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이선미-
dc.creator이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98-
dc.description.abstract국가적인 지원과 인공와우이식술의 발달로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인공와우이식 후 말, 언어 발달 및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청각재활 연령도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인공와우사용 기간이 증가하면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같은 생활연령의 건청 아동과 어휘 등의 언어능력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고 언어능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수진&#8228;김리석&#8228;이규식, 1999; Young & Killen, 2002). 객관적인 언어발달 검사에서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은 학령기 전후에 사회적 능력의 발달과 관련된 이야기 사용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능력을 살펴보는 것은 객관적인 언어 검사로는 살펴보기 어려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상위언어능력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어서 중요하다. 그리고 학령 전 이야기 사용 능력은 학령기에 아동의 학업 성취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령 전 아동의 이야기 사용 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야기 사용 능력은 아동이 산출하는 문장의 결속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우리말의 경우 연결어미 사용이 풍부하다는 점에서(황미향, 1998) 연결어미가 포함된 접속표지 사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사용 능력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상현장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이 언어적, 사회적 측면에서 적절한 이야기 사용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자가 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적절한 평가와 중재를 할 수 있도록 아동이 산출하는 이야기의 연결적인 구성과 관련된 결속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이야기 제시 조건(청각 자극만 제시하는 조건과 청&#8228;시각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는 조건)에 따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이야기 사용 능력을 우리말의 특성을 고려한 접속표지 사용의 시도수와 정확률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야기 접속표지의 부적절한 사용 오류 유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고,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 이야기 발달에 중요한 변인들과 시도수, 정확률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이야기 접속표지 사용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생활연령, 성비를 일치시킨 3 ~ 5세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각 30명씩, 총 60명이었다. 모든 아동은 두 가지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라 두 가지 이야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두 집단이 생활연령, 이야기 제시조건에 따라 보이는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와 정확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3요인 혼합측정 분산분석(3-way mix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이야기 접속표지 오류 유형에 대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다양한 변인과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 정확률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단순적률상관계수(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은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라 접속표지 시도수에서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야기 접속표지 사용 정확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청 &#8228;시각 자극을 함께 제시한 조건(Auditory Visual condition)에서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가 빈번하였다. 집단 간 및 조건에 따른 시도수의 차이는 건청 아동 집단에서 더 컸다. 둘째, 두 집단은 생활연령과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라 접속표지 시도수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사후 검정 결과 생활연령에 의해 집단, 이야기 제시 조건, 생활연령이 상호작용을 보이면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경우 생활연령에 따라 시도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건청 아동의 경우 청&#8228;시각 자극을 함께 제시했을 때 3세와 4세 아동에서 일정한 증가 양상을 보이지 않으며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이야기 접속표지 사용에서 접속관계의 오류(대치, 미완성, 형태변형)는 인공와우이식 아동보다 건청 아동 집단에서 빈번하게 나타났고, 특히 대치오류가 가장 빈번하였다. 오류를 보인 접속관계를 살펴보면 건청 아동의 경우 인과, 계기 등의 특정 접속관계에서 오류를 보인 반면,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다양한 접속관계에서 접속표지 사용의 오류를 보였다. 넷째,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가 생활연령, 인공와우 사용 기간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즉,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경우 생활연령이 증가하고 인공와우를 많이 사용할수록 많은 이야기 접속표지 사용을 보였다.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와 정확률도 상관을 보이면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인공와우이식 연령은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 정확률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이야기 접속표지 전체 시도수에서 건청 아동 집단과 차이를 보였지만 이야기 접속표지 시도수가 제한되어 정확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생활연령에 따라 청각 자극만 제시한 조건과 청&#8228;시각을 함께 제시한 조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평가와 중재 시 청각 자극만 제시하는 조건이 아동의 듣기 및 언어, 이야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객관적인 언어 검사와 함께 이야기 사용 능력에 대한 질적 분석도 함께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narrative conjunction markers in a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NP condition)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Thirty cochlear implanted children(CI) (Mean of month = 4;4) and thirty CA-matched normal hearing children(NH) (Mean of month = 4;5)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such as frequency and accuracy of conjunctive markers in the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between two group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both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and chronological age. The number of error types which is incorrect narrative conjunction usage was also examined.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a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junctions usage and various factors such as chronological age, age of cochlear implantation, duration of cochlear implantation. Two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s were adopted from preceding studies. One was called auditory only(AO) condition, which presented listening and reproducing. The other was called auditory visual(AV) condition, which was composed of 8 sequence pictures. The subjects was required to listen and say the story. Two story retelling tasks were selected and modified. All narratives subjects produced were recorded in audio and video condition, and transcribe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usage of narrative conjunction markers across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were investigated by a 3-way mixed measures ANOVA(2 groups × 3 ages × 2 conditions). When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were observed, a Scheffé post hoc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of the mean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among chronological age, age of cochlear implantation, and duration of cochlear implantation to conjunction marker usage in each group.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to examine the number of three error types (substitution, incompletion, mod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CI children used significantly less conjunctive markers(F(1, 58)=16.21,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the usage of conjunctive markers(F(1, 58)=3.32, p > .05). Both group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auditory visual condition than auditory only condition (F(1, 58)=20.49, p < .001). With a post hoc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p < .05). The error type analysis showed that NH group produced more errors than CI group. NH group produced more ‘substitution error' than any other error types. In CI group, frequency of the usage of conjunctive mark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ronological age (p < .01) and duration of CI (p < .01). Also, total frequency and accuracy of the usage of conjunction mark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1). These results suggest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njunction markers usage of CI group and the duration of CI. Therefore when studying the usage of conjunction markers of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 it is needed to consider their hearing 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3 C.용어 정의 4 Ⅱ.이론적 배경 6 A.일반 아동의 이야기 발달 연구 6 B.청각장애아동,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발달 연구 8 C.인공와우이식과 관련된 변인 연구 9 D.이야기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12 Ⅲ.연구 방법 16 A.연구 대상 16 B.실험 과제 19 C.연구 절차 22 D.자료의 통계적 처리 27 E.신뢰도 27 Ⅳ.연구 결과 29 A.집단과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접속표지 사용 비교 29 B.집단과 생활연령,이야기 제시조건에 따른 접속표지 사용 비교 32 C.이야기 접속표지 사용의 오류 유형 분석 비교 38 D.이야기 접속표지와 인공와우이식 관련 변인 상관 비교 39 Ⅴ.결론 및 논의 42 A.집단과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접속표지 사용 비교 43 B.집단과 생활연령,이야기 제시조건에 따른 접속표지 사용 비교 45 C.이야기 접속표지 사용의 오류 유형 분석 비교 46 D.이야기 접속표지와 인공와우이식 관련 변인 상관관계 비교 47 E.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5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5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접속표지 사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junctive Marker Usage in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dc.creator.othernameLee, Seon Mi-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