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김보혜-
dc.creator김보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3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 men. The sample consisted of 196 adult men aged 20 or over.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s and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measures to assess the level of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pertinent to osteoporo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hrough November, 2009,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test and chi-square test with SPSS 17.0.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wenty-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a bone marrow density test and 5.1%.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67.3%) were aware of osteoporosis, but only 3.6% received education about osteoporosi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current drinkers(90.3%) and smokers(50.5%). Thirty-thre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exercised regularly. Eighty-seven percent of the participants took caffeinated beverage 9.7 times per week while taking foods that contains calcium 2-3 times per week on average. Participants were well-informed of the importance of foods that contains calcium and regular exercise but lack the knowledge with respect to recommended intakes of calcium, calcium-rich foods, and effective exercise metho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osteoporosi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osteoporosi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ge(χ²=14.531, p=.002), occupation(χ²=9.747, p=.036), and income(χ²=8.241, p=.01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aving a bone marrow density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age(χ²=17.953, p<.001)and occupation(χ²=14.830, p<.001). Educational attain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eiving education about osteoporosis(χ²=6.983, p=.043). It is suggested that Korean adult men participants had low levels of osteoporosis knowledge, particularly about preventive behaviors on osteoporosis in this study. To promote bone health in this population,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osteoporosis that are tailore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 of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related to osteoporosis are warranted.;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골다공증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이들의 골다공증관련 특성과 지식, 건강행위의 정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골다공증 예방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5개 회사, 서울시 소재 1개 취미 활동 동호회에서 근무 및 활동하는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성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10월부터 11월까지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 골다공증관련 특성, 골다공증 지식 및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22.4%가 골밀도 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있었으며,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대상자는 5.1%이었다. 대상자 중 골다공증 정보를 접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67.3%이었으며, 이 중 86.4%가 TV, 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3.6%에 불과하였으며,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4.8%이었다. 대상자의 90.3%가 현재 월 평균 7회, 1회 평균 8잔 정도의 음주를 하고 있었다. 현재 흡연자는 50.5%로 평균 흡연기간은 16년, 1회 평균 흡연양은 16.6개피이었다. 반면, 주 3회 이상, 1회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하는 대상자는 33.2%에 불과하여 음주 및 흡연율에 비해 운동 시행률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87.2%가 카페인 함유 음료를 주당 평균 9.7회, 1회 평균 1.6잔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유 및 유제품류는 주당 평균 3.4회, 뼈째 먹는 생선류와 콩 및 두부류, 그리고 짙은 녹색잎 채소류는 주당 평균 2.7회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져 칼슘 함유 식품보다 카페인 함유 음료의 섭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의 경우 칼슘 권장 섭취량(정답률 11.2%) 및 아이스크림(정답률 16.8%)과 요구르트(정답률 43.4%)와 같은 유제품의 칼슘 함유 여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90.3%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규칙적 운동 수행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 강도(정답률 23.5%)와 시간(정답률 53.6%) 및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인 운동의 종류(예: 빨리 걷기-정답률 37.2%)와 같은 구체적인 운동 수행 방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다공증관련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직업, 월수입에 따라 골밀도 검사 경험 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x²=14.531, p=.002; x²=9.747, p=.036; x²=8.241, p=.017), 연령, 직업에 따라 골다공증 진단 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²=17.953, p=.000; x²=14.830, p=.001). 또한 학력에 따라 골다공증 교육을 받아본 경험 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²=6.983, p=.043).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인 남성의 골다공증 예방 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 대상자의 골다공증관련 특성과 지식수준 및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의 실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성인 남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올바른 건강행위로의 이행을 도모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골 건강의 유지·증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6 A. 성인 남성의 골다공증 = 6 B. 골다공증 지식 = 8 C.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 = 10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설계 = 14 B. 연구대상 = 14 C. 연구도구 = 14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18 E. 자료분석방법 = 18 F. 연구의 제한점 = 19 G.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B. 대상자의 골다공증관련 특성 = 22 C. 대상자의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 = 25 D.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 = 30 E. 골다공증관련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건강행위의 차이 = 36 F.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특성의 차이 = 40 Ⅴ. 결론 및 제언 = 45 A. 결론 = 45 B. 제언 = 48 참고문헌 = 49 부록 <설문지> = 57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48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인 남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건강행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in Korean Adult Men-
dc.creator.othernameKim, Bohye-
dc.format.pageⅶ,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