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손은형-
dc.creator손은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4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조선후기 궁중검무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는, 조선시대 검무의 전체적인 흐름을 연구하였다면, 본 연구는 조선후기 검무가 가장 많이 변화한 시기를 크게 교방청과 권번 설립의 시기로 나누어 그 시대적 변화에 따라 궁중검무가 지방검무로 변화하고 전승하게 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였다. 조선후기 궁중검무(宮中劍舞)는 삼국시대 황창랑 설화가 전해져 1700년대부터 점차 발전하여, 1900년대에 이르러 지금 형태의 체계화된 지방검무로 그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검무는 고대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이르는 정재 중 가장 오래된 역사와 변천과정을 지닌 정재로서, 전통성과 민족 성향을 반영하고 각 지방의 역사를 표현하는 검무로 그 정서가 잘 나타나 있다. 궁중검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검무가 가장 많이 변화된 교방청 (敎坊廳)설립, 권번 설립 후의 시대적 변화와 검무의 역사적 유래를 찾아 그 전승 방향을 고찰하였다. 즉, 1800년대 교방청 설립 시기는 관기제도(官妓制度)와 기녀 선상제도의 영향으로 궁중과 교방의 교류가 있었고, 검무의 궁중연향에 참가한 기녀들을 통해 전승이 시작된 시발점이다. 그 시기 진주, 통영, 평양의 각 교방청은 황창랑 설화를 시작으로 각 지방의 제사 의식으로 칼춤을 연행하였지만, 검무의 체계화된 구성형태는 아직 없었다. 시대가 흘러 1900년대 권번이 설립되자 관기제도가 폐지되어 궁중의 기녀들이 권번으로 들어가 궁중검무를 본격적으로 전승하고 교육받기 시작한다.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민간으로 널리 전승된 궁중검무를 바탕으로 진주검무, 통영검무, 평양검무가 탄생되었다. 그 후, 세 검무는 각 지방의 민족 성향과 궁중검무의 체계적인 구성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나타난 조선후기의 시대적 변화와 궁중검무의 변천과정은 서로 상호적인 영향을 이루며 전통성과 민족 성향을 겸비한 춤으로 이어졌고, 교육적이며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전승으로 이어졌다. 본 논문은 조선후기의 시대적 변화가 궁중검무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방청과 권번 설립에 의한 진주, 통영, 평양검무의 유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변천과정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역사 속에 존재하는 전승자와 전승 방향을 밝힘으로서 우리의 전통을 강화하고 보존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00년대 교방청 설립은 궁중검무가 지방으로 넓게 파생되어 전승되어진 시발점의 시기이며 둘째, 1900년대 권번 설립은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특색 있는 지방검무로 발전하게 된 시기이다. 이상과 같이 궁중검무의 기원부터 현 시대까지 살펴보면, 시대적 변화는 궁중검무가 변화하게 된 중요한 이유로 작용했으며 교방청과 권번 설립의 시기를 통해 지방검무가 창작될 수 있었던 큰 계기를 낳기도 하였다. 소중한 문화유산이 전승되고 보존되는 것은 시대적 변화를 알고 상호교류를 통해 충실히 이해했을 때 가능하다. 이처럼 시대적 변화 속에서 소멸되고 사라질 수 있는 우리의 전통을 다시 연구하고, 전승자와 무용수의 노력을 통해 후대에 전승하고 보존해야하는 일이 중요한 역할임을 제시한다.;While existing studies on transition process of court sword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overall flow of sword dance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 process of court sword dance into regional sword dance by periodic changes and its transmission process by dividing the period when swording danc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nt through the biggest change into two periods that Kyobangcheong and Kwanbun were found. Court sword danc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from 1700's since Hwangchangrang ta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handed down and by 1900's, it has been preserved in a form of regional sword dance systematized. As a court dance with the oldest history and transition process among lots of court dances handed down to this day, sword dance reflects traditionality and the national tendency and shows the national emotions well by expressing histories of each region. In this study, transmission process of sword dance was examined by investigating periodic changes after Kyobangcheong and Kwanbun, when sword dance changed most highly, are established and its historical origin in order to understand transition process of court sword dance. In other words, in the period when Kyobangcheong was found in 1800's, court and Kyobang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due to Gwanki System of dancer selection system (Seonsang System) and it was a starting point that sword dance began to be handed down by Gisaeng, who participated in court congratulatory events. At that period, each Kyobangcheong located in Jin-ju, Tong-y대ng and Pyung-yang performed sword dances as ancestral rituals of each region, but there was yet no systematized form of sword dance. After that, in 1900's that Kwanban was found, Gwanki System was abolished and Gisaengs of court started to succeed to and learn court sword dance in earnest in Kwanbun. Based on court sword dance handed down widely among people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Jin-ju sword dance, Tong-yeong sword dance and Pyung-yang sword dance were created. Beginning in that period, the three sword dances were developed in more systematized forms reflecting the national tendencies of each region. Period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ransition process of court sword dance led to development of dances with traditionality and the national tendenc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d they were handed down educationally,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has purposes to examin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Jin-ju, Tong-yeong, Pyung-yang sword dances by foundation of Kyobangcheong and Kwanbun and investigate these changes and close relation with each regional sword dance in order to identify effects of period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court sword dance. Also, this study will help to strengthen and preserve our tradition by investigating historical initiates and transmission dir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period when Kyobangcheong was found in 1800's, was a starting point of transmission of court sword dance and second, since Kwanbun was established in 1900's, it developed into regional sword dances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As described above, such periodic changes show why court sword dance changed and establishment of Kyobangcheong and Kwanbun had highly effects on creation of regional sword dances. When we faithfully understand periodic changes, we can hand down and preserve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studies on our tradition that can be ran out or disappeared by periodic changes are important and initiates and dancers must try to hand down them to the next generation and preserve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배경 = 6 A. 조선후기 사회적·정치적 배경 = 6 B. 궁중검무의 기원 = 13 C. 1700년대 이후 궁중검무의 역사 = 16 Ⅲ. 조선후기 궁중검무의 시기별 형성과정 = 21 A. 1800년대 교방청 설립 시기 = 21 1. 궁중무용의 역사적 배경 = 23 2. 궁중검무의 변화와 특징 = 25 a. 진주검무 = 26 b. 통영검무 = 31 c. 평양검무 = 34 B. 1900년대 권번 설립 시기 = 39 1. 궁중무용의 역사적 배경 = 40 2. 궁중검무의 변화와 특징 = 44 a. 진주검무 = 45 b. 통영검무 = 49 c. 평양검무 = 53 Ⅳ. 조선후기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궁중검무의 양상 = 60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69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02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후기의 시대적 변화가 궁중검무에 미친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urt sword da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Focusing on the Effects of the Chronological Changes-
dc.creator.othernameSon, Eun-Hyung-
dc.format.pageⅴ,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