 인지발달 10 C.유머텍스트 12 1.유머텍스트의 정의 12 2.유머텍스트의 화용적 추론 구조 13 3.아동유머에서의 불합치와 해소의 역할 15 Ⅲ.연구 방법 18 A.연구 대상 18 B.검사 도구 20 C.연구 절차 27 D.자료분석 방법 28 E.자료의 통계적 처리 29 Ⅳ.연구 결과 30 A.유머텍스트와 대조텍스트의 유머판단 및 재미정도 30 B.유머텍스트의 유머판단, 재미정도, 불일치이해 간 상관 35 C.어휘와 화용 분류에 따른 유머판단, 재미정도, 불일치이해 40 D.유머텍스트와 대조텍스트의 재미를 느낀 부분 차이 48 Ⅴ.결론 및 논의 51 A.결론 및 논의 51 B.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 63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64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기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유머텍스트 이해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omprehension of Humor Text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order-
dc.creator.othernameCho, Ah Ra-
dc.format.pagev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