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향숙-
dc.contributor.author박지원-
dc.creator박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37-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틀에 박힌 지식을 요구하기 보다는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회에서 미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중요성을 갖는다. 첫째, 미술교과는 지식을 전수하거나 정해진 답을 알려주는 교과가 아니라 창의적인 생각을 요구하는 교과이다. 둘째, 미술수업 시간에는 교사와 학생이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이다. 학생들이 각자 작품 활동을 하고 있을 때에나 작품을 감상할 때 교사는 학생들과 대화할 수 있다. 셋째, 미술수업 시간에는 교사와 학생이 정서적인 교감을 할 수 있다. 정해진 지식이나 수식을 가르치고 외우는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의 느낌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므로 교사와 학생은 감정을 교류하고 교감을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한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평가한 것으로 아동기부터 청소년기에 형성되며 이때 형성된 자아존중감은 비교적 지속적인 성격을 갖는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들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삶을 살아간다. 자아존중감이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삶의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에 높은 자아존중감을 형성시켜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나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인 아동기와 청소년기는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학교에서 많은 경험들을 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생활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기와 청소년시기에 교사는 학생들의 중요한 타인 중 하나이므로 교사의 반응이나 교사와의 소통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와 학생이 대화하고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는 미술교과와 자아존중감과의 연계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소통하는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인 연구를 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화중심의 동ㆍ서양 풍속화 감상>수업을 개발하였다. 놀이를 주제로 한 동ㆍ서양 풍속화를 교사와 학생이 대화를 중심으로 감상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놀이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목표 아래 수업을 계획하였다. 대화중심 감상과 표현과정에서 대화를 통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과의 소통이 중심이 되도록 수업을 계획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 중에서 초등학교 5학년을 선정하였고 감상 작품은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마포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5학년 56명을 선정하여 그 중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답과 통제집단은 사전 자아존중감 검사를 통해 동일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기간은 2010년 2월 2일부터 2월 10일까지 이다. 실험집단에는 총 7차시의 <대화중심의 동ㆍ서양 풍속화 감상>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총 4차시의 전통적인 감상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후 각각 두 집단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대화 내용을 녹음을 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측정은 최보가ㆍ전귀연(1993)의 자아존중감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작품 평가는 제7차 초등 미술교육과정과 개정 초등 미술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가 기준을 본 수업에 맞게 수정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 항목은 주제표현, 표현 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과정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화중심 미술감상 수업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전체적인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자아존중감 네 가지 하위 영역 모두 증가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M=3.84)의 경우 통제집단(M=3.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화중심 미술감상 수업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화중심의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어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학생들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그것을 수용하고 인정해줌으로써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의 미술교육에서 머무르지 않고 더 깊은 연구와 노력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로 하는 교육을 하는 미술교육이 되었으면 한다.;The society that we are living in demands ideas full of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rather than a conventional knowledge.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such society is as follows. First, the art curriculum demands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e ideas rather than receiving instructions or being informed fixed answers. Second, art class is a time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converse with each other. Teachers can approach and engage in a conversation at times when students are working on their projects or when they take time to appreciate works. Third, teachers and students can relate in an emotional way.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students sympathetically as they can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in the class and it is different with how students learn in knowledge-based and math/memorization-oriented classes. Self-esteem, a person's worth perceived by oneself, is formed in betwee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nce it's established, the personality stays relatively the same from then on. Those who have high self-esteem are positive people and lead an active life. Because the lifestyle is dependent on whether the sense of self-esteem is high or low,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develop a high sense of self-esteem in th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Since the sense of self-esteem is being formed especially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when learners spend a lot of time in school experiencing many things, one can say that the time at school has a hug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ir self-esteem. Not only this, but because teache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for students, the way the teachers respond and communicate with students will also have a huge influence on their sense of self-esteem. Therefore, the need to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art curriculum and the sense of self-esteem, whic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can converse, interact and share was addressed.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learner's sense of self-esteem can improve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that's oriented in convers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influence of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on students' self-esteem.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Appreciation of East and West genres oriented by conversation> class was developed based on theological researches. Genres of East and West about playing was appreciated by the learners conversing with the teachers. Based on this activity, lessons were planned with a goal that students will express their own playing by drawing. In the process of a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ourse, lesson plan was designed to focus on effectuating interaction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among students.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y are in a representative period in establishing the sense of self-esteem. Appreciation works were selected based on analysing elementary art textbook. 28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in control group from 56 5th 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Mapogu were put into test lessons. Two groups were confirmed as the same groups by a self-worth test beforeh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2nd of February to 10th of February 2010. <Appreciation of East and West genres oriented by conversation> less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seven times and a traditional appreci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for 4 times. Both groups' change in self-worth was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Conversa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ere recorded to use the analysis for the evaluation. For evaluating the sense of self-esteem, questionnaire by Choi Bo-ga and Chun Gui-yon in 1993 was used after some modification. Evaluation of student's work was done by modifying the assessment standard that issuggested by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and the revised elementary art curriculum. Evaluation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After proceeding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for data analysis,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2.0 package was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give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sense of self-esteem. First, overall sense of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after the test lesson. Second, all four sub-categories showed improvement in the sense of self-esteem after the test lesson. Third, after analysing the results, the sens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M=3.84)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M=3.32). Plus, each sub-catego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uch as regular sense of self-esteem, self-esteem in the family, self-esteem in the school, was also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is tells us that the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nse of self-esteem of the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learn that the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does give help in improving the sense of self-esteem. Therefore, there is a greater need for a deeper study on this method of education. It is wished that this learning method would be expanded among the students and to be researched for a long period. Research on art education also needs to continue so that students can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and teachers to accommodate and acknowledge them for their self-esteem to be improved. Art education should not compromise as it is but to keep study and strive to provide a right education that this society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 4 1. 대화중심 미술감상의 개념 및 유형 4 2. 아레나스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의 의의 6 3.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대화중심 미술감상의 필요성 7 B. 자아존중감 8 1. 자아존중감의 개념 8 2. 자아존중감의 중요성 10 3. 대화중심 미술감상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12 C. 제7차 개정 초등 미술교육과정 14 1. 제7차 개정 초등 미술교육과정의 특성 14 2. 제7차 개정 초등 미술교육과정 내용 체계 16 3. 제7차 개정 초등 미술교육과정 교육내용 20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및 절차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절차 24 B. 연구도구 25 1. 수업도구 25 2. 측정도구 60 C. 자료처리 및 방법 6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64 A. 자아존중감 검사 결과 분석 및 해석 64 1. 집단내 자아존중감의 사전ㆍ사후 결과분석 비교 64 2. 집단간 사후 자아존중감 차이 68 B. 프로그램 활동 관찰 결과 분석 및 해석 69 1. 차시별 관찰 내용 69 2. 관찰 결과 해석 89 C. 수업 결과물 분석 및 해석 90 D. 논의 92 Ⅴ. 결론 95 참고문헌 99 부록 103 ABSTRACT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908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s of conversation-oriented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on the sense of self-esteem of the learner-
dc.creator.othernamePark, Ji won-
dc.format.pagexi,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