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치심과 죄책감이 서로 다른 정서로 우울과 같은 정신병리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자기용서가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충청 지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자의식적 정서 척도(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 한국판 상태 자기용서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 Self-Forgiveness Scale; SSFS-K),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와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종교와 나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수치심, 죄책감, 우울 간 유의한 성차를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수치심, 죄책감, 우울에 더 취약하며 그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더 많이 겪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상관 분석 결과 수치심은 남녀 모두에서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죄책감은 남성의 경우 우울과 상관이 없었고, 여성의 경우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상관의 정도는 매우 미미하였다. 이는 비록 여성이 수치심과 우울을 남성보다 더 느낄 수 있지만, 성별에 관계없이 수치심이 우울과 더욱 깊은 정서임을 알려준다. 자기용서와 상관관계도 죄책감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수치심은 남녀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고, 죄책감은 남성의 경우 상관이 없었고, 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상관의 정도는 매우 낮았다. 이는 수치심과 죄책감이 서로 다른 정서로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 등에 대해 수치심을 느낄수록 자기용서가 어려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용서가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 투입됐을 때, 수치심이 우울을 예측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자기용서를 통제한 후에도 수치심은 유의하게 우울을 예측하여 자기용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수치심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잘못과 관련하여 자기를 향해 부정적 감정, 생각, 행동을 가지는 경향이 더 높으며, 자기를 용서하고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우울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해 수치심과 죄책감이 서로 다른 정서로 자기용서와 우울에 다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용서가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잘못이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자기용서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잘못과 실수로 인해 수치심과 우울로 고통받는 내담자들이 자기용서를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 심리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what kinds of relations both shame and guilt as a different emotion have on psychopathologies like depression and examining whether self-forg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guilt and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elf-forg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573 men and women over 18 years old living in Seoul, its surrounding areas, and Chungcheong Provinc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 Self-Forgiveness Scale; SSFS-K,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were used for this research. For the collected data, technolog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7.0, and the mediating role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whi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showed tha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as a result of religion and age,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shame, guilt, and depression was observed, which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is implies that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shame, guilt, and depression than men and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psychological pains arising from their vulner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showed that shame ha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oth in men and women. For men, guilt had no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for women, while it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terms of statistics, it was very negligible. This vividly tells us that although women can feel more shame and depression than men, shame is a deeper emotion than depression irrespective of one’s sex. As the correlation with self-forgiveness showed a similar aspect as with guilt, shame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for men and women alike, guilt had no correlation for men and while it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in terms of statistics, its level was extremely low. This shows that shame and guilt as a different emotion c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bility.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as they felt shame for their errors or mistakes, they highly likely found it more difficulty to forgive themselves. Third, when self-forgiveness was pu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the level by which shame predicted depression fell meaningfully down. Even after controlling self-forgiveness, however, shame meaningfully predicted depression, showing that self-forg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lead us to believe that those who go through shame are more depressed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tend to have negative emotions, thoughts, and activities towards themselves in connection with their errors and fail to forgive and accept themselves. This research found that shame and guilt as a different emotion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self-forgiveness and depression. In addition, it could confirm that self-forg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effects shame caused by failures or mistakes has on depression is decided by self-forgive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if interviewees who are suffering from shame and depression coming from failures and mistakes are helped at counseling sessions in order to forgive themselves, it can alleviate their psychological p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수치심과 죄책감 6 B.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 11 1.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 11 2.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에서 성차 14 C. 자기용서 16 1. 용서 16 2. 자기용서 19 3. 수치심, 죄책감과 자기용서 22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측정 도구 26 1. 수치심과 죄책감 26 2. 자기용서 26 3. 우울 28 C. 연구 절차 28 D. 분석 방법 29 Ⅳ. 연구 결과 30 A. 기술통계 분석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 차이 30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30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 차이 분석 30 B. 연구문제 검증 결과 31 1. 수치심, 죄책감, 자기용서, 우울의 상관관계 30 2. 남녀에 따른 수치심, 죄책감, 자기용서, 우울의 상관관계 32 3.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33 Ⅴ. 결론 및 논의 38 A. 결과 요약 및 논의 38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2 참고문헌 45 부록 55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75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guilt,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forgiveness-
dc.creator.othernameKim, Ji Yeon-
dc.format.pageix,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