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숙-
dc.contributor.author차은주-
dc.creator차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52-
dc.description.abstract치열한 입시경쟁 속에서 학교에서 중도 이탈,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사회 이슈가 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학교적응’은 매우 절박하고 중요한 의미를 띄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경쟁과 진학의 압박에 시달리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한 심리적 변인으로서, 개인의 일반적 적응 능력의 정도를 의미하는 자아탄력성과 학업실패라는 지엽적 상황에 대한 적응 및 대처능력이라는 면에서의 실패내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즉,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개인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수준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그 각각의 하위요인들은 학교생활적응을 어느 정도로 예측하는가, 그리고 과연 학업적 실패내성이 자아탄력성의 학교생활적응을 매개하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기와 서울의 6개 인문계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6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측정도구는 Block 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 ER)를 바탕으로 이해리와 조한익(2005)이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한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 , 김아영(2002)이 개발한 표준화 ‘학업동기 척도’에 포함되어 있는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 이숙주(2000)와 조영미(1999)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근거로 김아영(2002)이 『학업동기 표준화 연구』에서 제작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성별에 따른 수준을 살펴보면,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부분의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자아탄력성은 전체 점수및 모든 하위 변인들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업적 실패내성의 경우, 하위요인 중 감정과 행동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전체척도와 과제수준 선호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하위 요인 중 전체 및 학교수업을 제외한 모든 하위 척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좀더 자아탄력적인 성향을 보이며 학교생활면에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준수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적응을 잘하는 반면, 학업에 있어서는 어려운 과제에 임하거나 실패경험에 노출되었을 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좀 더 적극적이고 건설적으로 반응하는 편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둘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부모의 학력, 주관적 경제수준,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 경제수준은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과는 상관이 낮게 나타난 반면,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상호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학교적응과 자아탄력성은 높은 상관정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자아탄력적인 아동들이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으며, 학교생활적응도 잘하는 것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셋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외적보호, 학업적 실패내성의 행동, 자아탄력성의 개인내적 특질 순서로 학교생활적응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학업적 실패내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한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높은 상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요인들의 학교생활적응 예측정도, 학업적 실패내성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부분적 매개효과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일선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학교 적응에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지도할 때 자아탄력성 및 학업실패내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아탄력성, 학교적응력, 학업실패내성 점수의 유의미한 남녀 차이는 각각의 측면을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상담에 있어서도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적 접근과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실패내성 궁극적으로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가정적 배경변인에 대해서는 단순히 부모의 학벌이나 경제수준 등을 넘어서 좀더 심도 있고 다양한 접근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위 두 변인과 학교적응 등의 상호 낮은 상관관계를 통해 분명히 알 수 있다. 학교와 가정의 공조체제하에 학생의 학교적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적 배경변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실패내성을 신장시키는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실행이나 그를 위한 개별적이고 맞춤적인 상담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what correlations exist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s’ resilience , the level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gender and to what extent each subordinate factor can predict school adjustment, and whether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mediates between the school adjustment and ego- resilience. To that end, 635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year class of 6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Seoul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s the measuring tool, this research used the Korean youth resilience scale that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Lee Hae-lee and Joh han-ik (2005) based on the Ego-Resiliency Scale (ER)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60), and the School Adaptation Scale prepared by Kim Ah-yeong (2002) in her "A Research on the Standardization of Academic Motivation based on school adaptation scales prepared by Lee Sook-ju (2000) and Joh Yeong-mi (1999).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were, on the whol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the scale except the preferred task level of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ubjects’ responses to the school life adaptation, 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are, on the whole, positiv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level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in all the areas of 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other words, in the resilienc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scores and all the subordinate variables than the male students. I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otion and behavioral factor of the subordinate factors, but in the entire scale and the preferred task level, the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In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in all the subordinate scales except the entire school class work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students, on the whole, have more resilient propensity than the male students, and that th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such as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compliance with school regulations better than the male students. In their studies, the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and constructively than the female students when they were faced with difficult tasks or exposed to failure experience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s among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academic background, subjective economic level, 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at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s and economic level had low correlations with the students’ 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particularly, school adaptation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high degree of correlations. This shows that the resilient students were high i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were good at school adjustment also.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predict the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at the school life adaptation can be predicted best by the external protection of resilience, followed by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personal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at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as shown in th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resilience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degree of predicting the school life adaptation by the subordinate factors of 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silience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nd disseminatethe programs that can expand the resilience and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en guiding the students who are having hard time adapting themselves to school life in high school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resilience, the school life adaptation, and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suggests that education approach and strategy that are differentiated by gender in developing the programs and providing counseling to expand each aspect are needed. Third, it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low correlations between the above-mentioned variablesand school adaptation that more in-depth and diverse approaches and researches are needed beyond mere parents’academic backgrounds and economic levels,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resilience,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ultimately the school adaptation. Under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of schools and homes, the students can adapt themselves well to school life, so accurately grasping the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tudents’ 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is urgently need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s that can expand the students’ 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school field and for establishing individual and custom-made counseling strategies to attain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5 Ⅱ.이론적 배경 6 A.자아탄력성 6 1.자아탄력성의 개념 6 2.자아탄력성의 구성요인 9 3.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10 B.학업적 실패내성 11 1.학업적 실패내성의 개념 11 2.학업적 실패내성의 구성요인 13 3.학업실패내성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14 C.학교생활적응 16 1.학교생활적응의 개념 16 2.학교생활적응의 구성요인 18 3.학교생활적응과 학업실패내성과의 관계 19 Ⅲ. 연구 방법 22 A.연구대상 22 B.연구절차 23 C.측정도구 23 D.분석방법 26 Ⅳ.연구 결과 및 해석 27 A.기술통계 및 성별차이 27 B.배경변인 및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29 C.연구변인의 하위요인 간의 예측정도 30 D.학업실패내성의 자아탄성력과 학교생활적응간의 매개효과 검증 31 Ⅴ.논의 및 결론 35 A.요약 및 논의 35 B.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 설문지 50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4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cademic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Cha, Un Ju-
dc.format.pagex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