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김미주-
dc.creator김미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87-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이탈주민은 정착과정에서 가족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남한과 북한에서 가족에 대해 경험하는 차이가 많아 갈등을 겪기도 하고 결국에는 가정이 해체되는 사례도 나타난다. 북한이탈주민 면접을 통해 그들이 북한에서 경험했던 가족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면접 당사자의 기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그들이 경험했던 시기에 한정된 가족 모습만을 파악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북한의 가족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 파악하지 위해 북한 당국이 정권수립 단계에서부터 제시해 온 공식담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조선녀성』은 이러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북한의 공간문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녀성』에 나타나는 가족담론 내용 분석을 통해 첫째, 각 시기별 가족담론의 특징을 파악하고 둘째, 그 속에 나타나는 북한 특유의 가족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구할 수 있는 1956년부터 2008년 사이의 『조선녀성』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첫 번째 단계에서 목차 전수조사를 통해 제목에 가족과 가정이 포함되어 있는 기사를 분류하였다. 전체 409호의 『조선녀성』 발간호 중에서 위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기사는 총 207건이었다. 이렇게 분류한 자료를 살펴보니 20년 단위를 기준으로 각 시기마다 가족담론에 특징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료의 분석대상 기간을 1950~1960년대, 1970~1980년대, 1990~2000년대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단계에서 분류된 기사제목을 기준으로 북한의 특정 가족유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시대별 주요 사건들과 시기별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 원전자료를 참고하였다. 1950~1960년대 가족담론은 정권수립 이전 형성되었던 전통적 가족개념을 타파하는 것에 초첨을 맞추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여성의 사회진출을 장려하기 위해 이를 중심으로 가족담론이 형성되었다. 1970~1980년대 가족담론은 북한사회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든 시기로 1980년대를 기점으로 그 내용이 크게 변화하였다. 1970년대 가족담론은 가정혁명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1980년대에 들어서는 ‘사회정치생명체론’의 영향으로 가족의 전통적 역할수행을 다시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1990~2000년대 가족담론은 90년대 이후 시작된 경제난의 영향이 그대로 드러난다. 이 시기 북한의 가족담론은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가족의 역할을 강조하고, 당국이 제시한 ‘선군사상’에 적합한 가족 개념을 확립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녀성』에 나타난 북한의 특징적인 가족유형으로 ’대가정’과 ’혁명적 가정’을 들 수 있다.’대가정’과 ’혁명적 가정’유형은 각 시기별로 그 의미와 영역이 다르게 서술된다. 1950년대 ’대가정’은 혈연가족을 중심으로 조합과 인민반을 포함하는 개념이었는데 1970년대에는 ’사회주의 대가정’의 영향으로 김일성과 당을 어버이와 어머니로, 대중을 자녀로 하여 국가 전체를 하나의 가정으로 비유하는 개념의 확장 현상이 나타난다. 1990~2000년대의 ’대가정’은 선군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어머니 역할을 하던 당의 존재는 나타나지 않고, 대신 ’군대’가 새로운 가정의 영역으로 등장하였다. 한편 ’혁명적 가정’개념은 1970~1980년대에는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당과 수령의 명령을 관철하는 가족을 의미하지만 1990~2000년대는 선군사상을 바탕으로 군을 위해 희생하는 가족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시대별 북한의 가족담론 분석을 통해 사회의 변화가 북한의 가족담론에 영향을 미쳐왔다고 결론을 내린다. 『조선녀성』에는 시대별로 특징적인 가족담론이 등장한다. 1950~1960년대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위한 가정의 역할을 제시하는가 하면, 1970~1980년대에는 당과 수령을 위해 희생하는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고, 1990~2000년대는 각 가정이 군대를 위해 생활하자는 내용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사회적 화두가 가족담론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북한 당국의 요구에 비해 가족의 변화가 느리게 나타난다는 것과 북한이 사회문제를 정권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대신 가족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다.;There are many cases of difficulties caused by family problems while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are adopting their life in South Korea. The most common case is to suffer from conflict among family members resulted on the gap of experience towards family they had i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eventually can lead to the dissolution of families in the end. We have interviewed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to study about their specific experience on family while they were in North Korea. However, there is limitation on the interviews as the memories of the interviewees are not clear, and the figure of the families during the limited period can only be studied.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fficial discourse publish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 Author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stated above and to follow how concept of families have been created in North Korea. It is considered that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is the appropriate official document for this study of North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tent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and first, characterize the features of discourse on families of each periods, seco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amilies in it. The article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between 1956 and 2008 which the researcher could obtain wer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and the articles which contained “home” and “family” were categorized through completed survey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There were 207 articles out of 409 volume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which were categorized as above mentioned, and the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periods of every 20 years which specifies the family discourse, from 1950s to 1960s, 1970s to 1980s, and 1990s to 2000s. At the second stage, the analysis on the certain family type of North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bject of the articles which categorized at the first step. At the third stage, original North Korean resources will be referred to study the important events and follow the trends of each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family discourse on the 1950s and 1960s focuses on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family which was formula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 Authority. Above all, it is concentrated that family discourse on this period encouraged women’s participation on society. In 1970s and 1980s, it is thought that the North Korean society reached plateau and the family discourse has been incredibly changed in 1980s. In 1970s, the family discourse aimed "Family Revolutionization”, while traditional family function was emphasized due to the “Socio-politico Life Theory” in 1980s. In 1990s and 2000s, it is analyzed that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1990s had been affected on family discourse. It is said that family function to resolve the financial difficulties has been emphasized, and to build appropriate concept of the family followed by “Military oriented ideology” which North Korea Authority had sugges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family in North Korea described in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is “Daegajung (Extended Family)” and “Revolutionary family”. It is depicted that the features of “Daegajung(Extended Family)” and “Revolutionary family” describe different meanings and have different domains at each period. In 1950s, “Daegajung(Extended Family)” contains “Union” and “Inminban(Group of Local Community)” with family as center, while in 1970s, the concept had expanded due to “Socialistic Extended Family”, describing the whole nation as a family members such as “Kim Il-Sung” as a father, the party as a mother, and the crowd as children. In 1990s and 2000s, the concept of the party as a mother had disappeared affected by “Military oriented ideology” in “Daegajung(Extended Family)”, but the “army” had appeared instead as a new boundary of the new family. Meanwhile, the concept of the “Revolutionary family” had meant a family accomplishing the order from the party and the Marshal general based on“Juche(Self-reliance)” in 1970s ~ 1980s, while it has changed its meaning as a sacrificing family for the army based on “Military oriented ideology” in 1990s ~ 2000s. This research shows that social change has affected discourse on North Korean family through analysis of the family discourse analysis. It is appeared that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contains specified characteristics of family discourse of each period. In 1950s ~ 1960s, it suggested the function of the family for women to enter society while in 1970s ~ 1980s to enforce sacrifice of the family for the party and the Marshal general. In 1990s ~ 2000s, it constantly contains the contents that each family should work for the army. The reason why these changes have made is because the conversational topic of the society has affected the family discours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the family has been slowly appeared compared to the demand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tried to enforce the social function of the family to solve the social problem instead of searching governmental solu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 목적 1 B.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3 C.선행연구 검토 4 Ⅱ.북한 당국이 제시하는 가족 개념 7 A. 가족 개념의 규정 7 B. 가족 의 범위 8 Ⅲ.시대에 따른 북한의 가족담론 변화 11 A.1950~1960년대 12 1.시대별 공통 가족담론 15 가.가정경제 15 나.가족 구성원의 역할 19 다.행복한 가정의 조건 31 라.가정 영역의 확대 34 2.각 시대별 가족담론 36 가.결혼의 조건 36 나.가정부인의 사회 진출 39 다.가정교육 방식 41 B.1970~1980년대 43 1.시대별 공통 가족담론 46 가.가정경제 46 나.가족 구성원의 역할 47 다.가정혁명화 48 2.각 시대별 가족담론 50 가.모범가정 50 C.1990~2000년대 53 1.시대별 공통 가족담론 56 가.가정경제 56 나.행복한 가정의 조건 58 다.가정 영역의 확대 59 라.가정혁명화 61 2.각 시대별 가족담론 62 가.총대가정 62 나.영예군인 가정 66 Ⅳ.북한 가족 유형 분석 69 A.대가정 69 1.대가정의 의미 69 2.대가정의 영역 71 B.혁명적 가족 75 Ⅴ.결론 79 참고문헌 82 부록 1. 1950~1960년대 조선녀성 수록 해당 기사 목록 86 부록 2. 1970~1980년대 조선녀성 수록 해당 기사 목록 89 부록 3. 1990~2000년대 조선녀성 수록 해당 기사 목록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9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녀성』에 나타난 북한의 가족담론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