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권혜원-
dc.creator권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42-
dc.description.abstractHistorically, art cinema has maintained its boundaries as a genre through its 'distinctive'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which serve to separate it from popular films. This study focuses on cinema tha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general films through the use of the word 'art'. Previous research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s between social class and movie tastes; these studies deal with the concept of 'distinction' in terms of class. Many of these studies have found that the higher an audience's cultural capital is, the more likely that audience is to consume art cinema. This means that higher-class people consider art cinema to be the sort of high cul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class. Focusing on the cognitive dimension of symbolic boundaries argued by Lamont and Molnar(2002), this study relies primarily on an analysis of 489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distributed among five art cinema Internet communities and three popular film Internet communities in Korea. It sets out to address interesting questions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by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previous researches haven't examined how people place art cinema in the hierarchy of movies. They also haven't examined the conflicting categorizations that are involved in classifying art cinema as high culture; after all, why do audiences consider art cinema as high culture despite its categorical position as a 'movie,'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a popular form of culture? First, Internet community members differentiate between art cinema and popular film through their behavioral patterns. In other words, even though both genres belong in the identical category of 'movie,' the watching practices of their audiences differ from each other. While watching a popular movie in a theater alone is an extremely unusual practice for general moviegoers, watching art cinema alone is an accepted, standard practice among art cinema audiences. In addition, club members use different media to watch these different types of films. For instance, they spend more money on watching art cinema via expensive media than they do on watching popular film. This means that club members discriminate between these different types of films and put more value on watching art cinema, regardless of their taste in movies. Second, Internet community members create boundaries and distinctions between art cinema and popular film through cognitive dimensions. There are three evaluative dimensions by which club members distinguish between films: high art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impression-management value, which construct cognitive boundaries between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ilms. Specifically, art film club members distinguish between art cinema and popular film through the opposition of high art value verses entertainment value. This classifying mechanism is shared by popular film club members as well. They consistently scored art cinema highly in dimensions of high-art value and impression-management value, while giving popular film a low ranking with regard to these values. Third, a cultural hierarchy is at work when it comes to movies, a medium which in general has historically been regarded as 'middlebrow.' Respondents are more likely to evaluate art cinema as 'highbrow,' even though art cinema originally belonged to the movie category, which is regarded as popular culture. Even more, this status of art cinema as highbrow culture is authorized by both people who belong to art cinema clubs, and by people who do not belong to such groups. In contrast, the position of popular films in the cultural hierarchy is unstably constructed; art-film club members reject popular films' high rank, whereas popular film club members agree on their high rank in the movie field. That is, the status of popular film in the cultural hierarchy remains controversial, whereas the evaluation of art cinema as highbrow is completely authorized by both clubs. Fourth, based on art cinema's authorized status as highbrow culture, this study compares the cultural capital of art film club members with that of popular-film club members in order to investigate art cinema's role as 'distinct cultural capital'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art-film taste is used as hidden route to gain cultural capital in Korea, since there are only slight differences between club members of art cinema and popular film. In sum,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gnitive boundaries and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by which members of Internet film communities make distinctions between art cinema and popular film.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high' rank of art cinema' even though its status as 'movie' places it in the category of middlebrow culture. In that popular culture expands its influence on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of the cognitive boundaries which separate the inner parts of popular culture contributes to extending the breadth of cultural studies in Korea. Moreover, this study gains significance not only by putting focus on films, which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as a subject of cultural capital studies, but also by highlighting the art cinema tastes of groups and examining the highbrow position of art cinema in a cultural hierarchy that has been taken for granted.;예술영화는 일반적인 대중영화와는 '다른', '예술'적인 영화로 스스로를 구별하면서 경계를 형성해왔다. 본 연구는 이처럼 '예술'이라는 단어를 통해 일반적인 영화와 구별 지어져 온 예술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높은 계층일수록 예술영화를 소비하는 경향이 높았는데, 이는 높은 계층의 사람들이 예술영화를 자신들에 맞는 고급의 문화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영화 소비, 선호라는 완결된 행위차원에서 연구할 뿐, 사람들이 영화의 내부에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가르는 인지적 경계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대중적인 문화표현양식인 영화에 속한 예술영화를 정말 '고급'으로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몽과 모나르(Lamont and Molnar, 2002)의 상징적 경계 개념 중 인지적 차원의 상징적 경계에 주목하고,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가르는 인지적 경계의 존재를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화의 온라인 동호회에서 활동할 정도로 적극적인 영화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구분짓는데 활용하는 인식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술영화 온라인 동호회 회원과 대중영화 온라인 동호회 회원 총 4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당연시하고 넘어갔던 예술영화를 둘러싼 인지적 경계가 한국사회에서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았다. 첫째,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는 관람문화라는 드러나는 행위의 차원에서부터 구별지어 졌다. 우선 영화 동호회 회원들에게 대중영화관에서 대중영화를 혼자 관람하는 것은 예외적인 관람문화인 반면 예술영화를 혼자 관람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람문화로 공유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예술영화 동호회 회원들은 대중영화 동호회 회원들보다 영화관에서의 영화 관람빈도가 더 잦았으며, 매체 활용에 있어서도 예술영화에 대해 더 가치를 두고 소비하는 관람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예술영화와 대중영화의 구분은 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들의 인식적인 차원에서 보다 분명히 드러난다.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평가하는 기제로 순수예술적 가치, 오락적 가치, 인상관리적 가치의 세 가치가 존재하였으며, 예술영화 동호회 회원들은 예술영화의 순수예술적 가치와 인상관리적 가치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부여한 반면 대중영화의 두 가치 측면은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대중영화를 즐기는 대중영화 동호회도 두 영화를 동일하게 평가하고 구별짓는 인지적 경계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영화라는 장 내부에 이 세 측면의 가치를 기반으로 두 영화를 구별짓는 인식적 기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지적 경계가 내집단, 외집단의 구분에 관계없이 모든 영화 동호회 회원들에게 공유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영화 취향에 관계없이 영화 동호회 회원들은 예술영화에 대해 대부분 고급스럽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영화가 대중적인 문화 양식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영화의 고급 위치는 내외집단 모두에 의해 '공인'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중영화의 경우 대중영화 동호회 집단에서는 고급스럽다고 평가받았지만 예술영화 동호회 집단에서는 고급스럽지 않다고 구별지어짐으로써 불안정한 고급스러움 위치를 구성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고급'의 위치로 공인받은 예술영화 취향이 현대 한국사회에서 문화자본을 통한 구별짓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예술영화 동호회와 대중영화 동호회 회원들의 문화자본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술영화 온라인 동호회 활동으로 나타나는 예술영화 취향이 한국사회에서 문화자본의 숨겨진 경로로 활용되고 있다고 결론짓기에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두 동호회가 보유한 문화자본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들이 동일한 인식적 기제를 바탕으로 두 영화를 구별짓고 있다는 결과를 통해 대중문화의 내부에도 인지적 경계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넘어서 대중문화 그 자체를 상징적 경계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중문화가 핵심적 문화코드로 공유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문화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징적 경계와 문화소비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회의 문화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의 탐색적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자본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영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을 뿐 아니라 예술영화를 연구의 전면으로 끌어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획득한다. 그리고 예술영화에 대한 조명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당연하게 여기고 경험적으로 검증해보지 않았던 영화 내부의 인지적 경계를 살펴봄으로써, 영화를 고급예술의 위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영화 담론에서 강조해왔던 예술영화라는 장르가 한국에서 실제로 '고급'의 위치를 획득하고 있다는 점을 검증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II. 이론적 배경 4 A. 문화소비와 상징적 경계 논의 4 B. 문화자본과 영화 향유 6 C. 선행연구 검토 8 D. 예술영화의 장 11 1. 예술영화 개념을 둘러싼 인지적 경계 11 2. 한국 예술영화의 상황 13 3. 예술영화의 상징적 자원으로서의 위치 15 III.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7 A. 연구 개념의 설정: 구별짓기와 인지적 경계 17 B. 연구 문제 18 C. 연구 방법 22 D. 연구 대상 설정 24 E. 온라인 설문 대상자의 특성 28 IV.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관람문화의 차이 33 A.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관람문화의 전반적 차이 33 1. 영화관람 매체 활용 33 2. 영화관 관람 빈도 35 3. 영화관에서 영화 관람 시 동행인 여부 36 4. 영화에 대한 전반적 선호 37 B.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관람 문화의 동호회 간 차이 38 1. 영화관람 매체 활용의 동호회 비교 38 2. 영화관 관람 빈도의 동호회 비교 39 3. 영화관에서 영화 관람 시 동행인 여부의 동호회 비교 41 4. 영화에 대한 선호의 동호회 비교 43 V. 예술영화를 둘러싼 인지적 경계 45 A. 온라인 영화 동호회의 전반적 인식과 영화 평가 기제 45 B. 예술영화와 대중영화에 대한 구별짓기 인식 48 1. 예술영화와 대중영화의 가치에 대한 인지적 경계 48 가.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가르는 예술영화 동호회의 인지적 경계 49 나. 인지적 경계의 공인화: 대중영화 동호회의 인식적 기제 공유 50 2. 대중영화 동호회에 대한 간접적 배제: 예술영화에 대한 거리감 51 C.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관객에 대한 구별짓기 인식 54 1. 예술영화 관객에 대한 내집단과 외집단의 평가 54 가. 예술영화 동호회의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관객 구별짓기 인식 55 나. 대중영화 동호회의 관객 구별짓기 인식의 공유 56 2. 예술영화 관객 집단에 대한 외부평가 인식 57 VI. 영화 장 내부의 인지적 위계 60 A. 예술영화와 대중영화에 대한 위계적 평가: ‘고급’ 위치의 부여 60 1. 예술영화의 공인된 ‘고급’의 위치 61 2. 논란의 영역으로서의 대중영화의 ‘고급’의 위치 61 B. 영화 장 내부의 위계적 인식 구성 62 1. 예술영화와 대중영화 고급스러움 평가의 구성 62 가. 영화의 내부적 가치에 의해 구성되는 예술영화의 고급 위치 64 나. 영화 취향에 의해 구성되는 대중영화의 고급 위치 65 2.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가르는 인지적 경계: 예술영화 동호회의 구별짓기 66 VII. 온라인 영화 동호회 집단의 구성 68 A. 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의 경제자본과 계층인식 68 B. 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의 문화자본 70 1. 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과 부모의 최종학력 71 2. 정규교육 외 문화예술교육 수혜 기간 73 3. 가족의 배경적 문화자본 74 4. 부모의 예술영화 향유 76 C. 예술영화 온라인 동호회 활동의 불안정한 문화자본적 위치 78 VIII. 결론 및 한계 81 A. 결론 81 B. 연구의 한계 및 의의 84 참고문헌 87 부록 - 1. 영화 평가가치 요인분석 결과 91 부록 - 2. 가족 배경적 문화자본 동호회 비교 93 부록 - 3. 예술영화 동호회 설문지 94 부록 - 4. 대중영화 동호회 설문지 108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0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예술영화와 대중영화에 대한 인지적 경계 인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온라인 영화 동호회 회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ognitive Boundaries between Art Cinema and Popular Film in Korea-
dc.creator.othernameKwon, Hye Won-
dc.format.pageix,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