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종선-
dc.contributor.author장지연-
dc.creator장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15-
dc.description.abstractMozart has left great achievements in concerto than any other classic composers. When he first encountered with clarinet was when he was on a recital tour in Holland, England, and France. At that time, Mannheim orchestra or London orchestra already had included clarinet in its composition organization, Mozart could encounter clarinet then. He learned the structure and the technique of clarinet from a clarinet player Anton Stadler after their meeting in Vienna in 1791. Through Anton Stadler, Mozart composed clarinet concerto KV.622. The Mozart Clarinet Concerto KV.622 is the last only clarinet concerto opus that Mozart ever composed. Unlike other pieces that are monotonous and easy to play, many players feel difficult in playing Mozart Clarinet Concerto KV.6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larinet Concerto KV.622 with Structure, Form, Modulation and Harmony. In this study, to help the comprehension of clarinet, it researched the history of clarinet concerto by separating each period, and examined the History of Concerto. This study analysed the Structure, Form, Modulation and Harmony of the three chapter of Mozart Clarinet Concerto KV.622. The introduction progresses at A major without any change in tonality. At the exposition and the development, modulations appear such as E major and D major, f#, a, e, c#, b minor. At the transition, it uses the harmony progression of Ⅰand Ⅴ. Moreover, through the technical analysis, this study researched the opus’s pertinent artic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ers. Possibly the best-known part of this concerto, the beautiful and profound Adagio in ternary form (or ABA) opens with the soloist playing the movement's primary theme. The descending notes of the answering theme are more elegiac, and are, like the first, repeated by the orchestra. The first theme and its answer recur (the return of the A section), leading into a coda. The closing rondo has a cheerful refrain, with episodes either echoing this mood or recalling the darker colors of the first movement.;Mozart Clarinet Concerto KV.622는 모차르트(W.A. Mozart)의 유일한 클라리넷 협주곡일 뿐 아니라 그가 남긴 협주곡 중 마지막 작품이다. 1777-1778년 모차르트가 만하임을 방문했을 때 클라리넷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지만 클라리넷을 직접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러던 중 그의 말년이 되어서야 클라리넷은 빈과 독일어권의 남부 도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악기가 되었고, 클라리넷은 오케스트라의 구성 악기로 점차 그 역할이 중요시 되었다. 모차르트는 당대 널리 쓰이고 있지 않았던 클라리넷을 위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작품을 통해 클라리넷은 음악적 가능성을 인정 받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뛰어난 클라리넷 연주자인 안톤 슈타틀러(Anton Stadler)와의 교류를 통한 영향이 있었다. 모차르트의 클라리넷을 작품들 중에 1786년 슈타틀러를 위해 작곡한 케겔슈타트 트리오(Kegelstatt Trio KV.489)작품을 통해 클라리넷은 독주악기로 주목 받기 시작한다. 그 이후로 협주곡 KV.622를 작곡하게 되었으며, 이 곡은 단조롭고 연주가 용이해 보이는 악보와는 달리 연주 시 많은 연주자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작품의 분석은 형식의 틀 안에서 구조적인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형식, 선율, 리듬, 화성, 음색, 짜임새 등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며, 클라리넷이 독주악기로서 부각된 다양한 요소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클라리넷과 협주곡의 이해 = 2 A. 작곡가 모차르트(W.A. Mozart)와 클라리넷 = 2 B. 협주곡을 위한 작품 = 4 C. 협주곡(Concerto) 이란 = 5 Ⅲ. Clarinet Concerto KV.622의 형식 및 구조 = 8 A. 제 1악장의 형식 및 구조에 대한 설명 = 11 B. 제 1악장의 화성 및 조성 = 31 C. 제 2악장의 형식 및 구조에 대한 설명 = 44 D. 제 2악장의 화성 및 조성 = 50 E. 제 3악장의 형식 및 구조에 대한 설명 = 54 F. 제 3악장의 화성 및 조성 = 60 Ⅳ. 결론 = 64 참고문헌 = 66 ABST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241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W.A. Mozart Clarinet Concerto KV. 622에 관한 분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larinet Concerto K.V. 622 by W.A. Mozart-
dc.creator.othernameJang, Ji Yeon-
dc.format.pageⅳ,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