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원미라-
dc.creator원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0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effects of an emotional management training program 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in schizophrenic patients aged ranging from 19 to 60. The sample consisted of 52 patients in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12 patients were from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in Y-Gu, and 10 patients were from mental health center in J-Gu. In the control group, 18 patients were from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nd 12 patients were from mental health center in D-Gu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90 minutes each week in total of eight weeks using a revised Yongin-Emotion Management Training(Y-EMT)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6, 2009 to October 8, 2009. Bot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nd follow-up tests were given at two and five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Berkeley Expressivity scale(BEQ), an emotional behavior scale developed by Lee et al(2004), the Relationships Change scale(RCS), and Social Behavior Scale(SB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using SPSS 14.0.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on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t=3.267, P=.002). 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behavior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F=61.65, P=.000). 3.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t=4.012, P=.000). 4.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behavior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t=-8.694, P=.000). 5. The maintenance effects of the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decreased over time. Scores on emotional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score(F=9.415, P=.006), (F=.596, P=.014), (F=11.109, P=.003) were changed significantly, whereas emotional expression was not(F=.345, P=.563). The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the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can help individuals in mental rehabilitation improve quality of life with systematic research and training efforts o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development.;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질환으로 인해 사회적 경험에 제한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만성화가 되어 갈수록 적절한 정서관리를 하지 못하게 되어 대인관계와 사회행동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적절한 사회기술과 대인관계 기술을 갖지 못하게 되는 요인에, 만성질환으로 인한 제한된 경험 뿐 아니라 정서관리의 결함이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여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표현, 정서행동, 대인관계, 사회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Y구의 G사회복귀시설 회원 12명과 J구의 J정신보건센터 등록 회원 10명을 실험군으로, D구의 S사회복귀시설 18명과 D정신보건센터 12명의 등록 회원을 대조군으로 임의 표출하여 19세 이상 60세 이하의 정신분열병 환자 총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7월 6일부터 2009년 10월 8일까지 약 3개월이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프로그램이 끝난 2주 후, 5주 후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버클리 정서표현 척도, 정서행동 척도, 대인관계 척도, 사회행동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은 용인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Yongin-Emotion Management Training: Y-EMT)을 수정 보완하여 주 1회 90분 간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였으며,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과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은 t-test, ANC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지속성에 대한 가설 검증은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서표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267, P=.002). 2.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서행동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61.65, P=.000). 3.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012, P=.000). 4.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행동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8.694, P=.000). 5.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프로그램 효과 지속성은 정서표현, 정서행동, 대인관계, 사회행동이 프로그램 종결 후 시간에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정서표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345, P=.563), 정서행동, 대인관계, 사회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F=9.415, P=.006), (F=.596, P=.014), (F=11.109, P=.003)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표현, 정서행동, 대인관계, 사회행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와 사회기술 향상에 영향을 주어 그들의 질병 회복과 재활을 도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역할을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연구 가설 = 4 D. 용어 정의 = 4 Ⅱ. 문헌고찰 = 6 A.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 = 6 B.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 8 C.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 = 10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설계 = 14 B. 연구대상 = 14 C. 연구도구 = 15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0 E. 연구의 제한점 = 21 F.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 22 Ⅳ. 연구결과 = 23 A.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 23 B. 가설검증 = 25 Ⅴ. 논의 = 34 Ⅵ. 결론 및 제언 = 39 참고문헌 = 41 부록 = 45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04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와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n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dc.creator.othernameWon, Mi Ra-
dc.format.pageⅶ,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