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離婚시 養育費에 대한 考察

Title
離婚시 養育費에 대한 考察
Authors
조인섭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종근
Abstract
양육비청구권은 부모 중 일방이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에,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양육친은 비양육친에게 자녀의 양육에 필요한 비용 중 일정 부분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양육비청구권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그 집행을 보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취지에 따라 우리나라도 2007년과 2009년 민법과 가사소송법 개정을 통해 양육비에 대한 이행확보를 위한 여러 가지 제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양육비청구권은 민법 제837조, 913조, 974조의 규정 중 그 근거규정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다. 생각건대,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양육친의 양육비청구권은 민법 제837조에서 직접 나온다고 본다. 미성년자녀에 대한 양육비부담의무는 부모 모두 지게 되므로 이러한 부모의 양육비지급채무는 연대채무이고 구상권이 있는데, 민법 제837조는 이러한 연대채무에 대한 사전구상권을 특별히 인정한 것이라고 본다. 한편, 미성년자녀가 직접 비양육친에게 청구할 수 있는 권리는 민법 제974조에서 근거한다고 본다. 양육비청구권은 신분권적인 성격과 재산권적인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양육비청구권이 포기가 가능한지의 문제와 상계가 가능한지 등의 문제가 생긴다. 양육비청구권을 민법 제837조에서 근거한다고 보면, 이혼 후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양육친의 양육비청구권은 상대방과 이혼으로 인해 친족관계가 소멸된 이후의 청구권이므로 친족권적인 성격이 없어서 포기가 가능하다고 봐야 하고, 미성년자녀가 가지는 청구권은 민법 제974조에서 근거하므로 친족관계가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청구권이므로 신분권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포기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양육비채권도 수동채권으로 상계하는 것은 금지되지만 자동채권으로 상계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양육비청구권의 내용과 범위가 확정된 경우에는 상계가 가능하다고 본다. 다만 이런 경우 이해상반행위의 문제가 생긴다. 장래의 양육비를 일시불로 받는 문제는 현재 실무는 양육비를 정기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양육비를 일시금으로 지급할 필요성도 있는데, 개정된 가사소송법에서는 담보제공명령제도와 양육비일시금지급제도를 두어 양육비에 대한 일시금 지급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과거의 양육비는 양육비분담요건이 발생한 경우 당연히 청구할 수 있는데, 과거 양육비는 협의나 심판 등으로 액수가 정해져 있다면 3년의 소멸시효에 걸리고, 그렇지 않다면 10년의 소멸시효에 걸린다고 본다. 그러나 양육비채권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채권이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시효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양육비 산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지만 외국의 경우 각종 기준을 법에 명문화하여 양육비 산정의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양육비 산정 기준을 법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서울가정법원의 경우 양육비 연구모임의 양육비산정기준표가 있고 이에 따라 양육비 산정기준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양육비 산정의 기준이 마련되면 양육비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에 대한 파악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직권탐지주의와 증거조사, 가사조사, 재산명시제도, 재산조회제도 등을 두고 있다. 한편, 이러한 양육비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특수하게 고려해야 할 문제들이 있는데, 기간별 양육비 산정이 가능한지 여부와 장애아 등 특수한 경우의 양육비 문제이다. 현행 실무상 양육비는 기간에 따른 구별 없이 일률적으로 정해지고 있으나 기간 별로 아이의 성장에 따라 양육비를 차등지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장애아의 경우 통상의 경우보다 많은 양육비가 산정되어야 하고, 성년이 된 이후의 경우에는 부양료로 지급하여야 한다. 이혼 전 양육비 확보방안과 관련해 외국에서는 아동부양기관(영국)이나 보좌제도(독일), 급여공제제도 및 민·형사상 이행확보제도(미국) 등의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양육비 이행확보 전에는 가압류와 사전처분, 가처분 등의 방법으로 미리 양육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미 산정된 양육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집행방법 이외에 별도의 방법이 필요한바, 현행 가사소송법은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제도와 담보제공제도, 양육비 일시금지급제도, 이행명령, 감치 등의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육비가 제대로 확보되지 못하는 법적인 공백이 있으며, 이러한 사각지대를 막기 위하여 양육비선급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When one parent gets to raise an under-aged child, the right to claim for child support is the right of such custodial parent to charge a non-custodial parent a certain amount of cost for raising the child. The enforcement of the claim is protected under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Republic of Korea followed the intent of the Convention and placed various schemes to enforce child suppor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ivil Code and the Family Litigation Act in 2007 and 2009.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with regard to where the ground regulation for the right to claim for child support lies among Articles 873, 913 and 974 of the Civil Code. It appears that the right of a custodial parent of an under-aged child to claim for child support is derived directly from Article 873 of the Civil Code. As the obligation to support an under-aged child applies to both parents, the obligation is a joint obligation and grants the right to indemnity. Article 837 of the Civil Code is deemed especially to acknowledge the right to advance indemnity with regard to this joint obligation. On the other hand, the right of an under-aged child to receive financial support directly from a non-custodial parent stems from Article 974 of the Civil Code. The right to claim for child support has both the characteristic of the right to a family and that of the right to property, and this aspect induces issues such as whether it is possible to give up the right to child support claim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claim a set-off, etc. If the right to child support claim is based on Article 873 of the Civil Code, such right of a custodial parent of an under-aged child after divorce is the right that comes after the kinship has ended due to the divorce with the counterpart. Therefore, the right has no characteristic of the right to a family and must be deemed possible to be renounced. The right of an under-aged child is based on Article 974 of the Civil Code, and thus it is the right with the existence of kinship. Therefor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ight to a family and must be deemed impossible to be renounced. The right to child support is also prohibited from being set-off as a passive claim, but it is deemed possible to be set-off as an automatic claim once the content and the scope of the right to claim is settled. Yet this case begets the problem of conflict of interests. There is the issue of receiving prospective expenses in a lump sum. While the current practice adopts the way to make periodical payments, there is a realistic need to make payments in a lump sum. The revised version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contains the collateral enforcement order scheme and the lump sum payment scheme, w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lump sum payments for child support. It is surely possible to claim for past child support in case where the requirement for the division of payment arises, and if the amount of past support expenses is settled by consultation or judgement, etc., they have a three-year sunset, and if not, they have a ten-year sunset. However, if the right to child support itself is not settled, the claim is not settled, and thus it must be that negative prescription is not in progress. The Republic of Korea is yet to have a specific standard for estimating the cost of child support, whereas other countries stipulate various standards in the law and arrange the standard for estimating the cost. Thus the Republic of Korea must also enact laws with regard to the standard for estimating the cost of child support. The Seoul Family Court has a chart of the standard for estimating the cost of child support made by the child support study group and uses the chart to arrange the standard and enforce it. Once this kind of standard for estimating the cost of child support is made, there is a need to figure out the paying parent's property or income that serves as a basis for estimating the cost. The Republic of Korea has the principle of authority, evidence investigation, household investigation, property statement scheme and property inquiry scheme, etc. Meanwhile, there ar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particularly when estimating the cost of child support. These are wheth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ost for various lengths of time and what to consider in special cases such as tho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current practice is to determine the cost of child support uniformly without distinction by period, there must be a measure that allows different rates of payment for different time periods in the growth of a child. In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greater cost of child support must be estimated compared to the case in general, and in case after they become adults, the support payment must be given to them. Foreign countries arrange various schemes to enforce child support prior to divorce, such as the Child Support Agency (England) or the assistance program (Germany), the payroll deduction scheme, and civil and criminal enforcement scheme (United States). The Republic of Korea allows one to enforce child support prior to the actual enforcement through provisional seizure, preliminary disposition, injunction, etc. There is a need for a special scheme other than the usual enforcement mechanism to effectively enforce child support that is already estimated, and thus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has provisions that stipulate the direct payment enforcement order, collateral enforcement order, lump sum payment scheme, enforcement order, detention, etc. However, there is a legal vacuum where child support is not property enforced despite these various schemes in place. To prevent this blind spot, the introduction of the advance payment scheme is more urgent than ev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