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박미진-
dc.creator박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92-
dc.description.abstractAs an elderly population keeps expanding, a need for educational gerontology also rises. This research examines awareness of and demands for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by a middle generation, which is a group of potential elderly population. The objective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lan an effective and desirabl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middle generation. To this purpose, the research identified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what is the extent of the middle generation's experience of educational gerontology? Secondly, how does the middle generation perceive educational gerontology? Thirdly, what is the middle generation's demand for contents of educational gerontology? Next, what does the middle generation demand fo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Lastly, what does the analysis result suggest about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o explore these issues, the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As for the survey, 495 copies of a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Among them, 384 copies were restored, and 357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shows the analysis result. Firstly, only a few respondents had personal experience of educational gerontology, even though the survey was undertaken for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As for the venue of educational gerontology, a college-annexe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 was most common, followed by religious facilitie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Secondly,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keenly aware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due to rapid aging of the society and inter-generational discrepancy between elderly and younger generations. Many replied that an adult period is optimal for educational gerontology. Thirdly, regard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demanded health management, hobbies and elderly welfare. For contents of 'education about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expected to learn how to prepare for and adapt to aging, and understand elderly people. For 'education by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expected to engage in teaching their specialized areas, traditional value and voluntary work for the community. Next, the middle generation showed low level of awareness fo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despite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also few respondents had first-hand experiences of such education. However, many of them thought such education was necessary due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family problems and elderly issues. The most preferred type of education was an activity-oriented program led by an educational gerontology coordinator at a welfare institute or a college-annexe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 on a weekly or a monthly basis, for one to two hours at a tim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vides a social role to elderly people to have rewarding feeling, and helps younger generation to bond with elderly people. To the middle generation, the program provides benefit of learning wisdom of life, and on a social scale, the program helps to reduce prejudice and stereotypes against elderly people. Fifthly, a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middle generation's experience of educational gerontology affects their perception, participation in and demands fo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and the result was positive influence. In spite of that th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s highly demanded, it is shown that the middle generation's experience for participating on real education is very low. This result shows that middle generations are overlooked in terms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Moreover, the fact that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factor on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requirement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middle gener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suggests that educational gerontology in the target of middle generation should be activated above all. Therefore, overall efforts are required so that the middle generation could participate actively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perception for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인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노인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동안 노인들은 편견과 고정관념, 그리고 사회적 제약 등으로 그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표출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미래의 노인들은 교육수준과 생활수준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자신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사회적 역할에 있어서도 영향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잠재적 노인인구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길어진 노후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그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지원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즉, 현재 천편일률적인 교양이나 오락위주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에서 이제는 잠재적 노인의 질적인 교육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질적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이처럼 노인이 되었을 때의 교육인 '노인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문제들 중 세대 간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노인세대뿐만 아니라 다른 세대들에게도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에 의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인교육의 세 영역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여러 세대가 교육적 목적을 갖고 한 공동체 안에서 함께하는 활동인 세대공동체 교육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노인교육 관련 연구들은 노인교육을 '노인을 위한 교육'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잠재적 노인세대인 중간세대가 노인교육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향후 노인세대가 될 중간세대를 위한 노인교육의 건설적 체제 정립이 미흡한 실정이다. 세대공동체 교육 역시 1세대인 노인세대와 3세대인 자녀세대 간의 연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노인세대와 자녀세대 사이에 있는 2세대인 중간세대가 세대공동체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주축으로 하는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노인인구인 동시에 급증하는 노인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중간세대를 대상으로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중간세대에게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세대의 노인교육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중간세대는 노인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가? 셋째, 중간세대는 노인교육의 내용에 대해 어떤 요구를 갖고 있는가? 넷째, 중간세대는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해 어떤 요구를 갖고 있는가? 다섯째, 중간세대의 요구 분석을 통해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개념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이 논의된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중간세대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있어 중간세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세대를 대상으로 한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평생교육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자체 제작한 설문지 495부를 배부하였고, 384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35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간세대는 노인교육에 있어 낮은 참여 경험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지 않은 참여율을 보였다. 중간세대가 노인교육에 참여하였던 경험이 있는 장소로는 대학평생교육원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종교기관, 고등교육기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중간세대는 노인교육의 필요성을 대부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사회가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노인세대와 자녀세대의 세대 차이 등으로 인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노인교육 실시 시기는 성인기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간세대는 배우고 싶은 노인교육의 내용으로 '노인을 위한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에 의한 교육'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노인이 되었을 때 '노인을 위한 교육'으로 건강관리, 취미생활, 노인복지 등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노인에 관한 교육'은 노화에 대한 준비교육, 노화에의 적응교육, 노인을 이해하는 교육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에 의한 교육'은 전문성, 지역사회 봉사, 전통가치와 관련된 내용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중간세대는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식률을 나타냈으며, 세대공동체 교육에 참여한 경험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세대공동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세대 간의 문제와 가정의 문제, 노인 문제 등의 이유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세대공동체 교육은 월 1회 또는 주 1회에 1∼2시간 동안 복지관 또는 대학평생교육원에서 노인교육지도자가 여러 세대가 함께 하는 방법으로 활동 중심의 교육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대공동체 교육은 노인세대에게는 사회적 역할을 제공함으로써 인생의 보람을 갖게 하고, 자녀세대에게는 자녀세대가 노인세대와 친숙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중간세대에게는 노인의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고, 사회차원에서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중간세대는 노인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필요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교육을 경험한 응답자가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필요성에 대해 노인교육 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중간세대는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의 요구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있어 중간세대가 그 동안 간과되어왔음을 보여준다. 또한 중간세대의 노인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세대공동체 교육의 인식과 경험, 필요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은, 중간세대를 대상으로 세대공동체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교육이 우선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통해서 중간세대가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제반의 노력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A. 노인교육 6 1. 노인의 개념 6 2. 노인교육의 의의 13 3. 노인교육의 필요성 15 B. 세대공동체 교육 20 1. 세대공동체 교육의 의의 20 2. 세대공동체 교육의 필요성 22 3. 세대공동체 교육의 발전 24 C. 중간세대 28 1. 중간세대의 개념 28 2. 중간세대의 특성 30 D. 선행연구 34 1. 중간세대의 노인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34 2 중간세대의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37 Ⅲ. 연구방법 39 A.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9 B. 연구도구 41 C. 자료 분석 방법 43 Ⅳ. 연구결과 44 A. 노인교육의 참여 경험 44 B. 노인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48 C. 노인교육의 내용에 대한 요구 54 D.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61 E. 노인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세대공동체 교육의 경험 및 인식 차이 78 Ⅴ. 결론 및 제언 81 A. 요약 및 결론 81 B. 제언 85 참고문헌 88 부록 94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8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간세대의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평생교육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Middle Generation's Awareness of and Demands for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 Centered on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dc.creator.othernamePark, Mi Jin-
dc.format.page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