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윤미리-
dc.creator윤미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34-
dc.description.abstractFine art contains many composite elements of our life, and it has strong relation with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rough fine art, we can know an ideology or a sense of values of a period, and as education of fine art appreciation with historical and social coherence, students can realized the importance of art works and fine art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ass program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rt works with historical coherence by an integrated approach on the field of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The study was done by following steps. First,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ype of an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context and method of an art appreci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Base on this research, after analyzing art and Korean history class in middle school than make a class guide for an integrated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Seco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in S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Masan-si, Kyungsangnam-do. Each class was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genre paintings from late Jo-sun dynasty in 'Korean Arts' of the art appreciation field and Silhak from Korean history were used as the class materials. The trial classes consist of eight trials, and the trial time was 45 minute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by theory and method, which is coincided with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first trial examined concept of Korean genre paintings,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genre paintings from late Jo-sun dynasty and the meaning of art history through appreciation of Korean genre paintings. Second and Third trial educated about social upheaval and Silhak from late Jo-sun dynasty for understanding historical background of genre paintings from late Jo-sun dynasty as a Korean history class. Firth trial for making a historical newspaper educated concept, form and design of a newspaper. Fifth to seventh trial were making newspapers of the late Jo-sun dynasty using Korean genre paintings, and students presented, appreciated and evaluated the completed newspapers at the eighth trial. The control group was educated art and Korean history class separately as a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and the group made newspapers of the late Jo-sun dynasty using Korean genre paintings. Third,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verifi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the study was looking for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educated by 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and the control group educated by traditional wa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 works with historical and social coherence. The evaluation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ducated by relating genre paintings and Silhak from late Jo-sun dynasty, got bett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 works with historical and social coherence. The experimental group's newspapers contained the suitable data and context composition to the late Jo-sun dynasty period, so we could know the experimental group's ability of understanding to historical background and genre paintings from that perio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got bett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bout the newspaper articles.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creative article title and logical article based on a historical imaginat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got bett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bout the newspaper report, presentation, discussion and class attitude. 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mad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the fine art class and improved student's attitude in the class. Finall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have a point of difference with the type and design of the newspaper. 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does not related with representation ability. This study proved that 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could improve analysis, appreciation and criticism ability for fine art. 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be studied with various subjects.;미술은 인간 삶의 통합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맥락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미술을 통해서 우리는 그 시대가 추구한 이념과 가치관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에서 미술 감상 교육을 함으로 학생들은 사회 속에서 미술의 역할과 미술작품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 감상교육에서 국사과목과의 통합 지도를 통해 미술작품을 역사적·문화적 맥락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에 맞게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미술 감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사과와 통합한 미술감상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실험대상은 경상남도 마산시에 위치한 S여자중학교 2학년의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업 제재는 미술 감상 영역의 ‘우리나라 미술’에서 조선후기 풍속화와 국사과의 실학사상을 선정하였다. 수업은 총 8차시(각 45분)이며,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주제와 부합되는 이론과 방법으로 학습 하였다. 1차시는 풍속화를 감상하며 풍속화의 개념과 조선 후기 풍속화의 발생배경과 미술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2~3차시는 조선 후기 풍속화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국사 수업으로 조선 후기 사회 변동과 실학사상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4차시는 역사신문 제작을 위한 수업으로, 신문의 개념과 형식, 신문 디자인을 학습하였다. 5~7차시에 모둠별로 풍속화를 이용한 조선후기 신문을 제작하여, 8차시에 완성된 신문을 발표하며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였다. 통제집단은 미술 과와 국사 과가 분리된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풍속화를 이용한 조선후기 신문을 제작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가 결과물의 통계적 검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국사과와 통합한 미술 감상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미술작품을 역사적·사회적 맥락으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풍속화를 이용한 역사신문 제작에 있어서 자료 수집 및 내용 구성이 시대 상황에 적합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미술 작품을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하는 면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은 추체험적인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흥미를 끄는 기사 제목을 선정하였으며, 논리적으로 기사를 작성하여 통제집단에 비해 신문 기사 작성에 있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실험집단은 조선후기 풍속화와 실학사상을 연계하여 학습하였기 때문에 풍속화를 조선후기의 시대상황과 연결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실험집단은 신문제작 보고서 작성과 발표 및 토론, 그리고 수업태도에 있어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다. 이를 통해 국사과와 통합한 미술 감상 교육은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를 주어 수업 태도 개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신문의 형식과 신문 디자인에 관련된 표현 영역 평가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국사과와 통합한 미술 감상수업이 표현력 향상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미술 감상교육에서 국사과와의 통합지도가 미술 작품의 해석과 감상·비평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른 교과와 통합한 미술 감상수업에 대한 더 다양한 통합 지도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II. 통합교육과 미술 감상교육의 이해 4 A. 통합교육의 이해 4 1. 통합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4 2. 통합 교육의 유형 7 B.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의 이해 11 1. 미술 감상교육의 중요성 11 2. 미술 감상교육의 내용과 방법 13 III. 미술교과와 국사교과 간의 통합적 접근 19 A. 중학교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교육과정 19 1. 미술과 교육과정 19 2. 국사과 교육과정 26 B. 미술 교과와 국사 교과의 통합적 접근의 의의 31 IV.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 미술 감상 수업 실제 34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34 1. 연구대상 34 2. 연구절차 34 B. 연구도구 35 1. 수업도구 35 2. 평가도구 45 C. 자료처리 47 V. 연구결과 및 논의 48 A. 연구결과 48 1. 표현영역에 대한 집단별 차이 분석 48 2. 감상영역에 대한 집단별 차이 분석 49 3. 태도에 대한 집단별 차이 분석 50 B. 논의 51 VI. 결론 54 참고문헌 56 부록 59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08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2학년 미술 감상교육에서 국사과와의 통합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Plan for Second Grade of a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Yun, Mi Ri-
dc.format.pagevii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