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최영은-
dc.creator최영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92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9237-
dc.description.abstract욕창은 신체, 정신, 심리·사회적 문제와 기능변화 및 일상생활능력이 감소된 노인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간호문제이다. 또한 한 번 발생한 욕창은 회복기간이 오래 걸리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므로 발생 이후의 처치보다 욕창 예방에 초점을 둔 간호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및 방문간호시설의 욕창간호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시설에서의 욕창간호 지침 및 간호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의 노인요양시설 및 방문간호시설 96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6월 1일부터 11월 27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총 16문항의 설문지로 욕창 간호사정, 간호중재, 간호기록, 간호지침 유무 및 예방교육, 욕창간호시 문제 현황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시설은 노인요양시설 78개, 방문간호시설 18개였다. 노인요양시설의 평균 병상수는 43.74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사는 평균 1.62명이었으며 방문간호시설의 간호사는 평균 2명이었다. 2. 대상시설의 욕창 간호사정을 살펴보면 피부통합성 사정을 실시하는 주체가 간호사인 곳이 노인요양시설은 49개(48.5%), 방문간호시설은 12개(66.7%)였다. 피부통합성 사정 시기는 노인요양시설은 57개(73.1%)가 매일 실시하였고, 방문간호시설은 10개(55.6%)가 방문시마다 매회 실시하고 있었다. 욕창위험군 분류방법으로는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 모두 표준화된 도구 사용없이 환자상태에 따라 경험적으로 분류하는 형태가 각각 44개(56.8%), 12개(66.7%)를 차지하였다. 3. 대상시설의 욕창 간호중재 선택기준은 노인요양시설 57개(73.1%), 방문간호시설 16개(88.9%)가 개별적 간호계획에 따라 선택하고 있었다. 욕창 예방 및 치료 중재방법은 대부분 체위 변경을 하거나, 체위 변경 용품,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하였다. 4. 대상시설의 욕창 간호기록은 노인요양시설 55개(70.5%), 방문간호시설 11개(61.1%)가 서술식의 간호기록을 선호하였다. 간호기록 내용은 주로 욕창의 위치 및 크기였고, 기록은 매일 혹은 드레싱 교환시마다 이루어졌다. 5. 대상시설의 욕창예방 간호 중 욕창간호 지침이 있는 시설은 노인요양시설 44개(56.4%), 방문간호시설 7개(38.9%)였으며 욕창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시설은 노인요양시설 68개(87.2%), 방문간호시설 14개(77.8%)였다. 6. 대상시설의 욕창간호 문제는 실무자의 의견수렴 결과, 대상자의 질병으로 인한 회복의 어려움과 직원의 욕창에 대한 인식부족, 시설의 비용부담으로 인한 물품 및 인력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욕창 예방을 위하여 연구 대상시설은 욕창 위험성을 사정하고, 다양한 종류의 중재를 사용하며, 욕창의 상태를 기록은 하고 있었으나 이와 관련된 시설의 욕창간호 지침이 없었다. 그러므로 노인의 욕창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무종사자의 의견수렴 및 다학제적 협의를 통해 체계적이며 적용 가능한 욕창간호 지침 및 중재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practices for the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and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me guidelines and intervention of pressure ulcer care in such facilities. Seventy-eight nursing homes and 18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2009 to November 27, 2009. An investigator-developed questionnaire of 16 questions with regard to assessment, intervention, documentation, guidelines and preventive education of pressure ulcer ca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1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tud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8 nursing homes and 18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The average number of nurses in nursing homes was 1.62 and 2.0 in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2. About half of skin integrity assessments were conducted by nurses in 49 (48.5%) nursing homes and in 12 (66.7%)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Assessments of skin integrity were conducted daily in 57 (73.1%) of the nursing homes and 10 (55.6%) of the visiting nurses performed on each visit. Forty-four nursing homes (56.8%) and 12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66.7%) did not us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but empirically classified the group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onditions. 3. Fifty-seven nursing homes (73.1%) and 16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88.9%) applied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pressure ulcers. Postural change and positioning devices and air-mattres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4. Fifty-five nursing homes (70.5%) and 11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61.1%) maintained narrative nursing records that described history of pressure ulcer treatments including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wound. History of treatments was recorded on a daily basis or at every sterile dressing change. 5. Forty-four nursing homes (56.4%) and seven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38.9%) had nursing guidelines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Most of the nursing homes 68 (87.2%) and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14 (77.8%) provided training program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6. Nursing service providers in both facilities reported difficulties in providing treatment for pressure ulcers in the following areas: slow recovery due to the individual's concomitant illness, staff’s lack of knowledge regarding pressure ulcers, shortage of equipment, and poor staffing levels. Despite numerous efforts to assess risks and implement care for pressure ulcers provided by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majority of the fac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sufficient guidelines for pressure ulcer ca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and input from field workers on nursing practices for pressure ulcers is needed to expand the knowledge which can serve as the basis to develop systematic and applicable guidelines for quality 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 고찰 = 6 A. 시설의 노인간호 = 6 B. 욕창간호 = 9 Ⅲ. 연구 방법 = 14 A. 연구 설계 = 14 B. 연구 대상 = 14 C. 연구 도구 = 15 D. 자료 수집 방법 = 16 E. 자료 분석 방법 = 17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 17 G. 연구의 제한점 =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9 A.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일반적 특성 = 19 B.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 간호사정 = 21 C.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 간호중재 = 24 D.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 간호기록 = 27 E.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예방 간호 = 30 F. 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간호 문제 = 32 Ⅴ. 결론 및 제언 = 34 참고문헌 = 39 부록 = 49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9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요양시설과 방문간호시설의 욕창간호에 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ssure Ulcer Care in Nursing Homes and Visiting Nurse Service Facilities-
dc.creator.othernameChoi, Youngeun-
dc.format.pageⅵ,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