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승희-
dc.creator김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00-
dc.description.abstractIt is very important to flexibly comprehend the sentences containing ambiguous expressions during the reading.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mprehension of homonyms central to the understanding of ambiguous sentences would be formed at a relatively young age somewhere around 4 (Kidd & Holler, 2009). It has been shown that the assignments of the understanding of homonyms through the reading level and ambiguous sentence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reading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irns et al, 2004). Accordingly, the assignments of ambiguity containing homonyms would be helpful in assessing and mediating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or ordinary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for ambiguity sentences containing homonyms and to compare them to the group of children similar to chronological year and reading 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6 students each from the group of 3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ability, the group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and the group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compared them and conducted an error analysis for the abilities of comprehending ambiguity sentences including homonyms.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sentences with ambiguity and to detect the core words (homonyms)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ambiguity in the sentences. Afterwards, the children of this study were asked to explain them by applying the ambiguous meaning of homonyms into the context of sentences. As for evaluation,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resolving ambiguity sentences, identified whether they would be ambiguous, explained the meaning of core words and their 'detection' and examined the 'context application' explaining again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sentences. Statistic analysis on the results was conducted as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performed a Repeated Measures ANOVA for the inter-group comparison for the assignment performance of homonyms (application of detection and context). In addition, it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mbiguity detection and context application assignment. Lastly, it analyzed the error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ontext application of sentences fo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signment of ambiguity sentences between three groups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children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and children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in the inter-assignment performance (detection assignment and context application).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assignments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has been noted that all three groups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children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and children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tection and context application assignments. Third, after examining the score rate of context application, the rate of their not explaining homonyms was at the highest level of about 40%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and those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whereas the rate was at the very low level of 2.08% for children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fter examining the responses of children who received the scores of 0 due to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ambigu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four error types as below: (1) no responses (do not know) (2) in case of repeating the suggested sentences as they were (3) in case of mis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omonyms (4) in case of explaining only one of them (explain only the predominant meaning). Children with the poor reading ability had a slightly higher rate of 'mis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omonyms' than those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did not largely differ from other groups in terms of the performance patterns of homonym assignments (detection & context application), but the level of performance for the former was overall lower than the latter. In addition, the fact that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misunderstood the concepts of homonyms more than children with the same year of reading through an error analysis suggested that it would be required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to pay attention to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vocabulary knowledge because they were more likely to misunderstand their concepts themselves.;독해를 할 때에 중의적 표현이 포함된 문장을 융통성 있게 처리하는 것은 읽기이해에 있어 무척 중요한 요인이다. 중의적 문장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동음이의어 낱말 이해는 비교적 어린 연령, 약 4세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dd & Holler, 2009), 읽기 수준과 모호성 문장을 통한 동음이의어 이해 과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를 예측하는 데 유의한 변인임이 밝혀졌었다(Cairns et al, 2004). 따라서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모호성 과제는 읽기부진 또는 일반 아동들의 읽기 능력을 평가하고 중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음이의어를 포함한 모호성 문장(ambiguity sentence)에 대한 읽기부진 아동의 이해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생활연령 및 읽기연령이 비슷한 아동 집단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읽기부진 집단과 읽기연령일치집단, 생활연령 일치 집단 각각 16명을 대상으로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모호성 문장이해 능력에 대한 비교 및 오류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과제는 모호성을 가진 문장을 찾아내고 문장에 모호성을 가져오는 핵심단어(동음이의어)를 판별(detecting)한 뒤, 동음이의어의 중의적인 의미를 문장 맥락에 적용 시켜 아동이 설명하도록 되어있다. 평가는 모호성 문장 해결 과정을 나누어 모호성(ambiguity) 여부를 판단하고 핵심단어를 찾아내는 ‘판별(detecting)’과 단어가 가진 의미를 설명하고 문장의 의미에 맞게 다시 설명하는 ‘맥락적용(context application)’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우선 동음이의어 과제(판별· 맥락적용) 수행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호성 판별, 맥락 적용 과제 간 상관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 아동들의 문장맥락 적용에서 보인 오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읽기부진 아동, 생활연령 일치 아동, 읽기연령 일치아동) 간에 모호성 문장과제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제 간(판별과제와 문맥적용) 수행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집단과 과제 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집단(읽기부진 아동, 생활연령 일치 아동, 읽기연령 일치아동) 모두 판별과제와 맥락적용 과제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맥락적용 점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읽기부진 아동과 읽기연령 일치 아동은 동음이의어를 설명하지 못한 비율이 약 40% 수준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던 반면 생활연령 일치 아동의 경우는 2.08% 수준으로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다. 모호성을 이해하지 못해 0점을 받은 경우의 반응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오류 유형은 크게 네 가지, (1) 무응답(모르겠어요) (2) 제시된 문장을 그대로 반복한 경우 (3) 동음이의어의 개념을 잘못 이해한 경우 (4) 한 가지 의미만 설명한 경우(우세의미만 설명)로 나눌 수 있었다. 읽기부진 아동의 경우, 읽기연령일치 아동에 비해 ‘동음이의어 개념 잘못 이해’가 좀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읽기부진 아동들이 동음이의어 과제들(판별·문맥적용)에 대한 수행 패턴은 다른 집단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수행 수준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더 낮은 수행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류분석을 통해 읽기부진 아동이 읽기연령 일치 아동에 비해 동음이의어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더 높았던 점은 어휘지식 개념을 배울 때 읽기부진 아동들이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는 가능성이 더 높아 중재 시 주의가 요구됨을 시사해 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용어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특성 = 4 B. 읽기이해 관련 요인 = 5 C. 모호성 이해 능력의 발달 = 7 D. 모호성 문장의 이해과정 = 11 E. 읽기와 모호성 이해 능력 = 14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도구 = 19 C. 연구 절차 = 21 D.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 22 Ⅳ. 결과 = 25 A. 동음이의어 이해과제(판별·맥락적용) 집단 간 비교 = 25 B. 과제(판별·맥락) 간 상관분석 = 28 C. 오류분석 = 30 Ⅴ. 결론 및 논의 = 35 A. 결론 및 논의 = 35 B. 제한점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2 부록 = 48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0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들의 동음이의어 과제를 이용한 모호성 문장 이해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rehension Ability of Ambiguity Sentences Using Homonyms Assignments of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Ability-
dc.creator.othernameKim, Seung Hee-
dc.format.pageⅶ,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