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이명원-
dc.creator이명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운동만족도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이빙 선수들이 선호하는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을 파악하고 선수들의 운동만족과 인지된 경기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은 2010년도 대한수영연맹에 등록된 중 · 고등학교, 대학교(일반부포함) 다이빙 선수 100명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을 측정하는 문항과 지도행동유형(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전제적 행동), 운동만족도(환경만족도, 선수만족도, 사회적승인),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기량발휘, 승리의지)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총 6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17.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 및 인지된 경기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성별에 따른 운동만족도는 여자 다이빙 선수들이 남자 선수들보다 운동 환경과 선수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승인정도를 묻는 운동만족도에서는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은 여자 다이빙 선수들이 남자 선수들에 비해 기량발휘와 승리의지 요인 모두에서 경기력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또한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들이 입상경력이 없는 선수들에 비해 운동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선수만족도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소속에 따른 운동만족은 환경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학력이 높을수록 선수들이 운동에 대한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냈다. 인지된 경기력은 중학교 다이빙 선수들은 기량발휘 요인, 고등학교 선수는 승리의지 요인, 대학교(일반부포함) 선수들은 기량발휘 요인에서 보다 높은 평균치를 나타냈으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다이빙 선수들의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환경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선수만족도는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행동유형이 다이빙 선수들의 사회적승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지도행동유형 중 사회적 지지행동 요인이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긍정적 보상행동과 전제적 행동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보상행동은 정(+)적, 전제적인 행동은 부(-)적 영향력으로 기량발휘에 대한 인지정도를 나타냈으며, 긍정적 보상행동은 다른 변인들에 비해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며 기량발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인지된 경기력의 승리의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보상행동은 정(+)적, 사회적 지지행동은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승리의지를 인지하였다. 넷째, 다이빙 선수들의 운동만족도와 인지된 경기력에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운동만족도 중 선수만족도가 기량발휘와 승리의지 두 요인 모두에게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다이빙 선수들은 지도행동유형 중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을 선호하며,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운동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행동이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 다이빙 선수들은 사회적 지지행동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긍정적 보상행동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지도자가 선수의 능력을 인정하고 칭찬하는 것에 선수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며 경기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수들이 운동에 대한 만족을 느끼면 인지된 경기력도 높아지는 것을 보았을 때, 다이빙 지도자 지도행동유형은 운동만족도 및 인지된 경기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primary data helpful to the enhancement of the athletes'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s, by analyzing the effects different types of coaching methods diving coaches have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s.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10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divers in junior-highschools, highschools and colleges that are registered in the 2010 Korean Swimmer's Union. The questionnaire had a total of 68 questions, measuring general traits(sex, attachment, experience in exercise and winning), coaching methods(training and instruc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ing behavior, positive rewarding behavior and pragmatic behavior), exercise satisfaction(environmental satisfaction, athletic satisfaction and social approval),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performance and the will to win).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Windows SPSS Ver. 17.0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displaying the data wit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l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exercise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 based on individual traits. Exercise satisfaction levels were higher among female diving athletes than male athletes. But, in the question on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social approval, male athletes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emale athletes had a higher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 levels then male athletes in both performance and the will to win. Also, athletes with experience in wining had higher exercise satisfaction levels, especially in athletic satisfaction levels, compared to the athletes without experience in wining. Exercise satisfaction levels were higher according to the attachment of the athlete. Athletes with higher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he levels of recognitive athletic behavior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in performance among junior-highschool athletes, the will to win among highschool athletes and performance among college athletes, but there wasn't a meaningful difference. Secondly, analysing the effects of coaching methods on diving athletes' exercise satisfaction, there wasn't a big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But among the coaching methods,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rewarding behavior and training and instructive behavior were influential in the athletes' satisfaction. Also, statistically,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rewarding behavior had a meaningful explanation. Lastly, after looking into the influence the coach's coaching method has over the diving athletes, we found that too much encouragement could work against athlete’s performance as it could put ‘too much pressure on athletes. Thir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s the coaching methods of diving coaches have on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 Among the coaching methods, positive rewarding behavior and pragmatic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big difference. The athletes showed recognition when there was positive rewarding and pragmatic behavior, and positive rewarding behavior had a higher level of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es. Also, the influence of the diving coach's coaching method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when there was positive rewarding and social supportive behavior, and this made the athletes to recognize the will to win. Fourth, an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behavior of diving athletes, it showed that exercise satisfaction had mor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nd the will to win. Looking at th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diving athletes prefers coaches’ democratic action positive rewarding behavior and wants to exercise in a warm and peaceful atmosphere, along with positive encouragement and relationships. The research showed that abov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athlete’s performances. Also,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s are enhanced when the coach makes a positive and encouraging atmosphere, making the athlete to be peaceful, for he/she could be free from anxiety and perform better. However too much encouragement could potentially put too much pressure on athlete hence could have negative result. In conclusion, athletes'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s were influenced by the coaching method of the diving coa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4 D.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다이빙 6 1. 다이빙의 역사 6 2. 다이빙의 경기종목 및 동작형태 8 B. 코칭 이론 9 1. 코칭의 개념 9 2. 코칭의 역할 및 특성 11 C. 지도행동(Leadership Behavior) 14 1. 지도행동의 개념 14 2. 지도행동의 이론 15 D. 운동만족도 24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도구 27 1. 설문지 구성 28 2. 신뢰도 검증 29 C. 연구절차 30 D.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32 A.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와 인지된 경기력 32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 32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 34 B.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만족도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35 1.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2. 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37 C. 다이빙 선수들의 운동만족도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39 Ⅴ. 논의 41 Ⅵ.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56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65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이빙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운동만족도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different types of coaching methods diving coaches have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recognitive athletic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Lee, Myung Won-
dc.format.pagei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