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나희-
dc.creator나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s characteristics of vocal cord nodules. And also to figure out how the 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s features in vocal cord nodul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perceptual voice severity. In this study, 48 patients with vocal fold nodules participated. Videostroboscopy, MDVP and GRBAS scale analysis were performed to all these patients. In the videostroboscopy test, 7 measurements were assessed with 4 point scale; The measurements were (1) False Vocal Folds compression(FVF compression) (2) Anterior to Posterior compression(A-P compression), (3) glottal closure, (4) amplitude, (5) mucosal wave, (6) symmetry,, (7) regularity. And, in MDVP test, 3 parameters were measured; (1) jitter, (2) shimmer, (3) NHR. And perceptual voice severity was evaluated with the use of GRBAS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subjects had slightly A-P compression. But FVF compression was almost normal. The glottal closure showed anterior or posterior chink or hour-glass configuration chink. And most of the subjects had the small amplitude and mucosal waves. The symmetry and regularity was normal level. Second, all parameters of the supraglottic activity and vocal cord vib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erceptual voice severity. On the other hand, only jitter parameter of the acoustic analysi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ual voice severity. Each parameter being examined, jitter and shimmer parameters deviated from normal value. However, NHR was normal value. The results indicated that vocal nodules patients had slightly excessive muscle tension when they produced the voice. Therefore,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muscle tension reduction should be included when vocal fold nodules patients were treated.;성대 결절은 음성 메커니즘의 만성적인 오용 및 남용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음성의 오·남용은 음성 산출 시 성문과 성문 상부 움직임에 과도한 근긴장을 유발하게 된다. 성대 결절과 관련된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성대 결절 환자들이 보이는 성대의 진동 특성과 청지각적 특성, 음향학적 특성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성대 결절의 주원인이 음성의 오·남용이고, 이러한 음성의 오·남용이 성문 및 성문 상부의 근긴장을 유발한다는 선행 연구를 통해서 성대 결절 환자들도 이러한 근긴장 소견을 보일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성대 결절 환자들이 보이는 성문 상부의 근긴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같은 질환의 경우 공통적으로 보이는 음성 특징은 유사할 수 있으나 청지각적인 측면에서 보일 수 있는 음성의 중증도는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음성의 중증도에 따라 특성을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들에서도 주로 어떠한 음성 특성 보이는 지에 대해서만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료 계획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화상회선경술(videostoroboscopy)을 통해 양측성 성대 결절 환자들이 보이는 전반적인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 양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음성의 중증도에 따라 경도 집단(G1)과 중등도 집단(G2)으로 나눠서 성문 상부 움직임, 성대의 진동 양상, 음향학적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양측성 성대 결절로 진단 받은 48명의 여성이다. 각 대상자들에게 화상회선경술을 통해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의 진동 양상에 대한 평가를 4점 척도로 실시하였다. 성문 상부 움직임을 나타내는 가성대 압축과 전후 압축 항목에 대한 평가와 성대 진동의 대칭성, 규칙성, 성문 폐쇄, 진폭, 점막 파동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인 음성 검사인 MDVP를 통해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 변동율, 진폭 변동율, 소음 대 배음비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청지각적 음성 장애 정도를 평가하는 ‘GRBAS 척도(Fex, 1992)’를 ‘산책(정옥란, 1994)’ 문단 중 2문장을 읽도록 해서 이를 visi-pitch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녹음하여 반복적으로 들으며 평가하였다. ‘GRBAS척도‘도 마찬가지로 4점 척도이며 R(rough), B(breathy), A(asthenic), S(strained)의 음성 특징을 매기도록 하였고, 최종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의 점수를 G점수로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2/3에서 약한 정도의 전후 압축이 나타난 반면, 가성대 압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성대의 진동 양상 항목 중 대칭성과 규칙성은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대칭적이고 규칙적인 성대 진동을 보인 반면, 성문 폐쇄는 대부분이 앞쪽 혹은 뒤쪽에 틈이 관찰되거나 모래시계 모양의 틈이 관찰되는 등 불완전한 폐쇄를 보였다. 진폭과 점막 파동도 정상보다 작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도 및 중등도 집단에 따라 성문 상부 움직임, 성대 진동 양상 항목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향학적 항목 중 주파수 변동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등도 집단으로 갈수록 주파수 변동율이 커져 음도 변이가 심해짐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음향학적 변수 중에서 주파수 변동율이 경도와 중등도의 지각적 음성 장애 정도 차이를 보여주는 좋은 수치임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성대 결절 환자들이 음성 산출 시 약한 정도의 전후 압축을 보여 음성 산출 시 근긴장이 동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대 결절 환자의 치료를 계획할 때, 발성 시 근긴장 감소를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양측성 성대 결절 환자를 대상으로 경도 및 중등도의 음성 중증도에 따른 성문 상부 움직임, 성대 진동 양상, 음향학적 특성을 연구해 임상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만날 수 있는 성대 결절의 음성 산출과 관련된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9 A. 성대결절로 인한 음성의 변화 = 9 B. 발성 시 비정상적 근육 긴장 패턴 = 10 C. 성문 상부 움직임에 대한 연구 = 11 D. 음성장애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 = 12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도구 = 18 C. 연구 절차 = 20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5 E. 신뢰도 = 25 Ⅳ. 연구 결과 = 27 A. 성대결절 환자의 성문상부 움직임과 성대 진동 양상 특성 = 27 1. 성대 결절 환자의 성문 상부 움직임 특성 = 27 2. 성대 결절 환자의 성대 진동 양상 특성 = 28 B. 경도 및 중등도 집단의 성문 상부 움직임, 성대 진동 양상, 음향학적 특성의 차이 분석 = 31 1. 경도 및 중등도 집단의 성문 상부 움직임의 차이 비교 = 31 2. 경도 및 중등도 집단의 성대 진동 양상 차이 비교 = 33 3. 경도 및 중등도 집단의 음향학적 특성 차이 비교 = 36 Ⅴ. 결론 및 논의 = 38 A. 결론 및 논의 = 3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5 부록1 = 53 부록2 = 55 부록3 = 56 부록4 = 58 부록5 = 60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대 결절 환자의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양상, 음향학적 특성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s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s nodules patients-
dc.creator.othernameNa, Hee-
dc.format.pageⅷ,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