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재숙-
dc.contributor.author권주렴-
dc.creator권주렴-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74-
dc.description.abstract토리를 기준으로 한반도의 민요권을 나눌 때, 충청도는 명확하게 그 특징이 규정되지 않은 지역이다. 즉, 충청도의 토리로 정리된 음조직이 없는 것이다. 한편, 충청도는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한 지역으로 민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할 지역이다. 특히 충청남도는, 메나리토리가 주를 이루는 충청북도에 비해 다양한 음악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경기도, 황해, 전라북도와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충청남도 민요에 관한 치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 지역 민요에 관한 기존 연구가 많지 않고 그나마도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MBC 한국민요대전』에 실린 충청남도의 모심기 소리를 대상으로 그 음조직을 파악하고 충청남도 민요의 음악 분포 양상을 정리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남도 모심기 소리에서는 수심가토리를 제외한 모든 토리가 나타난다. 메나리토리, 경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가 혼합된 것, 미-라-도 구조로 된 것이 나타났는데 이 중 가장 많은 것은 메나리토리였다. 둘째, 충청남도 모심기 소리의 음조직은 인접 지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들이 있었으나, 지리적 경계에 의해 토리의 분포 양상을 명확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인접한 지역과 무관한 토리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같은 지역에 속하는 곡이지만 다른 토리로 된 것들도 있었다. 동일한 유형의 가사를 가졌으면서 다른 토리로 된 곡들도 있었는데 이 역시 각각의 토리들이 지역 위치와 무관하게 나타난 경우들이 있었다. 또한, 한 곡에 두 개의 음조직이 사용되거나 두 개의 토리가 혼합된 곡들의 경우에도 두 토리가 해당하는 지역이 각 음원이 채록된 지역과 거리가 먼 경우가 나타났다. 셋째, 충청남도 전역과 주변 지역에서 다수를 이루는 특정한 음조직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충청남도의 민요 토리라고 볼 수 있는 특정한 음조직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모심기 소리를 통해 살펴본 충청남도 민요의 음조직에는 메나리토리, 경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가 혼합된 것, 미-라-도 구조가 있으며 메나리토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어떤 지역의 음조직은 인접 지역의 토리와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전반적으로는 여러 종류의 음조직이 여러 지역에 점점이 박혀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었으며, 특정한 어떤 음조직을 충청남도 토리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즉, 충청남도는 토리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음조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지역이라 하겠다.;When we divide the Korean Peninsula into several parts in terms of folk songs, Chungcheong province is a region of which character is not clearly defined. There is no specific Tori in Chungcheong province. Still there are reasons why we should take a thorough look on this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Korea as we study folk songs. Comparing with the north Chungcheong province where Menaritory is prominent, south Chungcheong province has lot traits and these diversity should be arranged. Also, proximity of Gyeonggi province, the yellow sea, and north Jeolla province can raise some exceptional features which require more delicate study on it. There are not many study on Chungcheong province, however, and even the field had been studied comes with limitations. Accordingly, in this study, I ordered the distribution condition of music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by understanding the mode in rice-planting songs of the province which were reported in 『MBC KoreaFolksongCorp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rice-planting songs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all Toris such as Menaritori, Gyeongtori, Yukjabeagitori, mixed Menaritori and Yukjabeagitori, and Mi-Ra-Do structure appears, but only except Susimgatori appears. Secondly, even though there were some cases that could not ignore the influence of adjacent regons, it was impossible to divide the distribution condition of Tori by regional boundaries. For example, Toris which are not related with the nearby regions appear, and songs from same province with different Toris can be observed. Some songs have same form of lyric but have different Toris and the Toris also have no relation with the nearby region. Also in some cases, a song has two Toris or a song has mixed two Toris show distance from where those songs are recorded to where two Toris are belonged. Thirdly, a Tori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and prominent among whole south Chungcheong area and neighboring regions did not appear. In other words, there is no special mode that considered as Tori for south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studying rice-planting songs, south Chungcheong province contains Menaritori, Gyeongtori, Yukjabeagitori, a mixed one that Menaritori with Yukjabeagitori, and a formed one that has Mi-Ra-Do, and Menaritori is the most prominent tori. Some toris did seem to be influenced by adjacent areas but mostly various mode sporadically appeared among the province and there was no specific mode which can be classified as south Chungcheong's tori. In other words, in south Chungcheong, there is no specific tori but ‘various mode’ exis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기존연구 검토 = 2 1. 연구 현황 = 2 2. 연구내용 및 한계 = 3 C.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6 1. 연구범위 = 6 2. 연구방법 = 7 Ⅱ. 충청남도 모심기 소리 음악 분석 = 8 A. 모심기 소리의 유형 분류 = 8 1. 상사소리 계통 = 9 2. 경상도 모심기 소리 계통 = 11 3. 하나소리 계통 = 11 4. 방아타령 계통 = 12 5. 기타 = 12 B. 충청남도 모심기소리 채록 현황 = 12 C. 충청남도 모심기 소리 음조직 분석 = 15 1. 악곡 분석 = 15 2. 각 토리의 지역 분포 양상 = 48 Ⅲ.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7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충청남도 민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모심기 소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lk song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 focusing on rice-planting song-
dc.creator.othernameKwon, Joo-Ryum-
dc.format.pageⅹ,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