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8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iven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on Career maturity for Art high-school Dance major students
Authors
송화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how students of Arts school decide their career goal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and how they resulted in their career maturity. The analysis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on Art school students are divide among two groups; characteristics of ballet major students by their school years, and by the periods of when they actually start their major studies.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MANOVA analysis is used to differentiate variable decision making styles of individuals and student’s career maturity. Furthermore, to figure out the effects on career maturity from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as well. An Empirical analysis on effect factors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is based on significant level of ‘p-value’ less than 0.05 and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Data is collected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390 students who currently (April 2010) are majoring in dance at three Art schools in Seoul city and Kyung-gee do, and 359 reliable survey data was available for the data analysis after removing untrustworthy answers. The followings are the specific results after the analysis as mentioned above: First, sub-scal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such as rational types, intuitive types and dependent types were very meaningfully different by student’s school year and their periods of starting their major studies. Second, sub-scales of career maturity such as career confirmed, career involvement, career choice attitudes, career independence and career compromise were also meaningfully different by student’s school year and periods of starting their major studies. The higher school grade years of students, the better measurements of career maturity scales. Third,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the sub-scal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Career confirmed scal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rational types and intuitive types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endent types. Career independence level has positive relation with intuitive types and negative relation with dependent types. Career compromise scale is positively related with all three sub-scal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Career choice attitude has positive relation with rational and intuitive types and negative relation with dependent types. In case of Career involvement, it is positively related with intuitive types and negatively related with dependent types. In brief, students have more interest on their career plan, more specific thoughts of their talents and abilities when the college applying period comes nearer with the school year grades becoming higher. Consequently, students tend to have rational and intuitive characteristics and high career maturity level. For the most appropriate decision making on their career goals with confidence, students need more and more experiences on their career from relatively early stage of their age and they also need sufficient understandings.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consideration and more specific plan on there career goal compared to middle school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ularly students who are attending in the Art school with dance major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n planning their career goal. Some of them already has definite plan for the future but most of the art school students are willing to go to college first that they need to find more detailed career plans.;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무용 전공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학년과 전공 선택시기로 나누어 진로 의사결정 유형화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련된 기초 정보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4월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예술고등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학생 총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내용이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35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 결정유형과 진로 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의사 결정유형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결정 유형은 학년에 따라 합리적 유형, 의존적 유형, 직관적 유형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무용 전공 선택 시기에 따라 합리적 유형, 의존적 유형, 직관적 유형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 성숙도는 학년에 따라 진로 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진로확정도, 진로관여도, 진로선택태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시작시기에 따라서도 진로확정도, 진로관여도, 진로선택태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진로의사결정과 진로 성숙도의 관계를 각 하위 요인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정적이거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확정도의 경우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의 경우에는 정적으로, 의존적 유형의 경우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독립도의 경우 직관적 유형과는 정적으로, 의존적 유형의 경우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타협도는 합리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 직관적 유형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선택태도는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의 에서 정적으로, 의존적 유형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여도는 직관적 유형과 정적으로, 의존적 유형과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입시와 가까워지면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될 수밖에 없으며,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능력과 재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기 때문에 합리적이고 직관적인 의사결정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과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경력을 쌓아 자신과 진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