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15-
dc.description.abstract읽기장애 아동은 학습에 기초가 되는 읽기능력의 결함으로 학습 전반에서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읽기장애는 읽기의 문제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쓰기까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읽기장애 및 학습장애 아동들에게 읽기와 쓰기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철자법의 문제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정확한 철자법을 사용하도록 중재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Fulk & Stormont- Spurgin, 1995). 한글 철자법은 음운규칙에 기반을 둔 표기법 체계이다. 받침 철자에도 다양한 음운규칙이 적용된다. 그러나 학생들은 이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므로 받침 철자에서 다양한 유형의 오류현상이 나타나고 있다(홍선희, 1986). 또한 낱말의 친숙도가 평가에서 고려되어야할 구성요소(Jorshi & Aaron, 2002)임에도 불구하고, 낱말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에서 친숙도의 적용이 미비하다. 본 연구는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친숙도 정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라서 철자법에 맞게 낱말을 쓰는 능력을 평가하는 쓰기 과제와 철자의 맞춤법이 맞는지 지각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인식 과제의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봄으로써 읽기장애 아동들의 철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철자 평가와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장애 아동 20명의 성별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라 문맥 안에서의 철자 쓰기와 인식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 안에서 각 집단의 정반응률을 파악하여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과제유형에 따른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를 적용한 낱말에서의 철자법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3요인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철자오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과제유형과 친숙도에 따른 철자 과제의 정반응률은 일반아동과 읽기장애 아동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철자인식 과제와 친숙한 낱말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읽기장애 아동은 철자 수행에서 친숙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반 아동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과제유형과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철자 과제의 정반응률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읽기장애 아동의 경우 철자인식 과제와 음운규칙이 없는 낱말에서 정반응률이 높았다. 하지만 일반 아동은 과제유형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읽기장애 아동은 낱말의 음운규칙 적용 유무가 철자법 수행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반아동에게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간 과제유형 별로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에서 홑받침 철자쓰기 및 철자인식 과제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보이는 오류유형(발음나는대로 오류, 대치 오류)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겹받침 철자쓰기 및 인식과제에서 읽기장애 아동은 다양한 오류유형이 나타났지만 일반아동은 겹받침 대치 오류만 나타났다. 음운규칙에 따른 오류유형은 읽기장애 아동들의 오류 유형이 과제 유형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나타났으나 일반아동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읽기장애 아동은 친숙도가 낮은 낱말과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낱말의 철자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자 습득 발달이나 소리-글자 대응(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s)간의 불규칙성 즉, 음운규칙의 이해가 부족하였다. 아울러 철자법에서 음운 처리 능력의 문제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철자 능력을 평가하고 중재할 때, 친숙도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과, 중재 시에 한국어 음운규칙 및 철자 발달단계에 대한 내용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inal consonant spell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by evaluating spelling dictation and recognition.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wenty reading disabled (RD) children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same number of chronological age (CA) matched of normal children respectively. RD children and CA matched children were in 4th and 5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ssessed by dictation and recognition tasks, and further the familiarity and phonological rul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ree-factors repeated measures ANOVA. The distribution of error types were classified into final consonant, final consonant cluster, and final consonant rules. Classification of error types were according to liaison, aspiration, neutraliz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consonant assimi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R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CA matched children in the unfamiliar word task. Specifically, RD children revealed that their recognition and dictation tas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iar words. Secondly, RD children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CA matched children in the phonological rules word task. RD children showed that their recognition and dictation tas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honological rules words. Finally, the final consonant error pattern of RD and CA matched children were similar in the phonetic and replaced errors. But errors of RD children in final consonant cluster and final consonant rule were different from errors in CA matched children. The error types of the phonological rule showed consistent in RD children.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the RD children have inferior spelling ability in less familiar words and the phonological rule words. Therefore, words familiarity is important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the spelling abilities for RD children. Consideration of the spelling development stage and the final consonant rules in Korean language, are also required to intervene spelling abilities of the R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읽기장애의 정의 및 특성 = 7 B. 한글의 받침 철자 = 8 C. 철자 인식 및 쓰기 발달 = 10 D. 읽기장애의 철자 인식 및 쓰기 특성 = 14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연구 도구 = 20 C. 연구 절차 = 27 D. 자료 분석 = 29 E. 통계 처리 = 33 Ⅳ. 연구 결과 = 34 A. 집단 간 과제유형 및 친숙도에 따른 정반응률 비교 결과 = 34 B. 집단 간 과제유형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정반응률 비교 결과 = 39 C. 받침철자의 오류 유형 분석 = 45 Ⅴ. 결론 및 논의 = 52 A. 과제 유형 및 친숙도에 따른 집단 간 철자 이해 및 수행 특성 = 53 B. 과제 유형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철자 이해 및 수행 특성 = 55 C. 오류의 유형 분석 = 57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1 부록 = 6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77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낱말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철자 인식 및 쓰기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Final Consonants of Spelling Recognition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 According to Word Familiarities and Phonological Rules-
dc.creator.othernameChoi, Youn-Jung-
dc.format.pageⅸ,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