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음성장애에 따른 모음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 간 GRBAS 측정치 비교

Title
음성장애에 따른 모음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 간 GRBAS 측정치 비교
Other Titles
GRBAS evaluation of sustained vowels and connected speech in people with vocal disorders
Authors
신유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한 사람이 일생동안 음성장애에 걸리는 비율은 약 30%정도로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후두에 심각한 상해를 입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진단과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아 음성문제가 그대로 방치되거나 만성 음성장애로 발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음성 의학이 점차 발달하고 음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음성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인식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성대결절, 성대폴립, 성대마비는 이러한 음성장애 중 빈번한 발병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각 질환에 따라 정상인 집단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음향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음성장애를 진단, 평가하는 방법은 기계적 도구를 사용한 객관적 방법, 청지각적 판단으로 평가하는 주관적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청지각적 평가 방법은 그 사용이 쉽고 대화 상대자로서 실제적인 환자의 음성을 직접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GRBAS 척도 평가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GRBAS 평가 시 사용하는 음성 샘플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이 부족하여 임상에서는 GRBAS를 사용하는 평가자나 기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음성의 샘플 유형과 음성장애 유형에 따라 GRBAS 측정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면 효과적인 GRBAS 평가를 위한 샘플 유형별, 음성장애별 측정치 특성이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이나 연구 현장에서 GRBAS 척도를 사용할 때, 평가 대상이 되는 음성의 유형, 음성장애 집단에 따라 GRBAS 측정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음성장애를 일으키는 주요 성대질환인 성대결절, 성대폴립, 성대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모음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의 음성 샘플을 들려주고 3명의 평가자에게 GRBAS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RBAS의 평가 시, 사용하는 음성 샘플 유형(모음연장 발성, 연속 발화)에 따라 GRBAS 측정치가 다르다. (2) 평가자들은 연속 발화를 듣고 GRBAS를 평가할 때, 모음연장 발성을 듣고 평가할 때보다 더 좋은 음성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3) GRBAS 평가의 G 척도는 음향학적 평가 결과인 Shimmer 값과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모음연장 발성일 때 더 높은 상관을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GRBAS 평가를 위해 환자의 어떠한 음성 샘플 유형을 사용해야하는지, GRBAS 측정치는 샘플 유형별, 음성장애 집단별로 어떠한 특성을 반영하는지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a) the differences between vocal sample types (sustained vowels and connected speech) for specific laryngeal conditions(vocal nodules, vocal polyps and vocal paralyses), (b) the differences of GRBAS scale between vocal sample types, (c) the relations between GRBAS scale and Shimmer value in vocal sample types. In this study, the total of 60 voice samples of 30 patients(10 vocal nodules, 10 vocal polyps, 10 vocal paralyses) were examined and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was used to analyze Shimmer value. Three listeners accessed two types of samples which were sorted randomly and rated GRBAS scale. Three-way ANOVA,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outcom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GRBAS scales varied in vocal sample types. Listeners tended to assess voices as better quality when they listened connected speech rather than sustained vowels. 2) G score of GRBAS and Shimm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show that when it comes to evaluating the severity of voice problem, 1) vocal specialists should concern about the sample types and 2) G score could be a simple and clear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