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금보람-
dc.creator금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60-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nonlinguistic performance between 4- to 6-year-ol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wo groups of normal children, one matched by their language age (N-LA), and the other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 age (N-CA) with the SLI children. Thirty nine children, 13 SLI children, 13 N-LA children, and 13 N-CA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consisted of performance on 4 basic nonlinguistic tasks. The aim was to invest the difference of nonlinguistic performance ability among 3 groups. Experimental tasks were simple and choice versions of auditory and visual detection tasks. The statistics of Three -Way repeated ANOVA and One-Way ANOVA was adopt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alyses revealed in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1) The correct rate of re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in auditory and visual tasks. The performance of SL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CA in all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LI group and N-LA group.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3 types of tasks (auditory simple, visual simple, and visual choice). (3) The response la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in auditory tasks. The performance of SLI group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at of the N-CA in auditory simple and choice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visual tasks. (4) The analyses of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t between correct response rate and response latency. (5) Overall pattern of correct response rate and response latency were qualitatively similar across the 3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hildren with the SLI have more difficulty in nonlinguistic performance compared with N-CA.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ir lower correct rate and slower reaction time than those of normal group are characteristics of many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언어발달 관련 문헌들을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언어적 평가와 중재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비언어적 정보처리능력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제한적임을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가지고 있는 비언어적 정보의 처리 특성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연구하고 언어능력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또래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언어능력 이외의 신체적, 구조적, 신경학적 문제가 없고, 동작성 지능이 정상범주에 해당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비언어적 평가의 수행능력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특성을 설명하려는 연구는 언어적 평가에 기초한 연구에 비해 그 수가 많지 않으나, 학령 전기 및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여러 유형의 비언어 과제를 실시한 연구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비언어과제의 수행에 있어 일반아동집단과 비교하여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시간을 보임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 아동의 연령과 과제의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서는 연구마다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비언어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6세의 취학 전 단순언어장애 아동 13명의 시·청지각 과제의 수행능력과, 이와 각각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 총 39명의 시·청지각 과제 수행능력을 비교하여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세 집단이 각 과제의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과제의 정반응율과 반응시간의 상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과제는 선행연구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 및 이중언어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청각자극 및 시각자극 반응과제로,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의 연령에 맞추어 길이와 난이도를 수정하였다.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청지각 과제 수행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혼합변량분석(Thre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각각의 요인에 대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반응율과 반응속도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집단 및 과제의 유형, 난이도 각각의 요인에 따라 정반응율 및 반응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과 과제의 유형, 난이도의 유의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지각 및 시지각 과제에 대한 정반응율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일치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각 과제유형(청각단순탐지, 청각선택탐지, 시각단순탐지, 시각선택탐지)에 따른 정반응율은 단순청각탐지, 단순시각탐지, 시각선택탐지의 3가지 과제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단순청각과제에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집단과 비교하여 정반응율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셋째, 청지각 과제의 반응시간은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과제유형 별 정반응속도는 청지각 과제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단순 및 선택탐지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청지각 과제의 정반응율과 반응속도간의 상관분석에서 청각 및 시각 선택과제에서 정반응율과 반응속도간의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집단 별 상관분석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취학 전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시·청지각과제의 수행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단순언어장애아동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시간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각과제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이 단순한 청각자극을 처리하는데 있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려움을 보이며, 일반적인 정보처리에 있어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시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리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단순언어장애 특성 = 6 B. 비언어과제 = 8 C.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비언어과제 반응시간 연구 = 11 Ⅲ. 연구 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실험 과제 = 17 C. 연구 절차 = 18 D. 자료분석 방법 = 20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1 Ⅳ. 연구 결과 = 22 A.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집단의 시·청지각 과제 수행 정확도 차이 비교 = 22 B.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집단의 시·청지각 과제 수행 반응시간 차이 비교 = 31 C. 시·청지각과제의 정반응율과 반응시간의 상관 비교 = 38 Ⅴ. 결론 및 논의 = 40 A. 결론 및 논의 = 40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48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53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 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청지각과제 수행능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onlinguistic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creator.othernameKeum, Bo-Ram-
dc.format.pageⅹ,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