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PRECEDE 모델을 적용한 고등학생 학교폭력 예방교육 요구도 분석

Title
PRECEDE 모델을 적용한 고등학생 학교폭력 예방교육 요구도 분석
Other Titles
Needs Assess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ECEDE Model
Authors
이경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최근에 학교 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들로 학교폭력이 일어난다.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주위 환경 뿐만아니라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예방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바람직한 지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통합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의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PRECEDE 모델을 적용해 사회적 진단, 역학적 진단, 행위적 진단, 교육적 진단을 통하여 학교폭력 발생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파악, 학교폭력 실태를 조사하고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학교폭력에 대한 바람직한 지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통합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 기획에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시 소재 3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19일부터 11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분포는 남학생이 55.7%, 여학생이 44.3%이었으며, 학교구분은 남학교가 39.1%, 여학교가 32.7%, 남녀공학이 28.2%로 분포하였다. 2. 사회적 진단 단계 중 인구 사회적 요인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폭력의 경험이 많았으며, 따돌림 피해 경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더 많은 비율로 발생하였다. 학교구분에 따라서 신체폭력과 언어폭력이 남학교에서 두드러지게 많이 발생하였다.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은 따돌림과 금품갈취 피해경험에서 성적이 낮은 대상자에서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친구 수에 따라서는 친구 수가 적을수록 따돌림 피해경험 대상자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교폭력 유무에 따른 학교만족도를 분석해본 결과 신체폭력, 언어폭력 피해경험, 신체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경우 ‘학교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낮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3. 행위적 진단단계에서 비행행동 경험에 따라 학교폭력 피해·가해 경험 유무를 분석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기물손상과 훔친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해경험에서는 흡연, 음주, 징계, 기물손상, 훔침, 무단결석, 가출경험 등의 모든 비행행동에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폭력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비율이 높았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교육적 진단단계에서 소인성 요인 중 ‘교내 학교폭력 유형별 심각성 인식’은 폭력 피해·가해경험 대상자 모두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폭력에 대한 허용도’는 가해 대상자는 허용도 점수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따돌림 피해 경험 유무에 따라 점수가 낮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능성 요인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 경험한 대상자가 ‘학교환경’에 대한 점수가 낮게 나왔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강화성 요인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따라 ‘친구와의 관계’, ‘부모님과의 관계’ 점수, 가해 경험에 따른 ‘부모님과의 관계’ 점수는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중매체 이용’ 점수도 학교폭력 피해경험, 가해경험에 따라 점수가 낮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는 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80.3%였으며, 수업시간은 재량활동 47.6%, 특별활동 시간 12.1%, 정규교과수업시간 12.1% 이다. 예방교육은 외부강사 44.8%, 안전교육 담당선생님 17.6% 등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파워포인트 영상(40.5%), 비디오 보기(40.1%)를 이용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학교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를 보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91.2%이었으며, 원하는 교육 기관은 학교가 56.2%, 경찰서 관련기관 22.6%,순이었다. 대상자가 교육받기 원하는 시간은 정규교과 수업시간과 재량활동 시간이 각 30.8%였으며, 안전교육 담당선생님 48.8%, 외부강사 19.5%에게 교육을 받기를 원하였다. 교육 횟수는 한 학기에 1-2회 필요하다고 40.8%가 답하였으며, 놀이/게임을 통한 교육 19.7%, 파워포인트 영상 17.5%의 교육을 원하였다. 학교폭력 발생 시 신고과정과 학교폭력 상황 시 대처방법, 갈등 분석 및 해결방법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대상자의 학교폭력과 관련 있는 요인들과 학교폭력 예방교육 필요성 인식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교 주변의 환경,대중매체 이용도,친구와의 관계,부모님과의 관계,교사와의 관계,폭력에 대한 허용도,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학교폭력 예방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인성 요인에서 대상자의 폭력에 대한 허용도,가능성 요인에서 학교 환경,강화성 요인에서 교사와의 관계,대중매체의 이용도 등이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11.5% 이었다.;Recently, school violence has emerged severe social problem, and many complex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In order to prevent these school violen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ordinat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at can lead advisable knowledge, attitude, behavior change using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 as well as safe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purposed to investigate a stat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factors affecting on presence of school violence in separate stage using PRECEDE model. Also it purposed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consequently to assess need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the en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450 students from 1st grade of 3 high school in Seoul region. The duration of the survey was from 19th October to 9th November, 2009.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As for the respondents' social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were 55.7% and female occupied 44.3%. In case of school division, all-boys schools were 39.1%, all-girls schol were 32.7% and co-educated school occupied 28.2%. 2. A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ocial Diagnosi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has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chool type, school records, number of friends. According to gender, male had mor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an female. In terms of type of school, especially physical violence and language violence were occupied large percentage in all-boys schools. According to school grades, the group who has low school grades had high proportion in experience be taken in bullying and be blackmai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iends, the group who has fewer friends had high proportion in experience bullying and language violence. Thi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s for the experience of the irregularity behavior in behavior diagnosis analysing the state of experiences what school violence's victims ore assaulted, someone who has experience of damaged to property and theft shown higher rate in school violence's victims with the specific difference in statics analysis. The probationer who have experiences in smoking, drinking, disciplinary punishment, damaged to property, absence without leave and leaving home shown the higher assaulted experience with the specific difference in statics analysis. 4. In the predisposing factor, the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the school violence has high score in violence victim and assailant who has both experiences. This resul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general cognition of the violence doesn't show any difference with the state of victim students experience, but who has the assaulted experience shown high score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lf- effectiveness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state of harassing experience. In enabling factors, the victim of school violence shown the low score of the school environment with the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inforcing factors, the score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parents with the state of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who has lower score with the state of assaulted experience than who doesn't have ant experience of assaulted. This resul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state of school violence's victim or assailant in using the mass media. 5. As for the condition of the preventive discipline for school violence, 80.3% of the probationers tool the course, 47.6% in discretion class, 12.1%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12.1% in regular curriculum. The preventive discipline took lessons by 44.8% outside lecturers, and 17.6% school teacher in charge with using power point(40.5%) and watching video(40.1%). 6. As for the demand of the preventive discipline for school violence were 91.2%, the school's demand score is highest as 56.2% i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lation institution with police as 22.6%. The proper time to take the course was regular curriculum and discretion class each as 30.8%, the probationers wanted to lake the course by school teacher in charge of safety as 48.8% and outside lectures as 19.5%. There were high score of respond about the frequency of the preventive discipline needed 1~2 times in one semester as 40.8%. They needed the course by playing and games as 19.7%, using power point as 17.5%. Moreover, the processing of the notify when occurs school violence and the method of handling in school violence, analysing the conflict and settlement were high level of demand. 7. As for the relation factor with the school violence and the awareness of necessity preventive discipline for school violence,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nvironment of school, using mass media, relationship with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school. Analysing the effective factor of preventive discipline for school viol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cognition of violence, the school environment in enabling factor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reinforcing factors and using mass media in predisposing factor which has 11.5% explanation hi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