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황주현-
dc.creator황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신체기능과 건강행위를 분석하여 허약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서울시 A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에 참여 중인 대상자를 중심으로 보건소 의사로부터 허약노인으로 판정 받은 자 8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9월부터 11월까지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신체기능 및 건강행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8.35세였으며, 여성이 8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약간 나쁨’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0.6%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만성질환보유수는 평균 3.09개였다. 대상자 중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병은 관절염 82.7%, 고혈압 76.5%, 당뇨병 28.4%, 요골·좌골통 28.4%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기능을 살펴보면 ADL의 경우, 모두 독립적인 경우는 53.1%였으며 가장 도움이 많이 필요한 경우는 ‘목욕하기’였다. IADL의 경우, 모두 독립적인 경우는 12.3%였으며 가장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교통수단 이용’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행위는 평균 87.93점(최소값 57점, 최대값 123점)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신체영역 2.63점, 정서 영역 2.56점, 사회 영역 3.01점, 영적 영역 2.33점으로 나타나 사회 영역의 건강행위가 다른 영역의 건강행위보다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F=5.335, p=.007), 주거형태(t=-4.722, p=.000), 주관적 경제생활수준(F=4.723, p=.012)에 따른 신체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건강행위는 성별(t=2.251, p=.027), 교육수준(F=4.719, p=.012), 지각된 건강상태(F=7.901,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신체기능 중 IADL과 사회 영역의 건강행위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25, p=.044).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허약노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목욕하기와 교통수단 이용하기이며, 건강행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허약노인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 시키고 신체기능의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시 허약노인의 특성 및 현재의 신체기능과 건강행위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function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frail elderly. The sample consisted of 81 frail elderly aged 65 or over. The questionnaire used to assess physical function and health behaviors included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hrough November, 2009,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 17.0.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study paricipants' age was 78.5 years with an 86.4% female predominance. The mean for chronic diseases in our participants was 3.09. The participants's independence for ADLs was 53.1% and in IADLs were 12.3%. The lowest ADL score was for ‘bathing’ and withing IADL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cored the lowest. The mean score for health behaviors was 87.93. In a subscale analysis, the highest score was identified with social category, while the lowest scores pertained to spiritual catego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ge(F=5.335, p=.007), being alone at home(t=-4.722, p=.000), and economic status(F=4.723, p=.01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fun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 according to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Gender(t=2.251, p=.027), educational status(F=4.719, p=.012) and perceived health status(F=7.901, p=.00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ADL and health behavi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ADL and the subscale social category. Based on the questionnaire study results, Korean frail elderly participants have low levels of physical function particularly with bathing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o low health behaviors depending on particular sociodemograhics. To promote the health status and physical function of the frail elderly, educational and service programs should be tailored to this populatio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 of physical function and health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허약노인 7 B. 노인의 신체기능 11 C. 노인의 건강행위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설계 17 B. 연구대상 17 C. 연구도구 18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20 E. 자료분석방법 20 F. 연구의 제한점 21 G.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B.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24 C. 대상자의 신체기능과 건강행위 26 D.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신체기능과 건강행위의 차이 30 E. 신체기능과 건강행위의 관계 36 Ⅴ.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49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8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허약노인의 신체기능과 건강행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hysical Function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Frail elderly-
dc.creator.othernameHwang, Ju Hyun-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